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장
천정점
꼭대기
양미간
눈살
미간
천문
d라이브러리
"
천정
"(으)로 총 171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광속 우주선 타고 천체쇼 관람
과학동아
l
200009
자랑하는 헤이든 플래네타리움(천체관)이다. 이 곳에서는 한꺼번에 4백29명의 관람객이
천정
에 펼쳐진 돔 모양의 스크린을 보면서 거의 누운 자세로 3차원의 우주쇼를 즐길 수 있다.헤이든 천체관은 현재 지구상에서 일반인들이 체험해볼 수 있는 가장 크고 강력한 가상현실 시뮬레이터로, ... ...
케플러와 그의 법칙
과학동아
l
200008
말하기는 힘들어서 각거리라는 방법을 쓴다.각거리는 두 지점 사이의 각도를 잰 것으로
천정
에 있는 별과 지평선에 있는 별을 각거리로 나타내면 90˚이다.각거리를 정확히 재려면 망원경이 달린 정밀한 관측기기가 있어야 한다.케플러가 인용한 티코의 관측자료는 모두 천체망원경이 발명되기 ... ...
남십자성과 에타카리나 성운
과학동아
l
200004
높이 남중하게 될 것이다.새벽이 가까워 오면서 우리에게 친숙한 전갈자리와 궁수자리가
천정
으로 올라오면 은하수는 동서로 길게 온 하늘을 가로지르는 장관을 펼쳐 보이기 시작한다.그러나 서서히 동이 트며 별들이 사라지고 아쉬움 속에 카메라와 망원경을 닫고 잠자리에 들었다 ... ...
3월 하늘의 북두칠성 시계
과학동아
l
200003
북두칠성 국자 손잡이가 시작되는 부분에 있는 델타(δ)별과 감마(r)별을 연결해 계속
천정
쪽으로 이어가면 사자자리의 감마별인 알기에바를 지나 알파별인 레굴루스를 찾을 수 있다. 사자자리는 별자리의 모습에서 그 동물을 연상할 수 있을 만큼 뚜렷한 형태를 보여준다. 커다란 물음표처럼 생긴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12
수직으로 떠오르고 진다. 이때 북극성은 항상 지평선에 걸려 있다. 북극이나 남극에서는
천정
을 중심으로 모든 별들이 돌기만 하고 뜨고 지는 별은 없다.하루 밤사이 별의 움직임으로 지구의 자전을 알 수 있지만, 공전에 따른 밤하늘의 변화를 알기 위해서는 더 긴 시간이 필요하다. 만약 지구가 ... ...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은 하현달
과학동아
l
199912
지평선 아래로 졌을 가능성이 있다. 목동자리 1등성 아크투루스는 보일 수 있지만, 이는
천정
부근의 별이므로 고도가 너무 높아 달과 함께 나온다고 보기는 힘들다. 때문에 이 별은 행성이었을 가능성이 크며 그 중에서 금성이 유력하다. 화성이나 목성 같은 외행성도 가능성이 있지만, 가을철 서쪽 ... ...
사자자리 유성우 관측가이드
과학동아
l
199911
넓은 범위를 봐야 하므로 의자가 있으면 편하다. 4시 이후로는 복사점도 높아지고
천정
부근에 유성이 많아지므로, 매트를 깔고 슬리핑백이나 모포를 준비해서 누워서 보는 것이 가장 좋다. 11월의 밤은 꽤 춥기 때문에 방한에 많은 신경을 써야한다. 드러누워 보는 것이 제일 좋지만 잠들어 버리지는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11
우리나라에서는 1년 내내 볼 수 있다. 봄에는 북쪽 지평선 위에서 W자 모양으로 가을엔
천정
부근에서 M자 모양으로 걸려있는데, 북두칠성과 같이 북극성을 찾아주는 길잡이 별자리이기도 하다.하늘 높이 걸린 카시오페이아를 관찰하려면 일단 드러눕는 것이 좋다. 그리고 쌍안경으로 별자리의 ... ...
홍수 막는 물고기 입 포말하우트
과학동아
l
199909
있어 별자리 모양을 모두 그려보기 어렵다. 남반구 하늘에서는 두루미 자리와 함께 9월에
천정
을 장식하는 가장 뚜렷한 별자리이다. 오래된 성도에는 위쪽에 있는 물병자리의 물병에서 흘러나온 물이 물고기의 입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는데, 이 물고기가 세상의 홍수를 ... ...
은하수가 흘러넘치는 7월의 슬픈 사연들
과학동아
l
199907
빛나는 알파(α)별 직녀성은 적위가 38도 47분으로 우리나라(특히 평양 이남)에서는
천정
을 통과하는 유일한 1등성이다. 발긱가 0.03등급으로 전하늘에서 5번째, 북쪽하늘에서는 아크투루스에 이어 2번째로 밝은 별로 19세기 중반 이래로 0등성의 기준 별로 이용돼 왔다. 직녀성의 또다른 이름 베가는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