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른쪽"(으)로 총 1,42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08
- 행동을 일으키는 유전자는 다음 세대에 복제본을 현 세대보다 더 많이 남기게 된다(오른쪽 페이지 그림 참조).이처럼 포괄 적합도가 어디까지나 개체의 관점에서 바라본 개념임은 다음 인용문에서도 드러난다.각각의 개별적인 행동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개체는 자신의 적합도에 대비해 그 상황에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건전지 없이 전구에 불 켜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08
- 은판과 아연판, 소금물에 적신 골판지를 겹겹이 쌓아 세계 최초로 전지를 만들었다(오른쪽 사진). 볼타전지에서 은은 구리나 탄소막대와 같은 역할을 한다. 예전 10원짜리 동전(구리)과 새로 나온 10원짜리 동전(알루미늄) 사이에 소금물에 적신 휴지를 넣고 이를 층층이 쌓으면 현대판 볼타전지를 ... ...
- [재미] 매미에게도 귀가 있을까?수학동아 l201608
- 예를 들어 왼쪽에서 나는 소리는 왼쪽 귀에 먼저 닿은 뒤 오른쪽 귀에 닿지요. 또한 오른쪽 귀보다 왼쪽 귀에서 조금 더 크게 들려요. 이런 미묘한 차이를 이용해 소리가 나는 방향을 알 수 있답니다.그런데 프랑스의 곤충학자인 장 앙리 파브르가 쓴 에는 매미에게 귀가 없다고 적혀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수학동아 l201608
- 등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출판업자의 조언을 참고해 여백은 위쪽 23, 머리말 0, 왼쪽 20, 오른쪽 20, 아래쪽 10, 꼬리말 20 정도로, 글자 크기는 9.8PT, 장평은 97%, 자간은 -7%, 행간은 175%로 했더니 글이 잘 읽히는 책이 나왔습니다. 그 다음 고려할 사항은 바로 ‘색깔’입니다. 요즘 나오는 책은 대부분 ... ...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과학동아 l201608
- 수평 전달 방식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박테리아의 유전자 일부가 박테리오파지(오른쪽 그림 ①)나 작은 DNA인 플라스미드(②)를 통해 다른 개체 속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 죽은 미생물이 남긴 DNA조각을 다른 박테리아가 흡수(③)하면서 자신의 유전자에 변화를 일으킬 수도 있다. 윤환수 성균관대 ... ...
- [Tech & Fun] DGIST 학생들이 학교로 피서를 떠난 까닭은과학동아 l201608
- 중인데, 때마침 과학동아 기자가 찾아와 일을 덜었다(?)며 모두 반가워했다. ▲황현정 씨(오른쪽)와 UGRP 팀원들. 맨 뒤에서 턱을 괴고 있는 이는 이들의 지도교수인 김대륜 기초학부 교수.◀인턴 프로그램 동안 손상혁 펠로우팀은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스마트홈을 연구한다.슈퍼컴퓨터부터 펠로우 ... ...
- Part 2. 생활에서도 스포츠 컨디셔닝하라과학동아 l201608
- 나면 양쪽 균형이 깨졌다는 얘기야. 역도는 균형이 중요한데 잘못하면 바로 부상이야. 오른쪽 다리 근육, 그중에서도 뒤쪽을 키워주는 훈련을 더 열심히 해야 해.” 이희종 연구원의 말에 선수들은 여느 국가대표 못지않게 진지했다.분석은 이것으로 끝나지 않았다. 선수들이 센터를 떠나면 ...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07
- 직접 하플로그룹을 확인할 수 있게 도와주는 실험실도 있다. 한국은 아직 불가능하다(오른쪽 기사 참조).나의 하플로그룹은 어디에 있을까기획을 하고, 취재를 하는 내내 너무나 궁금한 것이 있었다. ‘대체, 내 미토콘드리아 하플로그룹은 무엇일까.’ 피펫 좀 잡아본 기자가 머릿속으로 실험계획을 ... ...
- [Tech & Fun] 스위스 폴쉐르 연구소과학동아 l201607
- Neutron Source)’가 바로 그것입니다.삼형제 중 가장 잘 알려진 시설은 SLS입니다(위 사진 오른쪽에 보이는 원형 시설). 규모나 원리 면에서 우리나라 포항가속기연구소에 있는 3세대 방사광가속기와 굉장히 유사한데요. 둘레가 288m인 거대한 고리 모양 구조물 안에서(포항 가속기는 둘레가 280m) 전자가 ... ...
- [Knowledge] 화성 탐사? 여성 우주비행사 연구부터과학동아 l201607
- 반면 우주비행 동안 청력 감퇴는 남성이 훨씬 심했다. 특히 남성은 왼쪽 귀의 청력이 오른쪽 귀보다 빨리 감퇴하는 현상이 나타났다.우주비행과 관련해 가장 심각한 건강위험 중 하나인 ‘두개내압 상승으로 인한 시각 장애(VIIP)’에서도 성별 차이가 있었다. 이 장애가 생기면 시야가 좁아지고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