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무질서"(으)로 총 227건 검색되었습니다.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우주의 파멸을 앞당긴다. 그러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다양성을 늘리는 게 아니라 우주의 무질서도를 줄이는 것이다. 고로 정화는 꼭 필요하다. 진화선의 증가는 우주의 파멸을 앞당긴다. 따라서 정화는 우리의 의무, 피할 수 없는 의무이다. 진화는 이미 포화 상태에 다다랐다. 다양성은…….나는 ... ...
- 도사, 신선, 여래, 그리고 원숭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과연 있을까?) 무질서는 과연 정말로 질서가 없는 걸까? 고도로 복잡해진 질서를 과연 무질서와 구별할 수 있을까? 무의미는 어떠한가. 과연 정말로 아무런 의미도 없는 것이 존재할 수 있을까? 존재 자체가 벌써 하나의 의미가 아닌가. 무의미한 존재란 과연 가능할까?그러자 세상이, 우주-공간의 터 ... ...
- 해리 스위니 교수, 볼츠만 메달 수상! 검은 비닐봉투와 수선화의 공통점은?수학동아 l2013년 09호
- 갖고 자기 닮은 구조를 한 프랙탈은 복잡한 자연 현상을 해석할 때 요긴하게 쓰인다.“무질서해 보이는 혼돈 상태 속에 숨은 법칙을 찾는 것이 바로 ‘카오스 이론’입니다. 저는 카오스 현상을 간단명료하게 보여 주는 실험을 했는데, 이것이 카오스를 이론적으로도 정립하는 계기가 됐다고 봐요. ... ...
- [해외취재] 융합수학의 달인들이 모였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4중주로 연주했다. 수학적인 규칙에 따라 음악을 작곡했을 때와, 수학적인 규칙 없이 무질서하게 작곡했을 때 음악이 우리 귀에 어떻게 다르게 들리는지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내 손으로 직접 만드는 수학!특히 올해 브릿지학회에서는 참가자가 직접 디자인한 수학 구조물을 3D 프린터로 ...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없는 일정한 방향이 있다는 법칙. 열이 더운곳에서 찬 곳으로 이동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무질서도(엔트로피)가 증가한다는 의미로서 ‘엔트로피의 법칙’이라고도 한다. 이 법칙에 따라 에너지가 투입되지 않는 조직화된 모든 것은 시간이 가면서 물리적으로 붕괴된다.물리학자 에르빈 슈뢰딩거는 ... ...
- 도로시의 카오스 여행기 혼돈에 빠진 오즈를 구하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여러 가지 방식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체계를 ‘복잡계’라고 한다. 뇌의 행동은 언뜻 무질서해 보이지만, 질서와 혼돈이 균형을 이루며 스스로 새로운 패턴을 만들어 낸다. 예측 불가능해 보이지만, 이 새로운 패턴을 찾아내면 복잡해 보이는 뇌의 활동도 예측할 수 있다.실제로 포스텍 물리학과 ... ...
- 절대영도보다 낮은 온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에너지를 공급하면 모든 에너지 준위가 입자로 차 있는 ‘무한온도’가 된다. 이때 무질서도(엔트로피)가 최대가 된다. 그런데 만약 이 상태에서 에너지를 더 투입한다면 어떻게 될까. 마침내 음의 온도의 세계가 열린다.● 온도계를 거꾸로 뒤집는 기묘한 방법연구팀이 말한 ‘음의 온도’란 모든 ... ...
- [시사]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깨진 조각으로 질서를 만든 프랙탈의 대부 만델브로수학동아 l2013년 03호
- 유클리드 기하학에 매여서 프랙탈의 혼란스러움을 거부하던 비판자들에게, 불규칙과 무질서가 자연의 본질에 더 가깝다고 들려주는 말이다. 만델브로는 어떤 수학자였을까? 지적 호기심에 이끌린 수학계의 이단아브누아 만델브로는 35년간 IBM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다가 63세에 예일대 교수가 ... ...
- Let's MATH PARTY!수학동아 l2013년 02호
- 램지 정리 덕분에 이런 고민이 말끔히 해결됐다.파티 문제에서 시작된 램지 정리는 무질서한 것에서 질서를 찾아낼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현재는 네트워크와 인공지능 분야 등 여러 곳에서 활용되고 있다.램지수, 범위로 구한다에이, 뭐야? 결국 현재로선 모든 파티 문제의 답을 구할 수는 없는 ... ...
- 별빛이 폭포수가 되어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별은 사실 온도가 3만℃나 된다.원제 별 얼음폭포 | 미야사카 마사히로 | 일본질서와 무질서밤하늘을 카메라 셔터를 열고 찍은 사진으로, 별이 그린 규칙적인 호와 반딧불 떼가 그린 불규칙적인 흔적이 대조를 이룬다. 별과 자연, 그리고 인공 빛이 하나의 사진에 담겼다. ‘지구와 우주’ 부문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