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접합제
풀
수지
페이스트
자연초
잡초
합성수지
뉴스
"
아교
"(으)로 총 77건 검색되었습니다.
'불면의 밤' 보내면 뇌에 무슨 일이?
연합뉴스
l
2019.03.08
일단 회의적이라고 한다. 연구팀은 이 부분을 보기 위해 혈관 내벽 세포와 신경
아교
세포 두 종을 추가로 실험했다. 하지만 주야 사이에 염색체 움직임이나 DNA 손상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아펠바움 교수는 "일단 이런 메커니즘은 특별히 뉴런에만 작동하는 것 같다"면서 "향후 과제는 근육과 같은 ... ...
알츠하이머 악화 원인 알고보니 '뇌 면역세포 기능 저하'
동아사이언스
l
2019.01.08
K/Akt’ 신호전달 경로가 활성화되면서 자가포식 작용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미세
아교
세포의 자가포식 작용 억제는 Aβ 단백질 분해 저하로 이어져 알츠하이머병 증세를 더욱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 교수는 “그동안 우리 몸의 다른 면역세포들은 염증자극에 의해 자가포식 ... ...
치매원인 '뇌 염증' 치료 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4
활성도를 낮출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 물질을 투여 받은 쥐에서 미세
아교
세포 내 면역을 촉진하는 신호물질인 사이토카인 수치가 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알츠하이머병 마우스에 2주간 매일 CA140을 주입한 결과 치매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꼽히는 뇌 속 노폐물 ... ...
[조선과학기술 시네마]3관. 과학으로 되살린 화려한 조선 옷감
과학동아
l
2018.09.21
산닥나무 계통의 안피지 위에 금을 입힌 것으로 드러났다. 또 고려와 조선의 금사는
아교
풀을 이용해서 붙였던 것으로 밝혀졌다. 금사 복원에도 참여한 박 연구원은 “국내 장인에게 닥종이 제작을 의뢰해 그 위에 금박을 입히고 0.3mm 폭으로 얇게 잘라서 금사를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심 교수팀은 ... ...
미니 뇌 진짜 만드나?...신경세포 기본 요소 갖춘 ‘뇌 오가노이드’ 최초 제작
동아사이언스
l
2018.07.26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축삭을 형성하도록 돕는 올리고덴드로사이트(oligodendrocyte. 신경
아교
세포)를 포함한 뇌 오가노이드를 제작, 25일(현지시각) 학술지 ‘네이처 메소드’에 발표했다. 일반적인 신경세포는 크게 머리 역할을 하는 신경세포체와 한쪽 방향으로 뻗어나온 굵은 축삭돌기(axon), ... ...
저지방&저열량 식단이 ‘젊은 뇌’ 만든다
과학동아
l
2018.04.24
두 그룹의 쥐에게 생후 6개월간 각각 고지방과 저지방 먹이를 준 뒤 시상하부에서 미세
아교
세포가 염증을 얼마나 일으키는지 비교했다. 이후 이들 그룹을 다시 둘로 나눠 18개월 동안 전체 열량을 40%로 줄여 먹이를 주거나 운동을 시켰다. 그 결과 저지방 식이요법과 열량 제한을 병행한 경우에만 ... ...
[새해 다짐 3종 세트 ②] 내 부진한 영어능력은 유전자 때문? 방법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3
발현되는 ‘아쿠아포린4’ 유전자가 언어 능력에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별
아교
세포는 신경 조직을 지지하는 세포 중 하나다. 연구팀은 아쿠아포린4 유전자의 변이로 단백질을 많이 만드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비교했다. 그 결과, 단백질을 많이 만드는 사람이 언어 학습과 관련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메가3 지방산, 몸에 좋은 것만은 아니다
2017.12.27
일으키는 게 주요인일 가능성이 있지만 아직은 모른다”고 고백하고 있다. 또 뮐러
아교
세포에서 만들어진 19,20-DHDP가 어떻게 내피세포와 주위세포로 이동하는지, 고농도의 19,20-DHDP가 어떻게 지질뗏목의 구조를 파괴하는지에 대해서도 메커니즘까지는 밝히지 못했다. 그럼에도 sEH 효소의 활성을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
아교
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즉 무슨 이유에서인지 일해야 할 시냅스가 “나를 잡아먹어라”는 신호를 보내고 미세
아교
세포는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한 결과가 뇌회로의 파괴로 이어지는 셈이다. 따라서 시냅스가 보내는 신호물질(Clq라는 단백질이 유력한 후보다)을 항원으로 하는 항체를 만들어 신호물질을 없애면 잘못된 ... ...
유전자 변이 740만개 찾았다… 역대 최대 규모 연구결과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6.08.21
과정을 다뤘다. 몸에서 면역을 담당하는 대식세포나 T세포는 중추신경계로 들어가 미세
아교
세포와 협업해 건강을 유지한다는 사실을 설명했다. 다만 대식세포와 T세포가 중추신경계로 어떻게 들어가고 나오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세 번째 논문은 신경세포 주변에서 ... ...
이전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