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3. 인터넷 또다른 나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단일한 모습만이 인정되기 때문이다. 정체성을 둘러싼 현실과 가상 공간의 논란은
바로
여기에서부터 시작됐다.사이버 공간에도 왕따는 있다지난 5월 인터넷 커뮤니티 게시판에서 다른 네티즌들의 집중적인 비난을 받았던 20대가 투신자살하는 일이 발생했다. 또 지난 2월에는 왕따 동영상 사건에 ... ...
고구려는 독자적 천문학 지닌 한민족 국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북두칠성이 대칭적인 생사 관념이 기록돼 있다. 고구려의 북두칠성과 남두육성은
바로
도교의 천문우주론적 사상이 반영된 것이다. 고구려인들은 북두칠성과 남두육성을 통해 생사의 두 세계에서 영원한 삶이 지속되기를 바랬던 것이다.고구려의 북두와 남두의 대칭적 우주관은 중국에도 영향을 ... ...
갯벌은 숨쉬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둘러봐도 모두 끝없는 바다다. 물론 엄밀히 말하면 왼쪽은 환경오염 문제로 말도 많았던
바로
‘시화호’ 다. 담수호를 포기하고 해수를 유입시켜 되살린 시화호는 넓이가 무려 50km2로 바다처럼 보인다. 10여분만에 방조제를 관통한 버스는 대부도의 한 바지락칼국수집에 일행을 내려놓았다 ... ...
① 천재선수, 유전자부터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경우 최근 14년의 경기에서 13회를 케냐 선수들이 우승했다. 이들의 독식을 막은 주인공은
바로
2001년 우승자인 이봉주 선수. 마라톤은 변수가 많기 때문에 이번 올림픽에서도 이런 기적을 기대하고 있다.그러나 공식적인 기록은 큰 차이를 보인다. 현재 세계기록 보유자는 케냐의 폴 터갓으로 2시간 ... ...
1. 인터넷 시대 심리를 알아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못합니다. 그동안 인간이 느껴보지 못한 심리현상들이 사이버 공간에서 벌어지는 이유도
바로
그 때문입니다.”한국실험심리학회장을 맡고 있는 경북대 곽호완 교수의 설명이다. 폭발적인 정보량을 인간의 인지능력으로는 도저히 따라갈 수 없게 됐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새 술을 새 부대에 담아야 ... ...
6. 재미가 두뇌를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최소 수백-수만명 이상 참가해 하나의 사회를 이루는 머드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은
바로
그런 인간 심리에서 착안했다.게이머 각자의 개인 취향도 재미를 유발하는 한 요소다. 대개 게임에 참가한 모든 사람들은 각자 취향에 따라 가상공간에서 새로운 관계를 맺는다. 게임이 소설이나 TV, ... ...
생명체가 컴퓨터 속으로 들어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이해하려는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피지옴’ (Physiome) 프로젝트가
바로
이와 같은 맥락이다.피지옴은 유전자 서열부터 단백질 구조, 세포의 기능 등 생명현상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자료화, 정량화한 다음 이를 통합해 가상조직과 인간모델을 만드는 분야다. 분자부터 조직과 ... ...
전자제품 연쇄 폭발 원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위험하다”고 말한다.정품 충전기에 과도한 충전을 막는 프로세서가 들어가 있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안전기준에 못미치는 불량, 불법 충전기를 절대 사용해서는 안된다고 휴대전화 제조사들은 입을 모은다.수백kg 보일러도 날려버리는 증기의 힘 올해 들어 특히 많이 발생한 전기압력밥솥 ... ...
차세대 방송의 꽃, 입체TV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모양을 형성한다. 이렇게 두빛이 겹쳐진 부분에서 발생한 간섭무늬를 이용한 것이
바로
홀로그램(hologram)이다. 이를 이용해 참조광으로 사용한 평행광을 다시 같은 방향에서 비춰주면 피사체가 있던 위치에 동일한 3차원 상이 맺힌다.실제 이런 현상을 이용해 홀로그래피로 동영상을 구현하는 연구가 ... ...
열정과 끈기로 저온의 한계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하지만 한번 맞혀보기 바란다. KAIST 연구실 중 여름에 가장 잘 어울리는 곳은 어디일까?
바로
저온공학 연구실이다. -1백50℃, 극저온, 냉동 보존. 얘기만 들어도 한여름 무더위가 싹 달아난다. 하지만 정작 저온공학 연구실의 정상권 교수와 석박사 과정 학생들은 여름을‘이열치열’로 이겨내고 있다 ... ...
이전
787
788
789
790
791
792
793
794
7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