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녹음"(으)로 총 4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이돌 수학] AKMU와 작곡 속 수학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밝힌 바 있다. 악보를 쓸 줄 모르기 때문에 이찬혁은 기타를 가지고 코드와 멜로디를 녹음하며 곡을 쓴다고 한다. 따라서 수학이 없었다면 우리는 AKMU의 아름다운 노래들을 들을 수 없었을지 모른다. 기타가 정확하고 아름다운 소리를 내게 된 배경에는 ‘수학’이 있기 때문이다. ★기타와 17.81 ... ...
- [과학도서리뷰대회 수상자]책 리뷰의 달인을 찾았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닉네임도 붙였어요. 동영상을 만들 때마다 ‘안녕하세요, 책사입니다’라는 문장을 녹음할 때가 참 설렜답니다. 그리스와 로마 시대에는 과학과 철학이 한 몸이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다소 추상적이고 철학적인 설명이 많아 책을 이해하는 데 애를 먹었지만, 동영상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을 ... ...
- 소나기가 내리면 목숨을 걸고 튀어라! 호주 개구리 탐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동시에 녹음기를 설치해 개구리가 짝을 찾을 때 내는 울음소리도 녹음했지요. 녹음기가 1년간 잘 작동한다면 번식기를 알 수 있을 겁니다. 이같은 연구 방법은 한국과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연구 환경이 호주가 훨씬 위험하다는 것만 빼면요. 다만, 수 년간 이뤄지는 장기 생태 연구는 ... ...
- [가상인터뷰] 기름 잡으러 폴라리스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나는 각종 센서 장비를 싣고 오랫동안 바닷속에서 바닷물 표본 수집하고, 수중 소리를 녹음하고, 수온도 측정하는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어. Q 물 밖으로 나오지 않아도 위치를 알릴 수 있다고? A 응! 기존 자율수중로봇들은 GPS 센서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수면으로 ... ...
- [지구사랑탐사대] 어과동 키즈, 지사탐 어벤저스 되다! 스파이더맨 이형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조를 이뤄 수원청개구리를 탐사했어요. 캄캄한 밤에 밖에 나가 수원청개구리 울음소리를 녹음하고, GPS 정보를 입력했던 게 기억나요~. 2012년엔 홍승우 작가님, 산호 연구자와 함께 뉴칼레도니아로 떠나는 어린이 생태탐험대에도 참가했죠. 그때 봤던 바다가 진짜 예뻤어요! 뉴칼레도니아 탐험은 ... ...
- 아이유도 쓰네,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매표소처럼 주변 소음이 심한 곳이 대표적이다. 매표소 바깥에 마이크를 설치해 소음을 녹음한 뒤 이 소음과 정반대의 파형을 만들어 매표소 창구 안 스피커로 쏜다. 그러면 매표소 창구 직원이 고객의 목소리만 깨끗하게 들을 수 있다. 실제 미국과 멕시코 국경지대에서는 미 정부가 ... ...
- [열혈가족] 올해 목표는 거미와 친해지기! 푸른누리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반강제로 시작했지만 글쓰기가 점점 싫지만은 않아졌어요. 이제는 어딜 가면 기록하고 녹음하는 게 일상이 됐지요. Q기사 쓰는 게 힘들진 않나요?보통 밤에 쓰다가 잠들기를 몇 번 반복해야 기사 하나가 완성돼요. 사진이 업로드 되는 걸 기다리다 잠든 적도 있다니까요. 그래도 기사를 써 두면 ... ...
- [열혈 가족 인터뷰] 과학자 가족의 어과동 활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어딜 가든지 보고 들은 것들을 메모하고 팸플릿을 꼭 챙겼어요. 핸드폰 용량이 부족해 녹음을 할 수 없어 일일이 적느라 고생을 꽤 했죠. 가족 여행, 영화, 전시 등 모든 활동을 다 기사로 기록했답니다. 일본 아사히야마 동물원 기사는 처음 써서 그런지 아직도 기억에 남아요. ‘부럽다’, ‘가보고 ... ...
- 불로부터 지구를 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도구를 이용해 열대우림에서 나는 소리를 감시한답니다. 중고 스마트폰이 녹음기에서 녹음된 소리를 서버에 전송하면 이를 인공지능이 분석해 어떤 소리인지 구분해내는 거예요. 평소엔 자연의 소리만 들리지만, 사람이 불법으로 침입해 소리를 내면 이를 파악해 지역 단체에 경보를 알리는 거죠 ... ...
- 독도 해양생물의 다양성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같이 시간에 따라 식물군락이 변하는 것을 ‘천이 현상’이라고 한다”며, “갯녹음은 복합적 요인이 바다숲 생태계에 영향을 미쳐 나타나기 때문에 어떤 이유인지는 다양한 자료를 통해 진단해봐야 한다”고 밝혔어요. 이어 “해녀바위처럼 집중 분석 지점을 두고 해조류 군락의 변화, 성게의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