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닷물
해조
짠물
기침
수해
바다물
어린이과학동아
"
해수
"(으)로 총 1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래별 보시는 분들을 위한 밸런스 게임 한 개
포스팅
l
20210912
해수
vs의현 누가 더 잘생겼나요...ㅋㅎㅎ 저희 엄무니도 못 고르셨답니돠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사진 준비했어용 (출처: https://tdgall.com/168031527) 이 분이
해수
구요 (출처: https://blog.naver.com/sally981203/222501013783) 이 분이 의현 입니다 ...
THINK TOGETHER, ACT NOW !!!! UN청소년환경총회에 참석하다.
기사
l
20210907
높아졌다고 합니다. 1880년부터 지표면 평균 온도는 약 0.85도 상승했고, 증가한 열의 약 93%를 바다가 흡수했지만 이는 지난 50년간 평균
해수
면 온도를 0.65도까지 높이는 결과를 불러왔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해양 생태계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바다에서 떠돌고 있는 해양 쓰레기들의 대부분 (80% 이상)은 플라스틱 쓰레기 ...
지구의 온도가 1도씩 오를 때마다 일어나는 변화
기사
l
20210905
직접 찍은 사진입니다.) 지구의 기온이 2도가 넘게 오르면 그린란드 빙하가 녹아
해수
면이 상승하게 되고, 바닷가 근처의 도시는
해수
면의 상승으로 인해 물에 잠기게 됩니다. 질병을 옮기는 해충 때문에 지금처럼 전염병이 유행하게 됩니다. (아마 그때는 지금 코로나19같은 전염병이 훨씬 많이 생겨나겠지요 ㅠㅠ.) 그리고 만약 정말 지 ...
투발루에게 수영을 가르칠걸 그랬어!
기사
l
20210901
로자와 고양이 투발루가 사는 '투발루 공화국'은 남태평양에 위치한 작은 섬나라입니다. 땅이 낮고 평평한 투발루는 지구 온난화로
해수
면이 높아져, 점점 바닷속으로 가라앉고 있습니다. "로자야, 사람들이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 다시 투발루에 돌아올 수 있을 거야" 아빠의 말을 들으며 로자는 간절히 빌어. "저는 투발루에서 투발루와 함께 살고 싶어 ...
별주부전의 이상한부분
기사
l
20210623
찾으러가는 장면이있습니다 그런데 자라는 민물에 사는 생물입니다 용궁은 바다에 있죠. 그런데 민물에 살던 생물이 소금기가 있는
해수
로 가면...죽습니다.죽어요 그런데 별주부는 잘 살아 있습니다 2.바다로간토끼 별주부전에서 토끼는 바다에있는 용궁을 가기 위해 바다로 들어갑니다. 그런데 토끼는 예민한 동물입니다. 조금만 만져도 스트레스를 받아서 죽 ...
사용하기만 했던 변기의 신기한 구조
기사
l
20210613
곳에 있는 도르레에 연결해 낮은 곳으로 이동시키면 체인이 계속해서 높은 곳에서 낮은곳으로 이동합니다. 하지만 사이펀 원리는
해수
면 높이 즉 1기압에서 약 10m 이상 높이의 물이 든 관에서는 사이펀 작용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또한 1기압에서 약 76cm 이상 높이의 수은이 든 관에서도 사이펀 작용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번 기사는 조금 긴 내용 ...
흐헷 랜턴 왔어용
포스팅
l
20210521
너모 예뻐요ㅠㅜ 아빠가 스벅 쿠폰 다 모아서 랜턴 고르하고
해수
하늘색 골랐는데 밝은 데서 보면... 요래요! 사진보다 실물이 훨 예뻐요:) ...
4민달팽이 - 210428 - 1
탐사기록
l
20210428
오랜시간 바위의 틈을 깎아 만든 구멍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바다 옆에 만들어진 돌개구멍에 개구리와 올챙이가 산다는 것이 신기합니다. 바다 앞이니
해수
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개구리가 산다는 것은 담수라는 의미이겠지요? 자연은 탐험할수록 신기하고 재미있습니다.^ ... ...
일본 정부가 방사능 물질 오염수를 바다에 방출하는 것을 반대합니다!
기사
l
20210416
버리면 안전해지니 그때 버리는 것이 어떠냐고 주장했습니다. 둘째, 우리나라에서는 방사능 감시 체계를 더욱 강화해야 합니다.
해수
방사능 조사를 더욱 촘촘히 자주 진행해 상시 방사능 감시 체계를 강화해야 합니다. 삼중수소가 수산물에 얼마나 축척될지 모니터링하는 연구도 필요합니다. 셋째, 국제 사회가 힘을 모아 일본이 더욱 안전한 방법으로 ...
압력밥솥의 비밀
기사
l
20210415
계속 끓는 이유는 열 때문이 아니라 기압이 변했기 때문이에요. 물은 100도 에서 끓지만 1기압일 때만 100도에서 끓어요. 1기압이 뭐냐면
해수
면 높이에 해당하는 평지에서의 공기의 기압을 말하는 거예요. 물은 1기압 일때 끓지만 기압이 낮아지면 끓는 점도 낮아지고 기압이 높아지면 끓는 점도 높아져요. 그래서 플라스크 위에 얼음을 올리면 가득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