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접합제
풀
수지
페이스트
자연초
잡초
합성수지
뉴스
"
아교
"(으)로 총 7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아데노신과 카페인의 두 얼굴
2021.12.28
증식이 두드러져 심각한 신경염증으로 이어지는데 카페인이 이를 억제한다. 미세
아교
세포의 세포막에 분포한 A2A수용체에 달라붙어 아데노신의 신호를 차단해 준동을 막는다. 우리는 어떤 대상의 속성을 선악으로 규정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은 경우 선악은 양의 문제이지 질(속성)의 ... ...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냄새 못 맡는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22
내 시냅스가 위축돼 있음도 확인했다. 연구진은 특히 베타아밀로이드 축적이 미세
아교
세포 활성과도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신경염증으로 인한 후각 사구체 이상이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후각 상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 ...
미세플라스틱, 뇌에 쌓여 신경독성 물질로…DGIST 연구
연합뉴스
l
2021.10.27
수준에서 확인하는 데에도 성공했다고 밝혔다. 미세플라스틱 섭취 초기부터 미세
아교
세포에서 염증 활성화·완화와 관련해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M1·M2 대식세포 지표가 떨어지기 시작했고, 7일이 지난 후에는 두 지표가 급격히 낮아져 세포사멸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 ...
더 크고 정교한 '미니 뇌' 생산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5
구성하는 신경상피가 발달해 뇌주름이 다량 생성됐다. 신경세포와 성상교세포, 미세
아교
세포 등 다양한 뇌세포가 기존보다 많이 발생했다. 뇌의 구조와 기능이 훨씬 발달한 수준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여기에 미세유체칩을 융합해 '뇌 오가노이드 배양 플랫폼'을 완성했다. 그리고 ... ...
뇌질환 분석하는 유연한 뇌-기계 인터페이스 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1
움직이는 쥐를 대상으로 한 광유전학 실험, 행동 실험이 가능했다. 이물 반응에 따른
아교
세포 및 면역세포 발현이 기존 장치보다 현저히 줄어드는 것도 확인했다. 박성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하이드로젤을 다기능 신경 인터페이스의 구성물질로 사용해 수명을 대폭 늘렸다는 데 의의가 ... ...
[과기원은 지금] GIST, 한국문화기술연구소 ‘물은 기억한다’ 부산현대미술관 전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03
기대된다. 연구팀은 억제성 시냅스가 뇌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신경세포 일종인 ‘미세
아교
세포’에 의해 제거되는 분자 수준에서의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밝혔다. 또 이 현상이 과도하게 일어날 때 신경세포의 흥분성 증가로 발작과 같은 뇌 질환이 일어날 수 있음을 입증해 국제 학술지 ... ...
올해 KAIST 최고 연구는 AI로 풀HD→울트라HD 실시간 변환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1.05.25
화학과) 분자 내 모든 원자들이 움직이는 위치를 실시간 관측 ▲정원석(생명과학과) 별
아교
세포의 시냅스 제거에 따른 기억력 유지 기전 규명 ▲공경철(기계공학과) 세계 최고 보행속도와 기능성을 갖는 하반신마비 장애인용 웨어러블 로봇 ▲서창호(전기및전자공학부) 공정한 기계학습 ▲유회준 ... ...
부작용 없는 뇌 신호 측정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뇌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측정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미세
아교
세포라는 면역세포가 탐침을 둘러싸기 때문에 탐침을 통해 뇌를 자극하려면 더 큰 자극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기존 연구에서 미국 하버드대와 공동으로 뇌와 비슷한 굽힘 강도의 그물구조 탐침을 ... ...
어린이나 어른이나 기억 조절 핵심은 ‘별
아교
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치매 및 여러 형태의 발작과 같은 다양한 신경질환의 유병률과 연관성이 높다”며 “별
아교
세포를 이용해 시냅스 수를 조절하는 기법은 뇌 질환 치료의 새로운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가장 슬픈 질병 ‘퇴행성 뇌질환’ 극복을 위한 노력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뇌질환이 발달하는 과정에서 어떤 신경적 기능을 조정하는지를 논의한 내용이다. 미세
아교
세포와 뉴런의 상호작용이 뇌신경 세포의 기능과 장애를 조절하는 방법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게 저자들의 지적이다. 마지막 리뷰 논문은 알츠하이머 치매를 유발하는 환경적, 유전적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