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르포
실화
실록물
다큐멘터리
뉴스
"
실록
"(으)로 총 7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은 왜 어려운가
2019.05.30
문장으로 요약해 달라”는 요구를 받기도 하는데, 이때 나의 준비된 반문은 “조선왕조
실록
을 한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나요?”였다. 언젠가 지방 도서관에 강연하러 가서 이 주제로 얘기를 하던 중에 비슷한 예를 들려고 하다가 사도세자의 사례는 너무 심하다 싶어서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 ...
"해돋을 녘 태양에 새알만한 흑점이 보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0
서리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지상의 물체 표면에 얼어붙은 것으로 고려사와 조선왕조
실록
에 약 700번정도 기록되어 있다. 양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한국의 풍부한 역사 기록이 현대과학적 측면에서 매우 신빙성 있으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고천문 ... ...
‘승정원일기’ 등 고전 속 천문 관측, AI로 번역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16
유네스코 기록유산인 ‘조선왕조
실록
’과 ‘승정원일기’ 등 고전 속 천문 관측 기록을 한글로 자동으로 번역해주는 전문 인공지능(AI) 번역기가 2020년 개발돼 대중에 공개된다. 한국천문연구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2019년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공공서비스 촉진사업’에 ... ...
백두산 지진 지난해 2배 늘어…"서울도 영향권 공동연구 서둘러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15
말했다. 실제 역사 기록에는 이와 유사한 기록도 발견됐다. 윤 교수는 “조선왕조
실록
을 보면 1654년 함경도 쪽에서 비린내가 나는 연기가 북쪽에서 한양으로 내려왔다는 기록이 있다”고 말했다. 화산 분출로 인한 가스가 한양까지 내려왔다는 기록이다. 전문가들은 인도적 차원을 떠나 ... ...
조선시대 문헌에도 기록된 독한 강풍 '양간지풍'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실린 ‘양간지풍에 의한 영동지역 대형산불의 역사적 사례연구’에 따르면 조선왕조
실록
과 승정원일기에 2월에서 4월 사이 영동지역 대형 산불은 12건이 기록됐다. 1489년 성종 20년에는 양양에서 민가 205채와 낙산사 관음전이 불타고, 간성에선 향교와 민가 200채가 전소된 것으로 기록돼 있다. ... ...
포항지진은 촉발지진…진원 깊이 등 남은 쟁점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홍 교수는 이번 지진은 복합적 원인이 있다고 봤다. 홍 교수는 “포항지역은 조선왕조
실록
에서도 규모 5 정도 지진이 5차례 보고되는 등 활성단층이 있는 곳인데, 1970년부터 별다른 지진이 없었다는 것은 활성단층이 힘을 축적하는 과정으로 해석된다”며 “여기에 동일본대지진과 경주지진이 ... ...
“잊혀진 우리 괴물 ‘강철’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2.05
그렇다 보니 정량적인 글쓰기나 발표가 몸에 익었다. 그는 “인문학자들 앞에서 조선왕조
실록
에 실린 괴물에 대해 발표할 기회가 있었는데, 괴물을 시대별로 분류해 발표하자 많이들 신기해 했다”며 “회사에서 표 넣어 보고서 만들던 습관이 드러난 게 아니겠는가”라고 말했다. ●정체성 2 : ... ...
[조선과학기술 시네마]2관. 세계 최초의 로켓과 최강 군함
2018.09.21
거북선에서는 신호용으로도 사용됐다. 신기전은 성능이 뛰어난 신무기여서 조선왕조
실록
에 의하면 ‘적이 숨어 있을 것 같은 곳에 발사하면 적이 겁을 먹고 스스로 항복했다’고 한다. 세종 29년(1447년) 가을부터 겨울까지 모두 3만3000발이 제작돼 압록강과 두만강변의 4군6진에서 여진족을 ... ...
조선시대에 붉은 오로라가 9일간 나타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4
풍부한 저위도 부근에서 오로라가 발생했다는 뜻이기도 하다. 연구팀은 ‘조선왕조
실록
’과 ‘승정원일기’ ‘청 왕조의 기록’ 등 고문서 111건을 분석한 결과, 붉은 오로라가 1770년 9월 10일부터 9일간 나타났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남반구 티모르 섬에서 오로라를 봤다는 독일 천문학자의 ... ...
지반이 물렁물렁, 내진설계 무력화시키는 액상화 100여 곳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11.20
액상화로 추정되는 현상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어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조선왕조
실록
에는 ‘1643년 7월24일과 25일에 큰 지진이 있어 연대와 성첩이 많이 무너졌다. 울산부에서는 땅이 갈라지고 물이 솟구쳐 나왔다’고 기록돼 있다. 승정원일기에도 울산 지진에 대해 ‘물이 샘처럼 솟았으며,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