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른쪽"(으)로 총 1,428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01
- 연구소가 개발하는 ‘케어오봇(Care-o-bot)’과 일본의 소프트뱅크 로보틱스의 ‘페퍼(오른쪽 사진)’는 머리와 눈을 일부 움직이며, 팔과 손을 가지고 동작을 하고, 바퀴로 이동할 수 있는 인간형 로봇이다.이 로봇들은 아직은 간단한 대화를 하고 상점을 안내하는 등의 활동을 한다. 하지만 앞으로 ... ...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과학동아 l201701
- 논문이 발표됐다. 네덜란드 델프트공대 칼비나노과학연구소 레오 쿠벤호벤 교수팀(오른쪽 사진)은 나노미터 수준으로 얇은 금속선을 만든 뒤 그걸 금과 초전도체 전극에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이론적인 계산에 따르면나노선의 양쪽 끝에 두 개의 마요라나 ... ...
- [현장취재] 2016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우리는 모두 시민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24
- 시간도 마련됐어요. 벌들의 합창 팀의 현준서대원은 1년 동안 집과 학교를 오가며 쌍살벌(오른쪽 사진)을 관찰한 결과를 발표했어요. 집짓기와 번식, 먹이활동 등 전문가 못지 않은 탐구 내용에 큰 박수가 쏟아졌지요. 특히 쌍살벌의 사진과 동영상이 마치 한 편의 다큐멘터리를 보는 것 같았답니다 ... ...
- [도전! 코드마스터] 블록만 옮기면 코딩 끝?어린이과학동아 l201623
- 언어를 배우지 않아도 되지요. 스크래치를 실행하고 화면 왼쪽에 있는 블록을 오른쪽으로 옮기면 스‘프라이트’라 불리는 여러 종류의 캐릭터를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답니다.예를 들어 고양이 모양의 스프라이트를 신나는 음악에 맞춰 춤추게 하고 싶다고 해요. 그럼 고양이를 가로 세로 대각선 ... ...
- Part 3. [생체열쇠 - 둘] 홍채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평생 변하지 않아요. 일란성 쌍둥이도 서로 다르며, 심지어 같은 사람일지라도 왼쪽과 오른쪽이 다를 정도로 매우 고유한 정보랍니다.사실 눈을 이용한 개인 식별 기술 중 가장 먼저 연구된 것은 망막이에요. 망막은 안구의 가장 안쪽을 덮고 있는 투명한 신경조직으로, 물체의 상이 맺히는 곳이지요 ... ...
- [도전! 코드마스터] 좋은 알고리즘은 빠른 알고리즘?어린이과학동아 l201619
- 반면 퀵 정렬은 임의로 데이터 하나를 기준으로 잡은 뒤, 그보다 큰 데이터는 오른쪽으로 적은 데이터는 왼쪽으로 보내는 방법이지요.거품 정렬은 ‘옆에 있는 데이터와 크기를 비교하라’, ‘크기에 따라 순서를 바꿔라’ 등 적은 양의 명령어만 있으면 ‘일’을 할 수 있어요. 그래서 코드도 ... ...
- [해외취재] 비만 잡는 ‘움직이는 학교’어린이과학동아 l201618
- 그래서 세이나요키는 지난 2013년부터 어린이 비만 예방프로그램을 시작했어요. 그 결과, 오른쪽 표처럼 어린이 비만을 거의 절반으로 줄일 수 있었답니다. 겨우 3년 만에 어린이의 비만을 크게 줄일 수 있었던 비밀은 과연 무엇일까요? * 과체중과 비만 : 어른의 경우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 ...
- Part 3. 자동차, 안전을 책임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17
- IT기업인 ‘소프트뱅크’는 2014년에 최초로 감정을 읽는 로봇인 ‘페퍼’를 개발했어요(오른쪽 사진). 페퍼에 들어 있는 ‘감정 엔진’에는 기분에 따른 얼굴 근육 움직임과 목소리 변화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어 있어요. 카메라와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표정과 목소리가 입력되면 감정 엔진이 이를 ... ...
- [도전! 코드 마스터] 전봇대에도 알고리즘이 숨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16
- 계속 더할 위험이 있답니다.예를 들어 A, B, C, D 네 지점을 잇는 그래프를 살펴볼게요(오른쪽 페이지(아래 그래프)). 일반적인 그래프를 그릴 때는 A-B-C-D 순으로 길을 이은 다음, D에서 나온 선이 앞의 세 점 중 어느 곳으로도 연결될 수 있어요. 하지만 신장 트리에서는 A-B-C-D에서 끝이 나야 한답니다. ... ...
- [출동! 섭섭박사] 칠교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15
- 툭 튀어나온 부분을 만든 왼쪽과, 큰 직각이등변삼각형 두 개를 붙여 만든 오른쪽을 ‘같다’고 생각한답니다. 이처럼 변의 길이가 일으키는 착시를 이용해 비슷하지만 다른 모양 두 개를 만드는 것을 ‘칠교 패러독스’ 또는 ‘칠교 착시’라고 불러요. 친구들은 직접 만든 칠교로 섭섭박사님과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