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녘
동방
동쪽지방
동진
동쪽 하늘
d라이브러리
"
동쪽
"(으)로 총 935건 검색되었습니다.
임진강 유역에서 화산폭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정교하고 독특한 형태의 도구들이 발굴됐다. 이들은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인도의
동쪽
지역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던 것이었다. 한탄강변의 전곡리 유적을 필두로 임진강 유역에서 이들이 다량 발굴됨에 따라 인류진화사의 내용중 일부를 바꾸어 쓰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한마디로 이제 이 ... ...
화산은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의한 피해는 인류역사 유수의 화산재해로 알려져 있다. 마유야마 대붕괴는 운젠악
동쪽
텐구산(天狗山)동사면에서 일어난 큰 규모의 산사태다. 이번의 분화는 운젠산의 주봉인 보현악(普賢岳)에서 폭발했다(그림1)참고.6월9일에 분화하기 시작한 필리핀의 피나투보 휴화산은 6백11년만에 활동을 ... ...
해왕성 Neptune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왜 주변보다 어둡게 보이는가 하는 이유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대암점의 남쪽과
동쪽
에 희게 나타나는 밝은 구름들 모양은 수시간의 짧은 기간내에도 뚜렷이 변하고 있었다. 해왕성 사진의 우측 하단에는 또 다른 암점이 보인다. 이 두번째 암점의 크기는 대략 북미 대륙 크기만 하다. 대암점은 18. ... ...
금성이 반달처럼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있었기 때문에, 연수회에서 우리는 교사들에게 달이 매일 각거리로 약 13°씩 천구 상에서
동쪽
으로 이동한다는 사실을 실감나게 설명해 줄 수 있었다(그림1).즉 달은 지구의 자전 방향과 같은 방향(서→동)으로 약 27⅓일을 주기로 지구를 공전하므로 하루에 약 360°÷27⅓≃13°를 이동한다는 이야기다. ... ...
바람을 멈추게 한 거문고 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카펠라가 북쪽 지평선에서 올라오고 있고 가을철의 길잡이 별 페가수스 삼각형은
동쪽
지평선에서 가을 별들의 출현을 예고하고 있다.지루한 장마 비 속에 가끔씩 보이는 푸른 하늘이 더없이 반갑게 느껴지는 계절이다. 6월이 되면서 떠오르기 시작한 여름 별들이 어느덧 봄 별들을 서산 가까이로 ... ...
한여름밤의 꿈, 은하산책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우리 은하속에서 우리가 볼 수 있는 별들 가운데 가장 밝고 뜨거운 별인 데네브의 약 3°
동쪽
에 위치한 이 성운은 관측자들에게 많은 논쟁거리가 되는 대상이다. 일부 관측자들에게 이 천체는 어떤 망원경으로도 볼 수 없기 때문에 하늘에서 가장 보기 힘든 물체로 인식돼 있다. 그러나 어떤 ... ...
대고원이 지구를 냉각시킨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바람만이 아니고 중위도 상공을 흐르는 편서풍을 차단한다. 지구 자전 때문에
동쪽
으로 흐르는 커다란 대기는 티벳고원의 주위에서 북쪽으로 방향을 바꾸고, 그 바로 아래쪽에서는 남쪽으로 향하는 반류가 형성된다.이러한 대기흐름의 변화는 시간이 흐를수록(현재에 가까와질수록) 점점 넓은 ... ...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나누어 진다. 뱀 머리(Serpens Caput)는 땅꾼의 서쪽(오른쪽)에 있고, 뱀 꼬리(Serpens Cauda)는
동쪽
에 위치한다. 그러나 이 두 부분은 땅꾼의 몸통을 가로질러 하나의 별자리로 취급된다.땅꾼자리는 많은 구상 성단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가장 밝은 것들은 M10, M12, 그리고 M62 등이다. 자세한 내용은 ... ...
초여름 구상성단을 산책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위치한 M19는 4인치로도 쉽게 보이는데 매우 심한 타원형 모습을 한 구상 성단이다.M19 남
동쪽
에는 거대한 암흑성운이 보인다. 성단이 빠르게 회전하기 때문에 한쪽 면이 평평하게 보이는 모습을 8인치 망원경으로 확인할 수 있다.봄철의 은하들과 달리 구상성단들은 그 밝고 뚜렷한 모습으로 깊은 ... ...
석기시대 목동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있고 봄밤의 전령사 레굴루스도 다른 사자자리의 별들과 함께 그 뒤를 따르고 있다.
동쪽
산등성이 위로는 청백색의 직녀가 떠오르고 붉은 빛의 안타레스도 그 남쪽에서 서서히 등반을 시작한다. 이중성대부분의 별은 우리 눈에 하나인 것으로 보이나 실제로는 한 개 이상의 동반성을 가지고 있다.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