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장품
d라이브러리
"
소장작품
"(으)로 총 10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의 제후' 가우스, 19살에 수학 난제 풀어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1796년 3월 30일, 이제 막 열아홉살에 접어든 가우스는 그때까지 누구도 이루지 못한 일을 해냈다. 고대부터 수많은 수학자들이 증명해보려고 했지만 결국 실패해 당시까지 불가능하다고 여기던 문제를 해결했던 것이다. 후에 수학의 제후라고 불리게 된 가우스는 정17각형을 컴퍼스와 자만 이용해 ... ...
2003년 한국의 쿨한 과학상품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과학동아는 지난 한해동안 국내에서 발표된 다양한 연구성과와 신제품 가운데 아이디어가 돋보이고 우리 생활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30가지를 뽑았다. 개발자들의 노력과 창의력이 빚어낸 30가지의‘멋진’(cool) 발명품들을 통해 일상 속에 성큼 들어선 과학기술을 느껴보기 바란다.음성 ... ...
대못안경에서 다초점렌즈까지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바야흐로 스키와 스노우보드의 계절이다. 겨울 스포츠 의상으로 한층 멋을 내려면 멋진 고글이 필수다. 스키어의 고글에서 할머니의 돋보기까지, 현대인에게 안경은 시력 보조용으로서 뿐만 아니라 눈을 보호하고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 됐다.그렇다면 안경은 어떻게 처음 만들어졌을까. 안 ... ...
열역학의 시인 일리아 프리고진 타계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1977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그리고 16개 국어로 번역된 베스트셀러인 ‘혼돈으로부터의 질서’의 저자로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일리아 프리고진(Ilya Prigogine). 그가 2003년 5월 28일 86세를 일기로 벨기에 브뤼셀에서 운명했다. 그의 삶과 업적을 조명해보자.어린 시절 꿈은 피아니스트프리고진은 1917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지난 4월 28일 밤 9시(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역사적인 사건이 벌어졌다. 우리나라 최초로 미항공우주국(NASA)과 함께 참여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GALEX)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던 것이다. 지난 6년 동안 연세대 자외선우주망원경연구단이 NASA의 제트추진연구소, 미국 캘리포니 ... ...
범인 신원 밝히는 결정적 단서 DNA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덜렁이 고등학생 김전일은 공부도 잘 못하고 운동에도 소질이 없다. 하지만 소문난 명탐정 긴다이치 코우스케의 손자답게 추리력만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김전일과 그의 여자친구 미유끼는 매번 우연한 기회에 살인사건에 휘말리는데, 김전일이 그 사건을 해결한다. 김전일이 겪는 살인사건에 ... ...
1 종말 위기 닥친 인류 문명의 요람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지금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이라크는 흔히 ‘문명의 요람’이라 불린다. 이 나라 한가운데로 흐르는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 두 강이 가져다준 비옥한 충적토가 농경의 적지가 되면서 ‘메소포타미아’(그리스어로 두 강 사이란 뜻) 문명이 태어났기 때문이다. 메소포타미아 문명은 독립된 하나의 ... ...
정전기 이용해 글씨 자국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백만장자와 똑같이 서명할 수 있다면 백만장자처럼 행세할 수 있을까. 미국의 여성 추리소설 작가 패트리샤 하이스미스(Patricia Highsmith, 1921-1995)의 소설 ‘리플리’(The Talented Mr. Ripley)는 그것이 가능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이야기다. 백만장자의 아들을 죽이고 그의 행세를 하다가 비극적인 종말을 ... ...
5백년만에 드러난 숨겨진 화가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유물의 복원 과정에서 무언가가 새로 발견될 때마다 사람들은 늘 잊혀진 역사가 성큼 다가서는 신선한 느낌을 받습니다. 미켈란젤로가 바디칸궁전의 시스티나성당 천장에 그린 ‘천지창조’가 복원작업을 마치고 1994년 일반에 공개됐을 때도 사람들은 뭔가 새로운 것이 발견되지 않았을까 기대했 ... ...
1. 사이버 공간에서 탄생한 무령왕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1971년에 실시된 무령왕릉 발굴은 백제 문화의 복원 그 자체라고 불릴 정도로 우리나라 고고학 역사의 기념비적 발굴이었지만, 단 하루만에 완결된 발굴이라는 오명을 함께 안고 있기도 하다. 30년이 지난 지금, 백제 문화의 디지털 복원이라는 개념으로 접근한 무령왕릉을 바로 눈앞에서 느껴보자.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