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너비"(으)로 총 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설계했고, 2001년 데이비드 스미스 미국 듀크대 교수가 이를 실물로 제작했다. 연구팀은 너비가 5cm, 높이가 1cm인 작은 구리관 주변에 10장의 메타물질 고리를 성벽처럼 겹겹이 세워 8.5GHz(기가헤르츠)의 전자기파가 구리관 주변으로 휘돌아 나가게 하는 데 성공했다. 2006년 펜드리 교수가 이것을 ... ...
- 3D프린팅, 나노세계로 줄이거나 조각하거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이 하이드로겔에 ‘양광자석판인쇄기법(Two-photon Lithography)’을 적용해 머리카락 한 가닥 너비로 만든 앨리스 캐릭터의 패턴을 20~200배 줄여 수백 nm 수준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양광자석판인쇄기법은 10nm 수준의 패턴을 입혀야 하는 반도체 생산과 같은 나노 공정 등에 널리 사용된다. 먼저 짧은 ... ...
- [SPACE]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고리는 토성 자신의 너비만큼이나 멀리까지 펼쳐져 있다. 암석과 먼지도 일부 있지만, 대부분은 얼음 입자로 구성돼 태양빛을 받아 빛나기까지 한다. 태양계 내의 ‘절대 반지’, 아니 ‘절대 고리’라고 하기에 손색이 없다. 그런 토성의 고리가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 ... ...
- [식물 속 동물 찾기] 내 안에 목침 있다 까마귀베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하늘을 바라보고 있어요. 반면 잎은 아래로 축 처지지요. 잎의 크기는 길이 6~12cm, 너비 2.5~4cm이고, 형태는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으로 끝이 매우 뾰족하고 톱니가 있어요. 까마귀베개는 전라도와 제주도 같은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 주로 서식하며, 음지와 양지, 바닷가와 도심지 모두에서 잘 ... ...
- [통합과학 교과서] 공간 조절 능력 획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싱크홀, 블루홀 바다 한가운데 금방이라도 빨려 들어갈 것 같은 커다란 구멍이 보여요. 너비 318m, 깊이 124m의 중앙아메리카 벨리즈에 있는 ‘그레이트 블루홀’이에요. 이런 구멍을 ‘블루홀’이라고 해요. 깊이가 급격하게 깊어져 주위 바다보다 훨씬 더 짙은 파란색을 띤다고 해서 붙여진 ... ...
- [통합과학 교과서] 두 번째 아이템의 행방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이때 뉴런과 뉴런 사이를 이동하려면 ‘시냅스’라는 틈을 지나야 해요. 시냅스의 너비는 최소 3.5nm에서 최대 20nm(1nm=10-9m)로, 신경전달물질을 이용해 이전 뉴런에서 받은 신호를 다음 뉴런으로 전달하지요. 아세틸콜린, 아드레날린 등 지금까지 약 100종류의 신경전달물질이 알려졌어요. 이런 ... ...
- [과학뉴스] 최초의 태양 탐사선 파커 발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열을 어떻게 견딜까요? 비결은 태양을 바라보는 쪽에 설치한 ‘태양열 방패’예요. 너비 2.4m, 두께 11.4cm 정도에 불과한 이 방패는 얇은 탄소판 사이에 스펀지처럼 생긴 탄소폼이 있어 열을 막아줘요. 태양과 마주 보는 탄소판은 흰색으로 코팅돼 뜨거운 태양 빛을 반사하지요.또 코로나의 온도는 수백 ...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하며 활공을 주로 하는 새들은 날갯짓을 많이 하는 청둥오리, 수리부엉이보다 깃대의 너비가 더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대신 날갯짓을 많이 해 위아래로 자주 움직이는 새는 깃가지가 표면을 더 빽빽하게 채우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팀은 이에 대해 깃털 사이로 빠져나가는 공기가 적을수록 ... ...
- [과학뉴스] 얼음으로 도로 결빙 막는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온도가 낮고 습한 환경에서 실험한 결과, 얇은 홈에 있는 얼음은 주변 습기를 흡수해 너비가 25배나 늘어났다. 반면 알루미늄판의 나머지 부분 중 80~90%는 마른 상태를 유지했다.연구팀의 파자드 아흐마디 연구원은 “실험에서 어떠한 화학물질을 추가하거나 코팅 기술을 사용하지 않았다”며 ... ...
- [Issue] 뇌는 커지고, 얼굴은 작아졌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걸쳐 한국인의 인체 치수를 조사했다. 키와 몸무게뿐만 아니라, 머리 수직 길이, 엉덩이 너비 등 총 133개 항목(2015년 기준)을 측정했다.1979년과 2015년의 측정 결과에서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키와 몸무게가 늘고 팔다리는 길어진 데 반해 얼굴 크기는 줄어들었다는 점이다(위 그림). 키의 경우 201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