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냥
포획
헌팅
발포
발사
헌트
d라이브러리
"
수렵
"(으)로 총 13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사피엔스는 1350cc로 25%나 된다. 침팬지의 식사에서 동물성은 5~7%에 불과하지만 인류가
수렵
채취인이었을 때는 동물성이 40~60%였다고 추정된다. 영양분이 적고 거친 음식을 오랜 시간 먹어야하는 침팬지는 사람보다 턱이 잘 발달했고 소화기관도 더 크다.그런데 최근 요리가 뇌의 1차 팽창, 즉 호모 ... ...
거짓인 줄 알면서도 귀신을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비록 귀신을 보는 것이 상당 부분 헛된 망상이나 착시 때문이라 해도 인간이 숲에서
수렵
하고 채집하던 때부터 자기 생존에 아주 유용했던 정보처리 방식이다. 그러므로 인간의 뇌는 진화를 거듭하더라도 이와 같은 인지행동 패턴을 결코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이것이 과학에서 귀신의 존재를 ... ...
발해인은 살아있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주업이라는 공통점이 있다.그 가운데 고대국가 발해의 옛 터전에 당시의 발해인처럼
수렵
과 어로로 연명하며 그 후손임을 자처하는 전형적인 소수 만주부족이 바로 우데게다.우데게를 주축으로 17종족이 모여 사는 크라스노야르는 연해주 비긴강가에 자리하고 있다. ‘비긴’은 우데게 말로 ... ...
황새야 행운을 물어다다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이런 황새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다. 그래서 한때 벼농사를 방해한다는 오해로
수렵
조수로까지 취급됐던 텃새 황새를 보전하기 위해 일본의 마지막 황새 서식지이자 현재 황새고향공원이 있는 효고현 도요오카시에 1955년부터 ‘황새보호협찬회’를 조직했다.하지만 이미 개발에 의한 서식지 파괴와 ... ...
인류와 가장 가까운 새, 닭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대해 “제때에 요리하면 그 살코기는 부드럽고 고상하며 대단히 맛이 좋다. 가금과 큰
수렵
짐승의 맛이 동시에 나기 때문”이라고 극찬하고 있다. 아무튼 닭고기가 대신 쓰일 수 있는 것은 그나마 맛이 꿩고기에 가장 가깝기 때문이다. 사실 이들은 둘 다 꿩과에 속하므로 분류학적으로 가까운 ... ...
02. 사랑하도록 디자인된 인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수축돼 부드러운데 발기되면 마치 뼈같이 단단해진다. 이는 직립보행을 하는 인간이
수렵
을 할 때 음경이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해 진화했기 때문이라는 연구도 있다. 쥐나 개와 같은 동물의 음경에 연골이나 뼈가 있는 것과 대조된다.성적인 반응은 혈관계, 신경계, 호르몬계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 ...
사고방식에도 국경이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주의를 내부로 돌리게 된 것이다.실제 연구결과에 따르면 농경사회 사람들이 사냥이나
수렵
으로 살아가는 사람들보다 훨씬 더 종합적인 사고방식을 갖고 있다. 또한 복종과 규율을 강조하는 정통 유대교의 가르침을 받으며 자란 어린이들이 좀더 세속화된 유대교 전통 하에서 자란 어린이들보다 더 ... ...
열대 곤충과 함께한 6일간의 정글 탐험 리포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울려 퍼진다.타만네가라 오랑아슬리, 바텍족이곳 타만네가라에는 아직도 낚시와
수렵
으로 살아가는 오랑아슬리(원주민)들이 있다. 그 중 바텍족은 정글을 찾아온 사람들에게 자신들의 거주지를 공개하고, 나무로 불을 피우는 법과 바람총을 만들어 쏘는 것을 보여준다. 이들이 사용하는 바람총은 ... ...
정보통신에 뿌리내리는 한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그 변혁의 요소로서 말, 글자, 인쇄술, 컴퓨터를 들고 있다. 사람이 말을 함으로써
수렵
사회가 형성돼 사람보다 힘이 센 곰이나 호랑이 같은 다른 동물을 제압할 수 있었다. 글자를 만들어서 여러가지 지식과 기술을 기록하고 축적해 농경사회를 형성했다. 활자가 만들어지고 인쇄술이 발달함으로써 ... ...
산호 2030년까지 60% 파괴 예상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존 판돌피 박사팀은 수천년에 걸친 산호에 대한 기록물들을 모았다. 이에 따르면 인간이
수렵
과 채집을 했던 때부터 산호는 파괴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 원인은 과도한 어획과 육지로부터 흘러들어온 오염물질이었다. 연구팀은 “인간 활동에 의해 파괴되는 것을 막지 못하면 산호는 수십년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