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Chapter1] 기후 재앙에 맞서다!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에르고딕 이론Part4. 빙하 녹는 속도 알려주는 푸리에 법칙Part5. 지금과 다른 2억 년 뒤 세계지도Part6. 경사계로 화산 폭발 감지Part7. 소리로 식별하는 지진 전조 현상Part8. 미리 알고 태풍 피해 막기Part9. 침투 이론으로 산불 진행 ... ...
- 지금과 다른 2억 년 뒤 세계지도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년 뒤에는 지금의 북극해 자리에 아메리카와 아시아 대륙이 합쳐진 초대륙이, 약 2억 년 뒤에는 거기에 유럽과 아프리카 대륙까지 붙어버린 초대륙이 생길 것이라고 추측했다. 연구팀은 이 초대륙을 아메리카와 아시아를 합쳐 ‘아마시아’라고 이름 지었다 ... ...
- [기획]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가 제안하는 것으로, 렌틸, 귀리, 현미, 백미를 혼합한 뒤 전기 찜솥에서 조리하면 혈당지수가 낮은 밥을 만들 수 있다는 논리에서 나왔다. 정 교수는 저서 ‘느리게 늙는 법’을 통해 혈당지수가 낮은 밥을 섭취하는 것은 노화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설명한다. 여기서 ... ...
- 영화, 드라마 흥행 예측하는 AI 모형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지났는지를 85%의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었다. 이 모형으로 배우의 70%가 단 1년만 활동한 뒤 대중의 관심을 받지 못한 채 사라진다는 사실도 밝혔다. 게다가 이미 유명한 배우는 계속해서 작품 활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가 유명할수록 제작사에서 그 배우를 더 찾기 때문이다. 배우의 ... ...
- [인터뷰] 전 국민의 화학 선생님, 여인형 교수 “이 세상에 화학물질이 아닌 것이 있을까요?”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뜻이 있었던 건 아니다. 여 교수는 미국 아이오와주립대에서 화학 박사를 취득한 뒤 한국에너지연구소(현재의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다 동국대 화학과로 옮겨 31년을 지냈다. “시작은 우연이었어요. 교수가 되고 연구를 하려 했지만 함께 연구할 대학원생이 부족해지는 시점에서 ... ...
- 전술의 신 1. 그래프로 패스를 분석하라!수학동아 l2024년 03호
- 게재했다. 먼저 그는 선수 11명을 11개의 점으로 보고, 선수들 간의 패스를 선으로 본 뒤 그 관계를 행렬로 나타냈다. 예를 들어 4명의 선수가 그림 ❶과 같이 패스를 주고받았다고 하자. 행렬의 원소인 aij를 i가 j로 패스한 횟수라 한다면, a11은 0, a12는 1, a13은 1, a14는 0이다. 같은 방법으로 행렬의 모든 ... ...
- 홈 어드밴티지 정말 있을까?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날 수 있고, 루펠대머리수리가 지구에서 최대로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을 구했다. 그런 뒤 새가 애슐리 영이 있던 위치에 똥을 쌀 확률을 구하고, 여기에 애슐리 영 선수 입의 면적과 경기가 있던 올드 트래퍼드 경기장 면적에서 애슐리 영이 차지하는 비율까지 고려했다. 그 결과 새가 똥을 쌌는데 ... ...
- [신의 책] 세상을 해석하는 수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예를 들어 F3은 2니까, 토끼 행성과 지구와의 거리 수열의 2항은 100 - 7(2 - 1)로 93이에요. 그 뒤 항까지 손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만화에서 재미 요소로 등장한 피보나치 수열은 사실 꽃잎의 수, 솔방울과 해바라기 씨앗의 배열, 앵무조개 껍데기 등 자연에서 발견할 수 있어요. 이 수열은 사람들이 ... ...
- [한장의 과학] 집게가 소라 대신 플라스틱 집을 고른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차지할 정도로 널리 쓰이고 있었다. 금속(5.4%), 유리(5.4%), 금속과 유리 혼합(4.7%) 재질이 뒤를 이었다.연구팀은 “플라스틱은 해양 폐기물의 약 85%를 차지할 정도로 광범위하다”며, 이런 환경에서 육상 집게가 플라스틱 집을 고르는 네 가지 이유를 추측했다. 우선, 플라스틱 껍질의 재질이나 색이 ... ...
- [특별기획]Part2. SKA프로젝트 1000개의 펄사로 우주를 이해하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천체를 관측하고 있는 모습을 멀리서 보면 미어캣들이 무리 지어 상체를 들어 올린 뒤 먼 곳을 응시하는 모습이 떠올라, 잘 지은 이름이라는 생각이 든다. 더 빠르게 넓은 하늘을 보는전파 간섭계 어레이 그렇다면 MeerKAT은 어떻게 우주를 관측할까. MeerKAT은 현존하는 전파망원경 중 성능이 가장 좋은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