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상"(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 [Chapter2] 거대 소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Chapter2. 거대 소수를 찾아라!Part1. 세상에서 가장 큰 소수Part2. 소수를 사랑한 신학자 메르센Part3. 소수 찾는 획기적인 방법 뤼카-레머 판정법Part4.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Part5. 거대 소수 왜 찾나? ...
- 세상에서 가장 큰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얼마나 큰지 감도 안 오는 이 숫자는 현재까지 발견한 소수 중 가장 큰 소수다. 무려 2486만 2048자리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크기로, 읽는 데만 서너 달이 걸리며, A4 용지 한 장에 숫자가 4만 4000개 들어가도록 글자 크기를 작게 인쇄해도 무려 565쪽의 책이 나오는 숫자다. 소수니까 어떤 수학자가 찾 ... ...
-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생각지도 못한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도 있고, GIMPS를 통해 새로운 수학 이론이 생기거나 세상의 어떤 비밀이 풀릴 수도 있을 것”이라며, 기대감을 내비췄다. “‘거대 소수가 있다’라고 말만 하면 학생들이 얼마나 큰 수인지 느끼지 못해요. 그때 전 저만의 메르센 소수 책을 보여줘요. 48, 49, 50, 5 ... ...
- RSA 암호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다. GCHQ가 4년 먼저 개발했음에도 연구 내용이 기밀이었기 때문에 세상의 주목을 받지 못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리베스트, 샤미르, 아델만이 RSA 암호를 개발한 공로로 2002년 컴퓨터과학의 최고 상인 ‘튜링상’을 수상해 그들의 이름이 역사에 길이 남게 됐다 ... ...
-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인공지능(AI)이 인간 대신 보고서를 작성하는 세상이 도래했다. 심지어 인간보다 더 잘해내기까지 한다. 인간보다 똑똑한 AI 탄생의 주역은 ‘대규모 언어모델(LLM)’이다. 대규모 언어모델은 로봇공학 분야에도 변곡점이 될 수 있을까. 똑똑한 뇌에 걸맞는 기계 몸이 탄생할지 알아보자. ‘AI 로봇’의 ... ...
- [논문탐독] 혹등고래가 알려준 자유자재 유체 사용법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흐름을 더 현명하게 사용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몸소 보여줬습니다. 정말이지, 이 세상에 필요 없는 것은 없다니까요! ❋필자소개임재한. 항공우주 엔지니어. KAIST 항공우주공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대학 졸업 후 드론의 자동 비행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 ...
- [질문하면 답해ZOOM] 핫팩 속에는 무엇이 들어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세상엔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그런데 왠지 친구들도 선생님도 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봐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있다고요?주저 말고 어과동에 물어봐요! 어과동 기자들이 답을 찾아서 알려줄게요! 핫팩은 손발이 꽁꽁 얼 것만 같은 추운 겨울에 온기를 전해줍니다. ... ...
- 인류의 소수 사랑은 적어도 8500년 전부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증명하는 ‘귀류법’으로 소수가 무한하다는 것을 보인 것이다. 소수가 무한하다면 세상에서 가장 큰 소수는 있을 수 없으니 말이다. 이 증명에 대해 이승재 인천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어떤 소수의 집합이 있어도 그 소수들로 나눠지지 않는 수를 아주 간단하고 쉽게 만들었다”라면서, “‘어떤 ... ...
- 리만 가설을 향한 수학자의 끝없는 도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설명해주길 기대했건만, 리만 가설을 풀었다고 주장한 지 4개월 만인 2019년 1월 갑자기 세상을 떠나고 만다. 2022년에도 수학계 들썩 2022년에도 중국계 미국인 수학자인 이탕 장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산타바바라 교수가 리만 가설을 풀었다는 이야기가 중국 한 인터넷 신문에 올라오면서 ... ...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인간의 가장 친한 친구(Man’s best friend).” 영미권에서 개를 칭하는 별명이다. 1만 5000여 년간 개는 주택 경비, 수렵 및 목축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가장 가까운 자리에서 인간을 도왔다. 2024년 현재 이 자리를 로봇 개 4족보행 로봇이 노리고 있다. 인공지능(AI)의 도움으로 더 빠르고, 더 유능해진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