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고력 두뇌 퍼즐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해요. [보석 찾기] 각 숫자는 그 주변 8칸에 숨겨진 보석의 개수를 나타내요. 숫자를 보고 모든 보석의 위치를 찾고, 111쪽 도안의 보석들을 알맞은 자리에 붙여요. [단어 찾기] 퍼즐판 위의 자음과 모음을 가로 또는 세로로 연결하면 단어가 나와요. 단어들은 서로 겹치지 않고, 가로줄은 왼쪽에서 ... ...
- [통합과학 교과서] 네로의 상태가 심상치 않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얼굴은 빨갛고, 몸을 오들오들 떨며 계속 기침을 했죠. 파트라슈는 그런 네로를 보고 낑낑대고 있었어요.“네로 군, 몸이 많이 안 좋아 보이는데 괜찮나요?”꿀록 탐정이 걱정스러운 목소리로 물었어요.“아, 동화나라 미술대회가 얼마 남지 않았거든요. 콜록콜록. 그래서 성당에 걸린 그림을 보고, ... ...
- 현대 정수론의 선구자 페르마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편지를 주고받으며 확률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는데, 사람들은 이를 확률론의 효시로 보고 있다. 이렇게 대단한 페르마는 평생 얼마나 많은 논문을 썼을까. 놀랍게도 정답은 ‘1’. 단 한 편이다. 수학 연구는 변호사이자 지방 의원이었던 페르마의 취미 생활이었다. 페르마의 수학 능력은 아주 ... ...
- [에디터 노트] AI, 로봇 체인저의 등장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과학동아 독자들께 가장 먼저 보여드립니다. 여러분이 10년 뒤 이번 호를 다시 들춰보고 지금보다 더 놀라기를 바라봅니다. ‘아, 저때부터 현실이 SF를 앞질렀지!’ 하면서요 ... ...
- [과학뉴스 ]육식공룡 고르고사우루스 마지막 식사는 공룡 뒷다리!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무엇을 먹었을까. 화석으로 남은 치아의 형태를 보고 초식인지, 육식인지를 판단하거나 초식공룡의 뼈에 남은 이빨 자국을 통해 추측할 수 있다. 하지만 직접적인 화석 증거를 발견하지 않는 이상, 정확히 어떤 먹이를 먹었는지 찾기는 쉽지 않다. 2023년 12월 8일, 프랑수아 테리앙 캐나다 ...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어김없이 큰 파도를 일으키고 있다. 한국기계연구원이 2024년 1월 발간한 기계기술정책보고서 ‘지능형 로봇 및 생성형 AI 동향 분석과 시사점’에서는 첨단로봇에 활용되는 AI 기술을 인식, 판단, 동작, HRI(인간-로봇 상호작용Human-Robot Interacion) 네 분야로 구분한다. 우선 로봇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 ...
- [COP28리뷰] 한국은 왜 ‘오늘의 화석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차이입니다. 51위를 기록한 중국도 45.56점으로 한국보다 15점이 높습니다(충격입니다). CCPI 보고서는 한국은 2023년 초 발표한 10차 전력 계획에서 재생에너지를 30.2%에서 21.6%로 낮췄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폐석탄 발전은 가스발전소로 대체해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려는 노력이 부족하다고 ... ...
- [과동키즈] "과학도의 역량은 어디서나 꼭 필요합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독립적 업무가 주어지는데요. 전체 프로젝트 내에서 특정 문제를 담당해, 가설 수립-보고서 구조 설계-결론 도출의 전체 과정을 담당 컨설턴트가 주도합니다. 이때부터 컨설턴트로서 제 몫을 한다고 말할 수 있죠. 과학고와 KAIST에서 받았던 이공계 학생으로서의 ‘훈련’이 이 시기부터 업무적으로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인공지능(AI) 그림도 예술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과학자들은 인간이 예술을 만드는 과정 또한 크게 다르지 않다고 말해요. 인간 역시 보고, 듣고,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나의 생각과 감정을 더해 예술을 표현하기 때문이에요. 아래 그림은 선생님이 직접 그려 본 AI 그림이에요. 마이크로소프트의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에 강아지 열 마리가 도넛을 ... ...
- [광고] 콩나물쌤과 함께하는 문해력 속담왕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행동이 슬기롭고 현명한지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지요.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 ‘콩으로 메주를 쑨다고 해도 안 믿는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같은 속담에선 우리 전통을 익힐 수 있습니다. 메주, 솥뚜껑, 소, 외양간 같은 단어들이 우리 문화를 잘 보여주기 때문이죠.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