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린벌레
유충
번데기
에벌레
d라이브러리
"
애벌레
"(으)로 총 23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자와 사람 기생충이 닮았다?
과학동아
l
201304
인류는 사자와 경쟁하며 초식동물을 먹기 시작했다.초식동물의 몸에 있던 사자 기생충의
애벌레
도 자연히 사람에게 들어가기를 반복했다. 물론 야생동물의 기생충이 아무리 사람에게 들어간다 하더라도 곧바로 사람에게 감염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아프리카의 친척 인류는 계속해서 초식동물을 ... ...
‘엄마 손은 약손’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301
있는 단백질 NOMPC를 발견했다.
애벌레
의 수상돌기에서 NOMPC를 떼어내고 자극을 줬더니
애벌레
는 아무런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NOMPC를 이식하고 자극을 주자 인지하는 반응을 보였다. 실험을 통해 처음으로 부드러운 촉각을 지각하는 필수 물질을 찾아낸 것이다. 촉각은 시각, 5감 중에서 신경전달 ... ...
초파리
애벌레
가 찾아낸 촉각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1
바람에 마구 웃음이 나오고 있거든요. 마치 엄마의 손길과 같은 느낌이에요~.초파리
애벌레
가 촉각을 느낀다니 대단한걸!제 몸 안에 부드럽게 만지거나 쓰다듬는 감각을 느끼는 단백질 ‘NOMPC’가 있기 때문이에요. 동물의 신경세포에는 다른 신경세포가 보내는 전기 신호를 받아서 전달하는 ... ...
쇠똥구리가 쇠똥을 굴리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22
필요가 없어요. 똥구슬은 알을 낳아
애벌레
를 키울 수 있는 따뜻한 요람이기도 해요.
애벌레
가 태어났을 때 맛있는 먹이를 바로 먹을 수 있거든요. 우린 거리를 깨끗하게 청소하는 역할도 하죠. 만약 우리가 똥을 굴리지 않았다면 옛날시골길에는 길마다 똥들이 잔뜩 널려 있었을 거예요!조금씩 ... ...
벌도~ 사람도~ 벌벌 떠는 포식자 말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6
독 성분도 가졌지요. 또 우리는 특이하게 생긴 집을 짓고 살아요. 대개 벌집은
애벌레
방이 바깥에서 보일 정도로 노출되어 있어요. 그래서 육각형 모양의 방마다 꽃가루와 꿀이 알록달록 채워져 있죠. 하지만 우리는 공처럼 둥글고 바깥에서 안쪽이 잘 보이지 않는 집을 지어요. 대가족일 경우에는 ... ...
나비가 너울너울 ,2012 예천 곤충바이오엑스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5
벌 중에서도 가장 독한 침을 자랑한대. 이 말벌집 안에는 여왕벌의 방 1개와 일벌과
애벌레
가 사용하는 방 6만 7000개가 들어 있어. 2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나비관찰원너풀너풀 날던 흰나비가 지쳤는지 가느다란 풀잎에 앉았어. 곧 꽃가루를 묻히러 꽃잎으로 날아갔지. 무수히 많은 화려한 나비들이 ... ...
이슬 맺힌 나비와 소리없는 대화를 속삭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3
피는 봄이 오면백목련을 만난 호랑나비가 기쁨의 춤을 추고 있다. 겨울 내 땅속에서
애벌레
로 지내던 호랑나비에게 백목련이 피는 시기는 인생의 절정일 것이다. 물방울이 도넛처럼 동그랗게 보이는 건 ‘반사렌즈’라는 특수렌즈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작가는 사진을 찍으러 다니며 이미 순수한 ... ...
과학으로 그린 비밀의 정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3
따라서 물이 더러워지면 먹이가 없어서 살 수 없어요. 또 물이 흐르는 속도가 빨라도
애벌레
들이 쉽게 떠내려가서 살 수 없지요. 정광산 계곡에 사는 반딧불이는 그 수가 적고 계곡 물살이 빨라 서식 조건이 좋지 않았어요. 그래서 수목원을 지을 때 계곡 곳곳에 돌을 쌓아 빠른 물 속도를 줄이고, ... ...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3
곤충이라는 사실로 오해하진 마!장수하늘소는 우리나라 하늘소 중에서 가장 큰 종이야.
애벌레
가 나무줄기에 큰 구멍을 뚫고 들어가 살아 피해를 입히기도 하지. 서울 북한산과 경기 광릉에서 살았는데 지금은 거의 볼 수가 없어. 금속 광택이 강한 비단벌레는 최근 전남 해남과 완도에서 몇 마리가 ... ...
장수하늘소 인공증식 성공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2
인공증식이란 장수하늘소 암수 한 쌍을 짝지어 알을 낳게 한 다음, 거기서 태어난
애벌레
가 번데기를 거쳐 성충이 되기까지 키우는 과정을 말해요. 천연기념물 제218호이자 멸종위기야생동식물 1급인 장수하늘소를 복원하는 일에 성공한 사람은 강원 영월곤충박물관의 이대암 관장이에요. 이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