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너비"(으)로 총 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한옥을 뚝딱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가져와 화면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세요. 한옥의 지붕을 층층이 높이 올릴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모양으로 만드는 명령이에요.➒ ‘코드시작’ 버튼을 누르고 Alt+Tab을 눌러 마인크래프트로 돌아가 채팅명령어를 ‘1’부터 ‘3’까지 차례대로 실행하세요. 이때 플레이어는 움직이면 안돼요 ... ...
- 태양계 끝 소외된 행성 ‘천왕성’의 재조명과학동아 l2022년 06호
- 9.5 AU 거리에 있음을 생각하면, 천왕성의 발견으로 당시 인류가 인지하고 있던 태양계의 너비가 두 배 이상 넓어진 셈이다.그렇게 멀리 떨어져 있다 보니 천왕성을 방문하는 일은 쉽지 않았다.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가 발사된 1957년을 우주 탐사의 원년이라 한다면 우리 인류의 우주 탐사 ... ...
- [출동! 슈퍼M] "신발 사이즈 220mm, 미국에선 4라고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5호
- 꼭 맞는 신발을 찾아줘요. 이때 카메라는 내 발의 길이뿐 아니라 발목의 길이, 발의 너비 등 13개의 자료를 측정해요. 이 자료를 토대로 많은 종류의 신발 중에서 가장 잘 맞는 신발을 추천해 주지요. 또 국내 스타트업 회사 ‘펄핏’도 이와 비슷한 앱을 만들었어요. 발 사진을 여러 장 찍으면, 이를 ... ...
- [드론으로 본 제주] 자연이 빚어낸 절경 ③ 동부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이것이 발달해 썰물 때 바닷속에 숨어 있던 길이 드러나면서 제주 본섬과 이어진다. 너비 500m, 길이 1500m의 ‘육계사주’가 만들어진 것이다. 육지와 연결되는 사주라는 뜻인데, 사주는 모래톱이 퇴적되면서 바다로 길게 돌출된 지형인 사취가 점점 성장해 육지나 연안의 섬과 연결된 형태를 말한다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마크에 파쿠르 게임방을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게임‘스카이라인 게임’은 길게 이어진 블록을 빠르게 달리는 게임이에요. 블록은 너비가 한 칸이고 끊어진 길도 있기 때문에 집중해서 플레이해야 한답니다. ➊ 코드작성기에서 채팅명령어를 ‘2’로 약속하세요. ➋ ‘변수’에서 변수 ‘시작위치’를 만든 뒤 ‘시작위치에 저장’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플레이어가 움직이면 저절로 꽃이 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잔디길’로 바꾸고 좌표를 그림과 같이 바꿔 주세요. 잔디길은 플레이어 아래에 3칸 너비로 설치되도록 했어요.➌ ‘블록 놓기’ 명령블록을 두 개 더 추가한 뒤, 블록을 ‘자작나무 울타리’로 바꾸고 좌표를 입력해 주세요. 잔디길 양옆에 울타리가 만들어져요. ➍ ‘블록 놓기’ 명령블록을 ... ...
- [수학뉴스] 새의 알 모양을 설명하는 보편적인 수학 공식 개발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곡선을 따르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래서 난형 공식을 변형해 알의 길이, 알의 최대 너비, 수직 축의 이동, 달걀 길이의 지점에서의 직경을 매개변수로 하는 새로운 공식을 도출했습니다. 이상형 알 모양에 대한 보편적인 수학 공식을 발견한 것입니다. 발레리 나루신 우크라이나 환경 치료 연구소 ... ...
- 서울 땅 3m 아래 조선의 금속 유물과 만나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년(1434년)이나 이 시기에는 2치 5푼(약 5cm) 너비의 주전을 사용했다. 이번에 발굴된 주전은 너비가 약 11cm로 중종 31년(1536년) 새로 제작된 자격루의 주전이거나 세종 20년(1438년) 제작된 흠경각 옥루의 것으로 추정됐다. 이밖에도 ‘만력무자년’(1588년)이 새겨진 소승자총통 7점과 ‘계미년’(1583년 .. ...
- [SF소설] 랄로랑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직각자자리 은하팔에 있는 것 같네요.」 인공지능 카론의 말에 나는 감상을 접는다. 너비가 3m가 채 되지 않는 정방형 공간 안에서 관성에 몸을 맡기며 빙글 돌아 카론의 화면을 본다. 우리은하의 모습이 보이고 나선 팔 하나에 동그라미가 그려져 있다. “그래도 어딘지 아는 게 어디야.”「은하 ... ...
- [한페이지 뉴스] 거시세계에서도 증명된 양자얽힘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두 연구결과가 연달아 발표됐다. 양자역학 관점에서는 엄청나게 큰 물체인 머리카락 너비의 5분의 1 크기 알루미늄 원형 조각에 벌어진 일이다.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와 콜로라도볼더대 공동연구팀은 두 개의 원형 알루미늄 조각 사이에 양자얽힘 현상이 나타남을 증명해 국제학술지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