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르포
실화
실록물
다큐멘터리
뉴스
"
실록
"(으)로 총 71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왕조의 수명을 100년은 늘린 천하의 명당
동아사이언스
l
2013.08.04
술을 적당히 마실 줄 알았다는 점도 태종으로부터 낙점받은 요인이라는 것이다. 『태종
실록
』 18년(1418) 6월 3일자 기록이다. ‘중국의 사신을 대하여 주인으로서 한 모금도 능히 마실 수 없다면 어찌 손님을 권하여서 그 마음을 즐겁게 할 수 있겠느냐? 충녕은 비록 술을 잘 마시지 못하나 적당히 ... ...
조선 건국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도 홀대 받은 왕비
동아사이언스
l
2013.07.31
그렇다고 태종이 무턱대고 태조가 사랑한 신덕왕후를 깎아내린 것은 아니다. 『태종
실록
』 16년(1416)에는 태종의 남다른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 태종이 물었다. “계모란 무슨 뜻인가?” 윤정현이 대답했다.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들어와 어머니가 된 사람이 계모입니다.” “그렇다면 ... ...
제주도 특산 '흑우' 천연기념물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22
작지만 체력과 지구력이 좋아 제주지역 밭농사에 많이 이용됐다. 특히 '조선왕조
실록
', '탐라순력도', '탐라기년' 등 옛 문헌에 따르면 제주흑우는 나라에서 제사를 지낼 때 쓰는 제향품이나 임금에게 바치는 진상품으로 엄격히 사육·관리됐다. 이번 천연기념물 지정에 따라 문화재청은 ... ...
유난히 수난을 많이 겪은 왕릉
동아사이언스
l
2013.07.09
것이다. 놀라운 것은 이런 폭거를 위해 왜군과 조선인이 결탁했다는 점이다. 『선조
실록
』에는 유성룡이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는 글이 있다. ‘“백운기(白雲起)가 왜적과 서로 결탁하여 선릉(宣陵), 태릉(泰陵) 두 능을 공모하여 발굴한 죄상을 이미 모두 승복했습니다. 큰 죄를 범한 사람이라서 ... ...
세도정치에 빛바랜 순정왕후의 민생 정책
동아사이언스
l
2013.07.03
조영됐던 희릉 초장지의 석물을 사용해 조영한 것으로 『산릉도감의궤』와 『조선왕조
실록
』에 전한다. 이창환 교수는 이러한 기록물은 조선 왕릉이 세계유산에 등재될 때 진정성을 인정받는 데 많은 도움이 됐다고 적었다. 재실은 헌인릉으로 들어가는 목전에 있는데 당초에는 능역 안에 ... ...
눈물을 머금고 폐세자를 했더니…
동아사이언스
l
2013.06.30
조치로 양녕을 세자에게 폐하고 충녕을 세자로 삼았다. 태종 재위 마지막 해의 일이다.
실록
에 따르면 태종이 세자를 폐할 때 통곡으로 다음과 같이 하교했다고 한다. ‘너로 하여금 새 사람이 되도록 바랐는데, 어찌 뉘우치지 않아 상황을 이 지경으로 만들었느냐. 나와 너는 부자지간이지만 ... ...
총명한 세자, 어머니의 영향으로 결국…
동아사이언스
l
2013.06.17
닦음을 강조했다. 이에 세자는 4살 때 천자문을 익혔고 8살 때 성균관 입학례를 치렀다.
실록
은 ‘세자가 입학례를 행하는데 글을 읽는 음성이 크고 맑아서 대신들이 서로 축하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고 전한다. 경종이 적어도 조선의 여느 왕자들이 그랬던 것처럼 어린 시절 영특함으로 칭찬받는 ... ...
어려서는 영특했지만,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왕
동아사이언스
l
2013.05.16
광해군일기 작성의 근거자료로 사용된 사관들의 기록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록
의 기록에 철저한 자부심을 갖고 있던 자료 자체가 없다는 것은 의심을 가하기에 충분하다고 느낄 것이다. 여기에서 반정에 대한 정치적이고 정략적인 문제는 거론하지 않지만 외적으로는 광해군이 ... ...
초파리가 당뇨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등으로 인해 현대 사회를 사는 남녀노소 누구나 당뇨의 위험에 맞닥뜨려 있다. 조선왕조
실록
의 기록에 따르면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대왕도 당시 '소갈병'으로 불린 당뇨병으로 인해 생긴 안질과 피부병 등으로 고생했다고 하니 당뇨는 오랫동안 인류를 괴롭혀 온 병이다. 당뇨는 인슐린에 대한 ... ...
효도하다 병 들어 사망한 왕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폭염에 시달려 병석에 눕고 말았으며, 급기야 사망에까지 이르렀다. 장동민 박사는 ‘
실록
’의 기록을 볼 때 두 가지가 사망의 원인이라고 설명한다. 하나는 슬픔을 이기지 못해 마음에 병이 들었다는 것이고, 나머지 하나는 비위가 약하다는 것이다. 인종이 세자 무렵 아버지 중종의 약시중을 들 ... ...
이전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