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상"(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미래로 떠나는 배달 탐방기, 자율주행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서빙 로봇, 로봇 청소기이미 자율주행 로봇은 우리 일상 곳곳에 있어. 하지만 모두 실내에서만 운행되던 로봇이지. 그런데 올해부턴 바깥에서도 로봇을 볼 수 있어. 배달도 ... 자율주행 로봇Part1, 자율주행 로봇, 도보를 걷다!Part2. 전격공개! 로봇이 바라본 세상Part3. 자율주행 세상 온다? ... ...
- 배달시작 ⎪ 전격공개! 로봇이 바라본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받은 물건을 열심히 배달하고 있어. 내가 바라보는 세상이 어떤지, 어떻게 장애물을 피하며 길을 찾아가는지 알려줄게. 사람처럼 행동하도록 돕는 센서와 회로 사람은 눈으로 사물을 보고 귀로 소리를 들으며 장애물을 인지한 후, 뇌에서 회피하라는 명령을 통해 몸을 움직입니다. 자율주행 로봇 ... ...
- 홈 어드밴티지 정말 있을까?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있는 투산 일렉트릭파크 야구장에서 비둘기가 야구공에 맞아서 안타깝게도 세상을 떠났다. 비둘기를 맞춘 랜디 존슨 선수의 별명은 ‘공포의 좌완 파이어볼러’로, 최대 160km/h의 구속으로 공을 내리꽂는 것이 특징이었다. 존슨 선수가 평소처럼 154km/h로 던진 공이 우연히 야구장을 지나가던 ... ...
- [과학뉴스]작고 빠른 소금쟁이 로봇 비결은 형상기억합금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세상에서 가장 작고 가벼우면서도 속도가 빠른 곤충형 로봇이 개발됐다. 코너 트리그스타드 미국 워싱턴주립대 연구원팀은 2023년 10월 IEEE/RSJ 지능형 로봇 및 시스템에 관한 국제 컨퍼런스(IROS)에서 각각 소금쟁이와 작은 벌레를 모방해 개발한 로봇 ‘워터 스트라이더’와 ‘미니버그’를 ... ...
-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여기는 독자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당연합니다. 지상에 발을 디디고 살아가는 인류는 세상에서 벌어지는 변화를 자신이 관찰한 것들을 기준으로 분석했으니까요. 대부분 인간은 태어날 때 갖고 있던 성별을 죽을 때까지 유지하고요. 다시 산호 이야기를 해보죠. 수백 년 전까지만 해도 산호는 식물로 ... ...
- 타디그레이드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반응이 많은 한 영상을 재생했다. 그 곡은 마치 먼 과거의 어떤 선지자가 꿈에서 멸망한 세상을 목도하고, 그 비극을 막기 위해 깨어있어야 한다고 사람들에게 부르짖는 듯한 노래였다. 서글프면서도 강렬한 선율 속으로 순식간에 빠져든 미아와 선은 본인들도 모르는 새 숨마저 죽이고 음악에 ... ...
- [특집] 소셜 미디어가 설계한 중독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미디어 세상에 한 번 들어가면 한두 시간이 금방 지나간다. 그곳은 24시간 활기가 넘치고, 재밌는 것들로 가득 차 있다. 그 때문일까. 일단 시작하면 멈출 수 없고, ‘그만해야겠다’고 생각해도 빠져나오기 힘들다. 소셜 미디어에 접속하지 않을 때는 왠지 불안한 마음이 들고, 무언가에 홀린 듯 다시 ... ...
- [이달의 책] 만화로 배우는 멸종과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독자가 그동안 놓친 볼트와 너트들을 하나하나 풀고 조이듯 보여준다. ‘볼트와 너트, 세상을 만든 작지만 위대한 것들의 과학’은 못의 발명이 현대의 고층 건물로 어떻게 이어지는지 설명한다. 이것은 공학이 인류의 생활 방식을 결정적으로 변화시킨 사례이기도 하다. 못이 없을 때의 인류는 ... ...
- 배달완료 ⎪ 자율주행 세상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목적지인 2030년에 도착했어. 이곳엔 나 말고도 청소, 순찰, 제설 등 다양한 역할을 하는 자율주행 로봇과 운전자 없이도 운행하는 자율주행 차량들이 있어. 스마트 시티가 된 미래의 도시 풍경을 소개할게! 5년 뒤면 운전자가 사라진다? 2023년 12월, 서울시는 심야 자율주행 버스 운행을 세계 최초로 ... ...
- [미술*과학] 예술이 인간을 인간이 우주를 그리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소개된 이미지를 통해 살펴보자. 오래된 하늘의 조각들예술과 과학의 출발점은 같다. 세상의 모습을 기록하는 것이다. 특히 하늘의 움직임은 농경과 제사 등을 위해서 반드시 알아야 할 정보였다. 아래 이미지는 기원전 2000~1600년 사이 제작된 ‘네브라 스카이 디스크’다. 1999년 독일의 작센안할트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