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기둥"(으)로 총 1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거 500년] 프로N잡러 레오나르도 다빈치수학동아 l2019년 05호
- 다빈치는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와 구, 원뿔, 원기둥, 피라미드 등의 입체도형들을 그렸는데, 특히 구조를 명확히 보여주기 위해 입체도형을 겨냥도로 나타내기도 했습니다. 기하학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없었다면 그리기 어려웠을 이 도형들은 다빈치 생전에 ... ...
- [화보] 회색 도시를 빛으로 물들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공간에 짧고 긴 줄무늬 기둥을 규칙적으로 배열했다. 당시에는 궁전에 흑백 줄무늬 원기둥이 어울리지 않는다며 논란이 일었지만, 현재는 시민들이 친근히 다가갈 수 있는 세계적인 명소가 됐다. 빛의 관측소 (L’Observatoire de la lumière, travail in situ)프랑스 파리에 있는 루이비통재단미술관은 돛 ... ...
- Part 3. 대안은? 버리지도 말고, 놓치지도 말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수 있어 유기동물을 줄일 것으로 예상돼요. 길이 약 10mm의 캡슐 모양인 칩에는 전선이 원기둥 모양으로 감긴 코일이 들어 있어요. 코일은 혼자서 전기를 만들지는 못하지만, 외부의 스캐너에게서 전자파를 받으면 이에 반응해 새로운 전자파를 내보내지요. 이 전자파를 읽으면 반려동물의 식별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적분 개념이에요. 원기둥의 부피를 구하는 공식은 알고 있으니 각 원기둥의 부피를 구해서 더하면 포도주 통의 부피가 되는 거예요. 비슷하게 원하는 영역을 밑변의 길이가 같은 직사각형으로 잘게 쪼개서 구하는 게 적분이지요. ● 폴리매스 ● 출제자를 만나다 ... ...
- [수셰프 피터팍의 맛있는 수학] 떡국 한 입, 타원 한 입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가래떡을 좀 더 넉넉히 썰어 볼게요. 떡국을 더 푸짐하게 만드는 타원 떡국떡은 원기둥 가래떡을 비스듬히 썰어 타원으로 자르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런데 왜 하필 타원으로 자르는 걸까요? 피터팍은 여기에서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옛 기록을 보면 궁중에서는 떡국을 만들 때 ...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4차원 세계로 들어간 화가, 파블로 피카소와 큐비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큐비즘 작품 역시 피카소 그림의 정수는 큐비즘 작품입니다. 피카소는 원과 원뿔, 원기둥만으로 그림을 그렸던 프랑스 화가 폴 세잔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기하학적인 도형들로 여러 실험을 합니다. 그런데 이 시기에 피카소 그림은 좀 독특합니다. ‘무용’이라는 작품을 보면 이목구비가 심하게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과학 축제는 로봇도 춤추게 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연구원이 차린 물리 실험실이었지요. 시겔 연구원은 형광 막대를 전선이 빽빽하게 감긴 원기둥 모양의 코일에 가까이 대면 막대의 색깔이 흰색에서 푸른색으로 변하는 실험부터 얼굴이 무한히 비치는 거울까지 다양한 실험을 함께했어요. 그중에서도 기자단의 관심을 끈 실험은 ‘테슬라 ...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원기는 1889년 1kg을 ‘4도에서 물 1L의 질량’으로 정의하고, 백금 90%와 이리듐 10%를 섞어 원기둥 모양으로 제작했다. 지금까지 프랑스 국제도량형국 지하의 비밀금고에 소중히 보관됐었다. 문제는 국제킬로그램원기가 공기에 닿아 조금씩 산화하거나 이물질이 묻어 질량이 미세하게 달라진다는 ... ...
- [화보] 한국의 산지승원과학동아 l2018년 09호
- 허리 부분의 지름을 가장 크게 하고, 양 끝으로 갈수록 지름을 줄인 항아리 모양의 원기둥이다. 이는 멀리서 봤을 때 안쪽으로 굽어보이는 착시 현상을 방지해 건물을 안정적으로 보이게 하기 위한 선조들의 지혜가 담긴 디자인이다. 사진에서 오른쪽이 무량수전이다 ... ...
- [별난 이름 정리] 피자 정리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수학 같은 이유 원의 넓이는 원주율 파이(π, pi)에 반지름을 두 번 곱하면 구할 수 있고, 원기둥은 여기에 높이까지 곱해 부피를 구합니다. 반지름이 Z이고, 높이가 A인 피자의 양은 PI × Z × Z × A =PIZZA라서 피자가 됐다는 무시무시한 전설이 있습니다. 믿거나 말거나~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