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숙주"(으)로 총 3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코로나19,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가지인데, 그중 하나는 S단백질의 구조에 있다. 바이러스는 S단백질을 열쇠처럼 사용해 숙주세포의 문을 열고 들어간다. 문의 역할을 하는 ‘단백질수용체’도 우리 몸의 세포마다 모양과 수가 달라, 각 바이러스가 감염시킬 수 있는 세포의 위치와 양도 다르다. 코로나19바이러스는 기도 아래쪽 ... ...
- 페임랩 도전기 “내년엔 ‘노잼’은 없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단백질 합성경로에 따라 단백질을 필요한 만큼 만들어서 사용합니다. 반면 바이러스는 숙주세포의 시스템을 이용해 빠르고 효율적으로 단백질 덩어리를 만든 뒤 ‘단백질가위’로 잘게 쪼개 사용합니다.칼레트라는 에이즈를 유발하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의 단백질가위를 무력화시키는 ... ...
- [가상인터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이번에도 박쥐 탓?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결과를 발표했어. 한편 29일엔 중국의학과학원 병원생물학연구소에서 ‘밍크’가 중간 숙주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단다. 하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전파 경로는 밝혀지지 않았어. Q 너희는 바이러스를 지니고 있어도 아프지 않니?A 우리는 보통 200종에 가까운 바이러스를 지니고 살아. ... ...
- [코로나19 팩트체크] 손 소독제는 바이러스를 어떻게 죽이는 걸까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에탄올이 바이러스의 외피를 녹여서 외피가 없는 바이러스가 외부에서 죽거나, 운 좋게 숙주에 들어간다 해도 세포에 침투해 증식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가을철 유행성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아데노바이러스처럼 외피 없이 생활하는 바이러스(naked virus)에는 에탄올의 효과가 떨어집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다시 성으로 들어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다시 우리 세포 밖으로 나와 또 하나의 바이러스가 된답니다. 이후 바이러스는 또 다른 숙주 세포 속으로 들어가 수를 불리죠. 한편, 세균은 보통 0.5~ 5㎛(마이크로미터, 1㎛는 백만 분의 1m) 정도예요. 맨눈으로 볼 순 없지만 광학 현미경으로는 쉽게 확인할 수 있지요. 세균은 바이러스와 달리 스스로 ... ...
- 코로나 바이러스 Corona virus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는 2494명을 감염시켜 858명이 죽었다. 이번에는 코로나19 바이러스다. 빠른 복제와 재빠른 숙주 이동이 코로나바이러스의 무기다. 거듭되는 코로나바이러스의 위협에 인간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PART 1. SCIENCE 코로나바이러스 정체 PART 2. REPORTAGE 숨 가쁜 ‘5분 대기조’, ... ...
- 코로나19 결말 영화 ‘컨테이젼’ 시나리오 따라가나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통해 탄생한 병원체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사스 코로나바이러스처럼 박쥐에서 중간 숙주를 거쳐 사람에게 전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과정에서 사람 세포에 침투할 수 있게 돌연변이가 일어났을 것이다. 한 사람 몸에 있던 바이러스가 세계로 퍼진다?영화에서 바이러스 전파는 한 사람으로부터 ... ...
- 무증상 감염, 슈퍼전파… 악재 겹친 코로나19 효과적인 방역 대책은?수학동아 l2020년 03호
- 하지만 간혹 전파력이 강한 바이러스는 무증상 시기에도 자신의 유전체를 기어코 다른 숙주에게 옮기고야 만다. 장염을 일으키는 노로 바이러스나 매년 다른 모습으로 찾아오는 독감 등이다. 무증상 감염을 고려한 SLIAR 모형2월 20일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가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사스나 ... ...
- 어제는 맞고 오늘은 틀리네? 코로나19 진짜 팩트 5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없습니다. 인간과 반려동물의 수용체가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바이러스가 전파되려면 숙주세포의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코로나19가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진 수용체 ACE2는 인간 이외에 다른 동물 종에도 존재하긴 합니다. 다만 서로 아미노산 서열이 다릅니다. 즉 인간의 수용체에 ... ...
- 서민의 '기생충' vs. 봉준호의 '기생충'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달팽이는 숫자를 늘리기 위한 중간숙주일 뿐, 류코클로리디움 파라독섬 최후의 목표는 종숙주인 새의 몸속에 가서 짝짓기 후 알을 낳는 것이다. 그런데 새는 달팽이를 먹지 않는다. 단단한 껍질에 둘러싸인 게 먹으면 목에 걸릴 것 같으니까. 이 난관을 어떻게 극복할까? 기생충은 사기를 친다.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