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홈어드밴티지의 플러스알파 붉은 악마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붉은 악마’가 혼신을 다해야 하는데 이유가 있다는 점을 암시하는 연구결과가 최근
발표
됐다.홈경기 승률이 원정경기보다 2배 높아지난 5월 11일 영국의 과학주간지 ‘뉴 사이언티스트’에는 관중의 함성이 축구 심판의 판정을 뒤흔들 수 있다는 영국 울버햄프턴대 앨런 네빌 박사의 연구결과가 ... ...
2. 금강산댐 안전성 7대 의문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제기됐다. 건설교통부는 “그런 호우는 50년에 1번 정도 발생하기 때문에 충분하다”고
발표
했다. 하지만 기상청 통계를 보면 금강산댐 인근인 강원도 춘천·화천 일대는 우리나라 3대 다우지로, 하루 3백mm가 넘거나 그에 육박하는 집중폭우가 내린 적만 1984년 이후 17년 동안 5차례나 있었다.그러나 ... ...
물리학 안경으로 통합되는 생명현상 생물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그는 이 현상이 일어나는 까닭이 동물의 근육에서 전기가 발생하기 때문이라는 논문을
발표
했다.이 논문은 당시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고, 볼타를 비롯한 다른 과학자들이 갈바니의 실험을 되풀이해봤다. 이것은 전기생리학·전자기학·전기화학 발전의 계기가 됐다. 갈바니의 연구는 두 분야 ... ...
대우받는 기술자로 남기 위한 청색 혁명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27GB의 용량, 디지털 하이비전의 녹화 수요를 예측해 ROM보다 RAM 방식 저장매체를 선행
발표
하는 등 규격과 사양은 멋들어진 블루레이지만, 상용화에 대해서는 각사 모두 우물쭈물하고 있다.● ● 그 이유는 다시 청색. 아직 여명기이기에 현 기술 단계로는 수명이 겨우 수백시간에 그칠지도 모른다는 ... ...
작은 세포의 미니 생쥐 탄생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밖에 안되는 작은 생쥐가 된다는 사실을 발견, 5월 10일 분자생물학 저널(Developmental Cell)에
발표
했다.이번 생쥐의 발견은 우연이었다. 세틀먼 박사는 Rho-GAP이라는 단백질의 기능을 알기 위해 이 유전자를 제거한 생쥐를 만들었다. Rho-GAP 단백질은 원래 세포의 내부 구조와 움직임을 조절하는 ... ...
빅뱅은 여러번 일어난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탄생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지난 4월 25일 미국의 과학저널 사이언스 웹사이트에
발표
된 새로운 우주모형에 따르면 빅뱅이 여러번 일어난다고 한다. 빅뱅의 창조과정과 빅 크런치(Big Crunch)라는 소멸과정이 영원히 반복된다는 얘기다.이번 연구를 이끈 미국 프린스턴대의 폴 슈타인하르트 교수와 ... ...
3. 인류 절반의 식량 벼 게놈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이들 유전자를 이용한다는 계획이다.한편 사이언스에 두 연구팀의 벼 게놈 해독 결과가
발표
된 뒤 정보의 공개를 둘러싼 논쟁이 유발되고 있다.중국과 미국 연구팀이 국제적 비영리 유전정보 데이터베이스인 ‘진뱅크’(GenBank)에 게놈 해독 결과를 공개한 반면, 신젠타는 “경쟁 기업이 우리의 ... ...
4. 위해성 논란 종식 위해 동원되는 첨단과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크게 해치고 인류의 생명을 앗아가는 가장 큰 원인임에도 불구하고 신형 자동차는 계속
발표
되는 것처럼 말이다. 자동차가 유발하는 위해성을 줄이기 위해서 자동차배기가스 허용치를 정하고 충돌안전실험을 하며, 도로주행 시 자동차와 보행자가 지켜야할 법을 만들어 운영하는 것과 같은 과정이 ... ...
인텔국제과학기술경진대회 inter ISEF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중국팀은 국기를 흔들며 연신 즐거운 표정들이다.대회 최고상인 인텔 젊은 과학자상이
발표
되는 순간 장내는 환호와 박수갈채, 나부끼는 깃발로 소란스러워졌다. 청중은 연신 카메라 플래시를 터뜨리고 함께 온 가족과 동료들은 요란한 세러머니로 환희를 만끽했다. 조용한 도시 루이빌을 한껏 ... ...
단백질 추적하는 신기술 개발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색깔의 형광물질을 부착시키는데 성공했다. 연구결과는 4월 19일자 ‘사이언스’에
발표
됐다.지금까지 단백질 연구는 세포에서 특정 단백질만을 분리해 그 구조와 성질을 분석하는 방법이 고작이었다. 세포 내에서 실제로 단백질이 어떻게 생성돼 어디로 이동하고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분석하는 ... ...
이전
792
793
794
795
796
797
798
799
8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