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취
숙정
기주
d라이브러리
"
숙주
"(으)로 총 354건 검색되었습니다.
STEP ①
숙주
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별칭을 얻었다. 이들 바이러스는 면역반응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완벽한
숙주
의 몸속에서 끊임없이 돌연변이를 일으키며 언제든 인간에게 옮겨갈 준비를 하고 있을지 모른다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전파의 매개체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집트숲모기는 지카 바이러스의 직접적인
숙주
는 아니지만, 모기가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의 피를 마신 뒤 다른 사람을 물면 이 과정에서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다.바이러스의 전파력은 온도와 습도 등 환경적인 영향도 크게 받는다. 일반적으로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침입해 증식하고 방출되는 세포 주기를 완성했다. 루리아는 박테리오파지에 감염된
숙주
박테리아에서 일어나는 형질 전환을 연구했다. 루리아의 연구는 이후 암을 유발하는 바이러스 연구로 이어졌다.1952년 미국 워싱턴에 있는 카네기연구소에 근무하던 허시는 박테리아에서 박테리오파지가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찾아냈다. 외부에서 들어온 항원의 표면에 존재하는 지질다당류(LPS·lipopolysaccharide)가
숙주
세포에서 염증반응을 일으킨 것이다.그는 1983년 미국 록펠러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으면서 선천 면역반응을 주도하는 대식세포와 반응하는 카첵틴(cachectin) 단백질을 연구했다. 카첵틴은 암세포 등에 ... ...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 만만했던 코로나바이러스 위력 처음 실감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내부로 코로나바이러스를 통과시킨다. 코로나바이러스 외피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숙주
세포 침입에는 핵심 도구인 셈이다. ACE2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의 사촌격 단백질이다. ACE는 원래 체내에서 혈압과 대사기능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다. ACE2도 체내 수분과 혈압을 ... ...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오랜 세월
숙주
생물의 유전물질을 뺏어 점점 커진 것으로 밝혀졌다.
숙주
세포의 DNA의 정보를 RNA로 옮기고, 다시 RNA를 단백질로 번역해 단백질을 합성하는 유전적 체계를 완벽하게 갖추고 있었던 것이다. 지금까지 본 것처럼 그간 과학자들은 바이러스의 등장에 대해 다양한 가설을 제시해왔지만, ... ...
STEP ③ 유전체 복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보자. A 바이러스의 유전체 분절(a1~ a8)과 B 바이러스의 유전체 분절(b1~ b8)이 동시에
숙주
세포 안에서 복제를 시작하며 서로 섞이게 된다. 이때 이론적으로는 256(28)가지의 아형 바이러스가 탄생할 수 있다. 실제로 가장 독성이 강한 인플루엔자바이러스 A종은 198가지의 아형 바이러스가 존재한다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는 면역반응 방식)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LCMV는 쥐와 사람을
숙주
로 삼아 뇌수막염을 유발한다. LCMV가 몸에 들어오면 T림프구가 이를 인식하고 파괴한다. 이들은 실험용 쥐에 LCMV를 감염시켜 생성된 T림프구를 채취한 뒤, 같은 혈통을 가진 다른 감염된 쥐의 세포와 섞어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회복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반면 단백질은 그 자체로 항원의 역할을 하면서도 다른
숙주
로 감염되거나 증식하지 않는다. 유일한 예외는 광우병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프리온(prion) 단백질뿐이다. 다만 면역반응 유도율은 단백질 백신이 세포전체 백신에 비해 조금 떨어진다. 항원만으로는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처음으로 주장했다. 쇼프는 이를 증명하기 위해 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주입하면
숙주
가 인플루엔자에 걸린다는 사실을 확인해야 했다. 하지만 돼지에서 채취한 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다시 돼지에게 주입하자 경미한 증상만 나타날 뿐, 인플루엔자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입증할 수 없었다. 쇼프의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