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린벌레
유충
번데기
에벌레
d라이브러리
"
애벌레
"(으)로 총 23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10
하지 않는다. 모습은 사진으로 찍고, 행동은 머릿속에 기억한다. 곤충 한 종이 알에서
애벌레
를 거쳐 성충이 되는 모습을 수년 동안 관찰해 확연하게 정리가 되면 그때서야 글을 쓰기 시작한다. 그녀에겐 카메라가 수첩이고 메모지며 돋보기다.우리 곤충 전체를 기록한다국내에도 곤충을 기록한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1510
죽었다고 생각했다니, 이전 학자들은 제대로 관찰하지 않았음에 틀림없다. 노래기벌의
애벌레
는 죽은 비단벌레 시체는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오직 살아있는 비단벌레의 내장만 먹는다. 나는 이 사실을 밝혀 프랑스 학사원으로부터 몽티용 상을 받았다. 찰스 다윈도 ‘종의 기원’에서 내 이름을 ... ...
지친 곤충들만 오세요~! 곤충호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
알에서 태어난
애벌레
는 도토리 안에서 열매를 먹으며 자라요. 그러다 이듬해 봄이 되면
애벌레
는 똥을 가득 싸 놓은 뒤 도토리를 탈출한답니다. 4월쯤부터 어른이 된 도토리바구미를 만나 볼 수 있을 거예요.최숙영 숲 해설가님의 재미있는 설명을 들으며 숲길을 걷는 동안 한 봉지 가득 나뭇가지가 ... ...
[화보] 안드레이의 환상적인 개미나라 FANTASY월드
수학동아
l
201505
개미를 존중한다. 항상 부지런히 먹이를 찾아 움직이고 제각각 맡은 일을 한다. 알과
애벌레
를 돌보거나, 나이 든 개미를 보살피는 모습을 보면 존경심까지 든다.”안드레이는 개미와 자신이 떼려야 뗄 수 없는 영원한 친구라고 소개해요. 그래서 작품에도 ‘안트레이’라고 사인을 하지요. 자신의 ... ...
[Hot Issue]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04
구멍이다. (우) 침입공만 있고 탈출공이 없는 고사목을 베어내자, 월동 중인 매개곤충
애벌레
가 나왔다.]조기진단 어려워… 고사목 제거하는 게 최선지난해 산림청이 파악한 공식 피해목수는 218만 그루. 우리나라에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가 처음 발생한 이후로 최대치다. 그 여파가 올해도 이어지고 ... ...
[Life & Tech] 식중독 바이러스가 면역력 높인다?
과학동아
l
201503
속에 존재하는 바이러스가 해로운 세균을 물리친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또 기생벌은
애벌레
몸 속에 알을 낳는데, 기생벌이 옮기는 바이러스가 벌의 알을 보호한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지기도 했다. 정 교수는 “이처럼 숙주의 몸에 숨어 조용히 살거나 심지어 도움을 주는 바이러스는 전부 ... ...
[생활] 빅 히어로 천재 형제, 가장 사랑스러운 슈퍼히어로를 만들다
수학동아
l
201502
트림머 교수는 담뱃잎을 먹는 박각시나방
애벌레
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애벌레
처럼 움직이는 소프트봇을 개발했다. 트림머 교수는 가장 먼저 로봇의 관절을 없앴다. 실리콘을 둘둘 말아 몸통을 만든 다음 전기회로를 이용해 소프트봇을 우아하고 유연하게 움직이도록 만들었다. 이렇게 유연하게 ... ...
쌍잠자리는 왜 같이 날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22
뒤에 있는 암컷이 배를 앞으로 구부려 고리 모양을 만든다.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은 ‘
애벌레
’ 또는 ‘유충’이라 하고, 불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은 ‘약충’이라고 한다. 잠자리는 번데기를 거치지 않는 불완전변태를 하기 때문에 약충이라고 부른다.정자경쟁과 짝 지키기습지 위에서 영역을 ... ...
사슴벌레 VS 장수풍뎅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3
과시하기 위해 커졌다고 해요. 암컷도 큰턱이 있지만 짧지요. 장수풍뎅이와 비슷하게
애벌레
때는 썩은 나무나 부식토 같은 곳에서 살고, 성충이 되면 나무액을 먹으며 산답니다. 전 세계에 1000여 종이 알려져 있는데 대부분 열대 아시아에서 살고 있지요. 하늘소원통 모양으로 가늘고 길며 색이 ... ...
[knowledge] 야생담배의 매력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1410
꽃을 만들어 자신의 자손(씨앗)을 남기기 위한 활동을 다시 시작한다.재미있는 것은
애벌레
일 때 천적이었던 만두카가 다 자라 나방이 되면 야생담배의 꽃가루를 멀리 있는 다른 꽃에 묻혀 수정을 도와준다는 점이다. 그래서 주로 밤에 날아다니는 만두카 나방을 유인하기 위해, 야생담배의 꽃은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