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으)로 총 4,653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나노셀룰로오스의 세계, 나무 갈아 배터리 만든다?과학동아 l201706
- 만한 크기의 알루미늄 호일이 놓여 있었다. 그런데 그냥 호일이 아니었다. 양쪽에 전선을 물리자, 회로 가운데에 연결된 꼬마전구에 불이 들어 왔다. 나노셀룰로오스로 만든, 접을 수 있는 배터리였다.병원이나 대학 전자공학과 연구실에서 볼 법한 물건들이 왜 산림과학원에 있는 걸까. 놀랍게도, ... ...
- 고등학생이 수학자와 저글링을 연구한 사연수학동아 l201705
- 017년 2월 19일, 수학이나 물리학 관련 논문을 모아 놓는 웹사이트 ‘아카이브’에 재밌는 논문이 하나 올라왔다. 4명의 저자가 참여한 이 논문은 저글링 패턴 계산과 관련된 내용이었다. 놀라운 사실은 그중 3명이 우리나라 고등학생이라는 것이다. 대학생도 힘들어하는 논문을 고등학생이 썼다니, 이 ... ...
- [과학뉴스] 생체시계로 루게릭병 비밀 밝힐까과학동아 l201705
- 이론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이 앓고 있는 병으로 잘 알려진 루게릭병은 운동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망가지는 병이다. 아직까지 이 병이 어떤 원인으로 생기는지 모르며, 치료법도 찾지 못했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파민이 작용하는 신경세포만 망가지는 파킨슨병도 원인이나 치료법을 알지 못한다. ... ...
- [과학뉴스] 베일에 싸였던 ‘나선형 천체’ 비밀과학동아 l201705
- 껍질을 가진 천체의 비밀이 밝혀졌다. 대만중앙연구원 천문천체물리연구소 김효선 연구원팀은 주위에 나선형 패턴이 나타나는 독특한 천체인 페가수스자리 LL의 3차원 구조와 그 원인을 ‘네이처 천문학’ 3월호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2006년 처음 세상에 알려진 이 나선형 패턴의 천체는 마치 ... ...
- [Issue] 2070년 어린이날 웰컴 투 아스트로월드과학동아 l201705
- 빛을 제어하기가 어려 워 3차원으로 띄우는 게 거의 불가능했습니다. 그런데 2017년 KAIST 물리학과에서 간유리를 이용해 빛을 산 란시킨 다음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한 뒤부터, 홀로그램 기술이 눈부시게 발달하기 시작했습니다. 지금처럼 사 람이나 사물을 생생하게 띄울 수 있게 됐지요. 그러니까 ...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과학동아 l201705
- 미래는 존재할 수 없었다. 시간여행기술과, 인공지능이 주도하는 의식대통합은 하나의 물리학으로 연결되어 있었다.시간여행기술만 발명되고 의식대통합이 일어나지 않는 시간선은 존재하지 않았다. 수많은 사람들이 과거로 돌아가 이 사태를 막으려 해봤지만 소용이 없었다. 누군가가 결국 신을 ... ...
- 2017 아벨상 수상자 웨이블릿의 아버지, 이브 메이에수학동아 l201705
- 시작했다. 그 결과 ‘메이에 웨이블릿’을 만들어 웨이블릿 변환 이론을 정립하고 물리, 화학, 생명, 공학, 영상 등 아주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웨이블릿을 최초로 제안한 것은 아니지만, 메이에 교수가 ‘웨이블릿의 아버지’라 불리는 이유다.메이에 교수의 이론은 합금의 ...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과학동아 l201705
- 함께 모래 위로 떠올랐고, 살짝 바람을 불자 움직일 수 있었죠.이후 존스홉킨스대 응용물리연구소로 자리를 옮긴 로렌츠 박사는, 60개가 넘는 돌에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부착한 뒤 이들의 움직임을 카메라로 촬영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2013년 1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GPS 신호를 토대로 움직이는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바꿀까, 안 바꿀까 그것이 문제로다!수학동아 l201705
- 비었다는 정보가 얼마나 가치있는지에 따라 선택은 달라질 것이다.*김명석 교수는 물리학을 공부하고 분석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는 국민대에서 과학철학과 논리학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언어와 사고의 기원, 양자역학의 존재론 등을 주로 연구합니다.사라가 노란 상자를 고른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05
- 물리학자가 살고 있었다. 김재완 고등과학원 (KIAS) 계산과학부 교수는 “스태판 위스너란 물리학자가 룸메이트인 찰스 베넷에게 한 가지 암호화 기법을 제안했다”며 “이후 1984년 베넷이 동료인 브랫사드와 함께 처음으로 본인들의 이름 앞글자를 딴 양자암호방식, BB84 프로토콜을 만들었다”고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