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장
천정점
꼭대기
양미간
눈살
미간
천문
d라이브러리
"
천정
"(으)로 총 171건 검색되었습니다.
남쪽 밤하늘 황도 12궁이 지배
과학동아
l
199405
아크투루스, 처녀자리의 스피카로 이어지는 봄의 대곡선은 이제 고도가 높아져
천정
을 감싸는 모습이다. 북쪽의 밤하늘이달 정북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북두칠성은 큰곰의 엉덩이와 꼬리에 불과하다. 큰곰자리를 구성하는 모든 별들을 찾아서 연결해보면 굉장히 큰영역에 걸쳐져 있는 별자리라는 ... ...
아크투루스가 주도하는 봄의 대곡선
과학동아
l
199404
대삼각형에게 양보한다. 시간이 더 지나 새벽녘이 되면 이 여름철의 대표 별자리들도
천정
근처로 물러나고, 동쪽 지평선에는 페가수수자리의 정사각형중 한변을 이루는 두개의 별과 남쪽물고기자리의 1등성 포말하우트가 각각 약간씩 북쪽과 남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떠오른다.이들의 중앙에는 ... ...
지동설을 탄생시킨 목성의 4대위성
과학동아
l
199402
성도에는 북극성의 알파성과 베타성을 이용하여 북극성을 찾는 요령을 표시하여 놓았다.
천정
쪽으로 치우친 곳에는 겨울의 대표적인 산개성단들을 거느린 마차부자리가 1등성인 카펠라를 앞세워 별밤지기들의 시선을 끌려는듯 다른 때보다 더 천천히 움직여가는 느낌이다.2월 남쪽 밤하늘비스듬히 ... ...
3.3년 주기 엥케혜성
과학동아
l
199401
져버리려 한다. 북극성을 바라보며 그 근처에서 보게 되는 백조자리는 한여름에
천정
에서 볼 때와 달리, 이 별자리가 상당히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된다. 이달 북쪽하늘에서 가장 뚜렷하게 볼 수 있는 별자리는 서쪽으로 치우친 곳의 카시오페이아와 동쪽으로 치우친 곳의 ... ...
천체관측의 만능자, 항성시를 알자
과학동아
l
199401
남중한 혜성의 적경을 구할 수 있다. 어떤 지방의 천구 적도면은 그 지방의 위도 만큼
천정
으로부터 지평면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적위를 구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항성시를 알고 있으면 적경을 알고 있는 천체들이 지금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알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지금의 태양시가 5시 30분쯤 ... ...
서울의 밤하늘, 경남 단성보다 7배오염
과학동아
l
199310
넘어가면서 관측시간이 맞지 않아 포기했다. 원래 목적은 도시별로 북쪽(북극성)
천정
(거문고) 남쪽(전갈) 등을 동시에 관측해 도시내에서도 어느쪽이 더 광공해가 심한지를 알아보려고 했으나 대부분 관측지가 사방이 다 트인 곳이 드물어 이 기획이 '의욕과잉'임이 드러났다.20여개 대학 ... ...
임금님의 궁전을 보호하는 외각성들
과학동아
l
199310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가을의 대사각형을 이루는 페가수스자리와 안드로메다자리가
천정
을 나는 이달 말쯤이면 새벽에 찾아오는 강한 추위를 어떻게 막을것인가가 관측회를 준비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낮에만 활동하던 평상시를 생각하고 방한복을 제대로 챙기지 않는다면, 어렵게 간 ... ...
공해로 사라진 밤하늘, 꿈과 낭만의별하늘로 되살리자
과학동아
l
199309
날씨탓으로 흥겨운 음악과 율동만으로 만족해야 했다. 캠프파이어가 진행되는 동안 잠시
천정
에 직녀별이 모습을 나타내고 뒤이어 견우별과 데네브가 수줍음을 띠고 선보이자 참가자들은 환호성을 질렀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다시 밤하늘은 먹구름으로 뒤덮였다.10시부터 진행될 관측은 실내 ... ...
이산화탄소 흡수하는 신소재 콘크리트 개발
과학동아
l
199307
모든 건축물에 적합하지는 않다. 구멍이 많아 공기나 물을 투과시키기 때문에 빌딩의
천정
이나 외벽에는 사용할 수 없다. 우선은 발전소나 제철소 등 이산화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대형시설이나 양식장에서 그 능력을 시험할 수 있으며, 도로포장에 사용할 경우 자동차가 배출하는 탄산가스를 ... ...
물병자리 델타 유성군의 장관
과학동아
l
199307
급격히 악화되어 '보통'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게 된다. 고도 30도 되는 지역에서 당신은
천정
을 관측할 때보다 두배나 두꺼운 대기를 뚫어야 하며 25도 지역은 2.5배, 10도 되는 지역은 6배 두께의 대기를 뚫어야 한다. 기층교란의 가장 파괴적인 형태는 각 기층의 경계에서 발생한다. 기층의 경계에서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