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녘
동방
동쪽지방
동진
동쪽 하늘
d라이브러리
"
동쪽
"(으)로 총 935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롱고로 분화구 안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Ngorongoro)분화구는 세계에서 제일 큰 분화구로 탄자니아 세렌게티(Serengeti)평원의
동쪽
에 놓여 있다. 분화구의 밑바닥은 깊이 7백m나 되며, 면적은 2백56㎢에 이른다. 이곳은 아프리카에서 사자들이 가장 많이 밀집해 사는 사자들의 집단서식처다.이곳 사자들은 분화구에 갇혀 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 ...
시차는 일광욕으로 극복하라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한시간이 많은 25시간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서쪽으로 여행하는 것보다는
동쪽
으로 여행할 때 시차를 심하게 느낀다는 것.사사키 교수는 이와 함께 시차극복의 한 방편으로 일광욕을 즐기라는 독특한 방법을 제시했는데, 강한 빛의 자극이 생체시계를 빨리 돌리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 ...
북경원인과 동시대에 존재한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있다.최근에는 아프리카 유럽 서아시아 지역의 인류는 공통의 조상을 갖고 있지만 그
동쪽
지방의 인류는 다지역진화설로 설명해야 한다는 절충론도 등장했다. 아무튼 이번에 출토된 화석이 이 논쟁을 해결해줄 수는 없더라도 최소한 동아시아인의 이동경로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임은 ... ...
시베리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시베리아 고원 지대는 고생대와 중생대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서쪽은 예니세이강,
동쪽
은 레나강, 남쪽은 몽골과 경계하며, 그 평균 고도는 3백~8백m를 이룬다. 이 고원은 캐나다의 로렌시아 대지와 같은 안정지괴로 지질학자들은 앙가라랜드라고 부르고 있으며, 중생대층에는 두꺼운 석탄층이 ...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결코 견디기 힘든 더위는 아닐 것이다. 이달의 별/남두육성(南斗六星)사수자리의
동쪽
을 자세히 보면 북두칠성을 축소해 놓은 것같은 여섯개의 별들이 국자 모양으로 놓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는 옛부터 이 별들을 가르켜 북두칠성과 대칭되는 남두육성으로 불렀다. ... ...
로키 고원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위치한 미국의 각 주들을 보면 북부로키에는 아이다호주 몬태나주가 있다. 북부로키의
동쪽
으로 옐로스톤강과 미주리강, 서쪽으로는 스네이크강과 콜럼비아강이 흐르면서 화산성의 옐로스톤 그랜드캐년을 형성시켰다. 콜럼비아 현무암의 용암대지는 그 면적이 64만㎢에 이르고 연강수량이 2백50~ ... ...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동쪽
으로 이동하다가 갑자기 방향을 바꾸게 됨을 알 수 있다. 행성이 천구상에서
동쪽
으로 이동하는 것을 순행, 서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역행이라고 부른다. 순행은 행성의 공전에 따른 자연스러운 시운동이다. 역행은 (그림4)와 같은 지구와의 상대적 운동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순행에서 역행으로 ... ...
헤라클레스를 시험한 불사의 괴물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않게 까마귀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봄철에 까마귀라니 아무래도 어색하다. 까마귀의
동쪽
으로는 약간 더 어두운 사다리꼴이 보이는데 바로 컵자리이다.까마귀자리를 이루는 사다리꼴은 그 모습이 범선에 다는 돛과 비슷하다해 돛대별(the Spanker Sail)이라 불려지기도 한다. 봄철 남쪽하늘 위로 길고 ... ...
황사현상의 진원지를 가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많은 양의 황토입자들이 이동한다. 먼지폭풍(dust storm)상태의 이러한 이동성 저기압은
동쪽
으로 진행하면서 회오리의 강도가 점차 약해진다. 화북지역을 통과할 때는 상대적으로 굵은 입자들이 땅에 떨어진다. 이 이동성 저기압이 우리나라에 도달하면 풍속 1.5~2.5m/초(시속 5.5~8.5km) 정도로 ... ...
보름달이 초저녁
동쪽
하늘에 뜨는 이유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달의 공전 주기가 만일 하루보다 짧다면 달은 서쪽에서 떠서
동쪽
으로 져야 한다. 달은 언제나 여러가지 모양으로 위상이 변하는데 이에 따라 출몰 시각도 같이 바뀐다. (그림5)에서 알 수 있듯이 초승달은 초저녁 서쪽 하늘 낮게 떠 있다가 곧 진다. 달은 매일 약 50분씩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