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혼란
난잡
혼란 상태
소동
무정부 상태
혼잡
d라이브러리
"
무질서
"(으)로 총 22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자기장, 1000년 만에 역전된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자기장이라 이해하면 쉽다.비쌍극자 자기장은 전체 자기장 세기의 나머지 10%를 담당하는
무질서
한 자기장이다. 오른쪽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듯 비쌍극자 자기장의 세기나 방향은 육지나 바다 같은 지형과 아무런 관계가 없다. 심지어 같은 곳에서도 시간에 따라 세기와 방향이 변하기까지 한다. ... ...
확산, 기체 분자 스스로 떠나는 여행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때의 에너지인 열에너지로 변하는 것이 당연한 자연의 변화 방향이다. 볼츠만이 말한 ‘
무질서
도’라는 엔트로피에 대한 새로운 정의는 과학 분야 뿐 아니라 인문학, 사회학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한 곳에 모여 있던 기체 분자들이 스스로 운동해 사방으로 퍼지고 다른 분자와 섞이면서 ... ...
범죄 막는 도시 디자인, 셉테드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정작 줄리아니 시장이 시작한 일은 악명 높은 뉴욕의 낙서를 지우는 일이었다. 물리적
무질서
를 제거해 공동체의 자긍심을 높이고 사회적 통제 기능을 회복하는 일을 먼저 시작해 안전한 도시의 이미를 만들었다. 이런 사소한 일을 계속해 줄리아니 시장 재임 기간 동안 강력범죄가 44%나 줄었다 ... ...
금혜원 사진전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풀지 못한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복잡계물리학은 카오스 이론을 이용해
무질서
해 보이는 난류의 흐름 속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질서를 찾는다.재개발의 물결이 관점에서 재개발의 문제 역시 생각해 보자. ‘푸른 커튼’은 건물이 철거된 맨땅의 흙이 날리거나 침수되는 것을 막기 위해, ... ...
[Issue & Math] 수학을 그린 화가 브네의 작업 노트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난 포화를 표현하기 위해 여러 개의 수식을 겹쳤다. 마치 암호처럼 알 수 없는 것들이
무질서
하게 있는 것이다.작품에 이용한 수학은 나도 잘 모른다. 포화를 표현하기 위해선 모르는 것을 작품에 시도해야 했다.이것이 모험이고 다른 사람과 차별된 나만의 예술이다. 내가 하고 싶은 것은 단지 ... ...
수학 공부의 적극적인 확장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2배(19.5cm, 29.7cm)가 되도록 평행선을 긋는다(방향은 상관없음). ② 4절지에 이쑤시개를 20개
무질서
하게 떨어뜨리고, 평행선에 걸치는 개수를 센다. 이를 11번 반복한다(범위 밖으로 나간 이쑤시개는 제외시키거나 다시 던진다). ③ 4절지와 이쑤시개를 바꿔가며 실험을 반복한다. ④ 실험으로 얻어낸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될 수 있을까수학자 존 내쉬의 삶을 다룬 영화 ‘뷰티풀마인드’에는 학생시절의 내쉬가
무질서
한 비둘기의 움직임을 노트에 기록해 동료들의 비웃음을 사는 대목이 나온다. 하지만 내쉬의 친구들이 지금도 살아 있다면 크게 놀랄지도 모른다. 비둘기도 아니고 사람을 대상으로 비슷한 연구가 ... ...
[화학] 화학평형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물질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평형 상태는 에너지가 낮아지려는 경향인 엔탈피와
무질서
도가 증가하려는 경향인 엔트로피의 경쟁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얼음이 녹는 과정을 보자. 0℃ 이상에는 엔트로피가 우세해 얼음이 녹는 과정이 자발적이나 0℃ 이하에서는 엔탈피 측면이 우세해 ... ...
중력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중력이란 실제로 존재하는 기본적인 힘이 아니라 우주가 열역학 법칙을 따라 최대
무질서
도(엔트로피)를 갖다보니 나타나게 된 결과물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는 중력에 ‘엔트로피 힘’이라는 새로운 이름을 붙였다.감히 뉴턴과 아인슈타인에게 도전하다니, 학계에선 말도 안 되는 터무니없는 ... ...
무질서
구조로 빛을 저장하다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슈퍼컴퓨터로 계산해도 수백 년이 걸리는 문제를 단숨에 풀어 내는 양자컴퓨터.아직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양자컴퓨터 개발에 날개를 달아 줄 연구가 나왔습니다.덴마크의 과학자들은 규칙적으로 배열된 물질보다 질서 없이 무작위로 배열된 물질이 빛을 저장하는 데 더 효율적이란 사실을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