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참여했을까? 그리고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이번 여름과학축제의 행사 책임자가
바로
슈투트가르트공대 기계공학부 학장인 과학자라면 대답이 될 것이다. 홍보 담당 매니저 슈패스 씨는 “내 생각에 과학자들이 3천명 정도는 참여한 것 같다”고 말하면서 “사실 이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 ...
LG전자 사장 백우현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까까머리 중학생 시절 청계천을 뒤져 라디오를 조립하면서 에디슨의 꿈을 키워오던 한 소년이 있었다. 이 소년이 미국에서 꿈을 이루고 돌아와 한국을 디지털 TV 강국으로 ... 때 남보다 더 잘할 수 있어요. 그리고 무엇을 하든 하는 일이 재미있고 만족스럽다면 그것이
바로
성공입니다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dimorphism)이라고 한다. 남성의 뇌는 일반적으로 여성의 뇌보다 15-20% 더 크다. 그러나 눈
바로
뒤에 있는 대뇌피질의 신경세포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오히려 11% 가량 더 많다. 이는 언어나 음악의 높낮이를 구별하는 능력과 관계가 있다. 3차원 공간을 이해하는 뇌의 우반구는 남성이 좀더 크며, ... ...
병력 담긴 전자칩 몸 속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점 등 의료와 관련된 정보가 들어간다. 응급실에 갑자기 실려온 환자의 경우 칩을 읽으면
바로
건강 상태를 알 수 있어 환자를 치료하는데 편리하다. 칩의 주입 비용은 1백50-2백달러(약 17만-23만원)이다.하지만 일부 인권단체는 이 칩이 사생활을 침해할 우려가 크다며 보호조치를 먼저 마련해야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복도에 푸른 길이 강처럼 흐르는 듯 했다. “밤하늘의 은하수처럼 보이지 않나요?
바로
은하수를 상징하는 길이죠.” 함께 걷던 조 부관장의 설명이다. 길 양 옆에는 성운과 별 등 우주에 대한 사진들이 붙어 있었다. 은하수를 따라 걸으며 우주의 모습을 구석구석 볼 수 있었다. 은하수 끝에는 우리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유비퀴틴과 같은 물질이었던 것이다! 분해될 단백질을 찾아 입을 맞추는 주인공이
바로
유비퀴틴이란 얘기.예상치 못한 행운에 탄력을 받은 연구팀은 유비퀴틴이 단백질에 붙을 때 E1, E2, E3라는 효소들이 차례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뿐만 아니라 유비퀴틴이 활동을 시작하기 위해 E1에 결합할 ... ...
X선 회절분석기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결정성 분석에 대한 연구’를 지도하고 있다. 결정성 분석에 사용되는 장비는
바로
X선 회절분석기(XRD, X-Ray Diffractometer)다.XRD가 물질의 결정성 분석에 사용되는 이유는 뭘까. X선은 빛처럼 파장이기 때문에 물질의 표면에 부딪히면 산란이 일어나 회절을 일으킨다. 이 때 회절은 모든 방향으로 ... ...
열전반도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식힌다. 크기는 작지만 냉장고처럼 윙윙거리지 않고 복잡한 압축펌프도 보이지 않는다.
바로
전기와 열을 교환하는 열전반도체의 원리를 이용한 것. 냉온정수기 뿐만 아니라 화장품냉장고나 와인냉장고 등 소형 냉각장치로 애용되고 있는 열전반도체의 원리를 살펴봤다 ... ...
금성과 목성의 랑데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12월에도 한차례 발생한다. 다만 그 대상이 목성이 아니라 다소 어두운 화성으로 바뀐다.
바로
12월 6일 금성과 화성이 약 1° 범위까지 접근하는 것이다. 12월 10일에는 두 행성의 옆에 달이 위치한다. 이 무렵 화성의 밝기는 1.7등급으로 다소 어둡다. 하지만 화성 특유의 붉은 빛이 금성의 노란빛과 ... ...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설명하는 이론이 드디어 밝혀졌기 때문이다. 폴리처는 논문 연구의 공로를 인정받아
바로
캘리포니아공대 교수로 부임할 정도였다. 그렇다면 이들의 수상이 30년이나 ‘미뤄진’ 까닭은 뭘까.사실 30년이란 시간은 이들의 이론이 실험적으로 검증되는 기간이었다. 이들의 발견이 상당히 흥미롭고 ... ...
이전
783
784
785
786
787
788
789
790
7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