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딥 임팩트 vs 아마겟돈과학동아 l2002년 08호
- 안드레아 밀라니 박사는 2039년에 소행성 ‘1999AN10’이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정밀 관측결과 1999AN10은 지구와 3만9천km까지 접근해 지구를 스쳐 지나간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충돌확률이 0.3%라고 하니 마냥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4년 전 혜성과 ... ...
- 신용카드 대체할 휴대폰 결제시대과학동아 l2002년 08호
- Data Association)가 모바일 금융거래의 표준 규격으로 ‘IrFM’(Infrared Financial Messaging)을 확정, 발표하면서 상용화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비자인터내셔널이 지원하는 IrFM은 단말기간 통신과정에서 정보 유출을 막을 수 있도록 방향과 거리에 제한을 둔 점이 특징이다. 또 접속 제어장치가 휴대폰 ... ...
- 수학이 제시한 이상적인 야구 타순과학동아 l2002년 08호
- 수학은 야구 감독에게 전통적인 타순을 버릴 것을 제안했다. 최고의 타자를 네번째보다 두번째에 배치하면 팀 성적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장 약한 선수는 마지막에 배치하 ... 이 연구결과는 7월 중순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산업응용수학회의 정기모임에서 발표됐다 ... ...
- 3.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남긴 미스터리과학동아 l2002년 08호
- 훌륭한 탐정으로 인정될 수 있었다.비슷한 전략을 채택한 생물학도 인간게놈지도 초안이 발표될 때까지는 이 전략이 아주 성공적인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상황은 그렇게 낙관적이지 않다. 사람들이 게놈에 존재하는 유전자의 수와 기능에 가장 큰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아마도 이들 유전자의 ... ...
- 태양계 너머 또다른 목성이 있다과학동아 l2002년 08호
- 버클리대의 제프리 마시 교수팀이 태양계와 비슷한 외계 행성계를 발견했다고 NASA에서 발표한 내용을 보자. 태양과 같은 게자리 55번 별 둘레를 목성과 같은 행성이 목성과 같은 궤도로 돌고 있었던 것이다. 질량이 목성보다 3.5-5배 무거운 이 행성은 별에서부터 5.5AU(천문단위, 1AU=1억5천만km)만큼 ... ...
- 세계 최초 단원자 트랜지스터 개발과학동아 l2002년 07호
- 재미 한국 과학자 2명이 세계에서 가장 작은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미국 하버드대 박홍근 교수와 코넬대 박사과정의 박지웅씨는 각각 금속 분자와 금속 원자로 이뤄진 ‘나 ... 2년 전 축구공처럼 생긴 탄소 플러렌 분자를 이용한 단전자 트랜지스터를 만들어 네이처에 발표하기도 했다 ... ...
- 목성 닮은 외계 행성 잇따라 발견과학동아 l2002년 07호
- TPF)를 발사해 이번 항성계를 관측할 계획을 검토중이다.한편 유럽의 천문학자들은 이 발표가 있은지 일주일 후, ‘HD 190360a’별 근처에서 목성과 비슷한 또다른 행성을 발견했다. 이 행성은 질량과 궤도가 목성과 유사하며, 항성과의 거리는 5억6천만km, 공전주기는 7.1년이다 ... ...
- 단백질 구조로 생명현상 규명과학동아 l2002년 07호
- 구조생물학 분야의 세계적인 전문지‘네이처 스트럭처럴바이올로지’2001년 6월호에 발표해 화제를 모았다.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은 위암의 원인균으로 우리나라 사람에게 흔하다.그동안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이 pH 0.78 정도의 위산이 쏟아지는 위속에서 어떻게 살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과학동아 l2002년 07호
- 스위스의 톰슨 박사와 일본의 히구찌 박사는 독자적으로 진화 하드웨어에 대한 가능성을 발표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졌고, 마침내 1995년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첫번째 국제 워크샵을 계기로 진화 하드웨어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됐다.재구성 가능한 하드웨어는 환경의 ... ...
-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과학동아 l2002년 07호
- 시기는 앞으로 10년 후로 내다보고 있기 때문이다.지난 12월 특허청 나노기술연구회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향후 5-10년 후에 실용화 또는 산업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나노바이오 기술은 인공피부, 인공뼈와 같은 생체조직재생기술, 특정 기능을 갖는 생체분자 설계, 그리고 자기조합 기술이다. 10-20년 ... ...
이전7897907917927937947957967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