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자기"(으)로 총 1,023건 검색되었습니다.
- 맞고 자란 아이가 '사랑의 매' 더 신봉한다2017.10.28
- 다짜고짜 따귀를 때렸다. 상황 판단이 안 되어 채 반응하지도 못하던 내 눈 앞엔 자기를 무시하냐며 씩씩거리던 교사가 있었다. GIB 제공 또 다른 선생님은 출석부로 퍽 소리가 나게 아이들의 머리를 내리치기도 했다. 체육교사였던 담임 선생님 한 분은 어디서 구한 건지 알 수 없는 긴 막대로 남자 ... ...
- 꼭 외향적인 사람이 좋은 리더일까2017.10.22
- 비해 외향적인 사람들을 더 리더에 걸맞다고 생각할뿐 아니라 내향적인 사람 본인도 자기보다는 외향적인 사람들이 리더에 걸맞는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나타난다(Spark et al., 2018). 심리학자 아담 그랜트의 연구에 의하면 수동적이고 일에 별로 의욕이 없는 구성원들이 많은 조직에서는 목소리가 크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2017.10.17
- 예전에도 치료받기 어려웠는데 3분의 1로 줄었으니)은 권위 있는 의료진의 세심한 치료에 자기 의견도 얘기할 수 있게 됐다는 말이다. 그 결과 치료 자체의 질이 높아지는 건 물론이고 플라시보 효과도 최대로 누릴 수 있고 반면 노세보 효과는 최소화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서울대병원이야 ... ...
- ‘나는 멋진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정말 자존감이 높아질까2017.10.14
- 삶 또한 쉽지만은 않은 게 당연하다. 사랑받는 것 또한 당연한 것은 아니다.’같이 삶과 자기 자신에 대해 다소 현실적인 생각을 갖는 것이 훨씬 건강하다고 보는 학자들이 있다 (Neff, 2003). 또는 내가 믿지 않는 이야기보다 진심으로 믿고 있는 나의 한 두가지 장점(예, 지금까지 그럭저럭 잘해 왔잖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석봉 모친이 초롱불을 끄고 떡을 썬 까닭은...2017.09.26
- 어머니는 아들에게 직접 모범을 보임으로써 노력의 중요성을 한층 강조한 것이다. 자기도 스마트폰을 놓지 못하면서 자녀에게 “스마트폰 그만보고 공부 좀 해라”라고 말하는 부모들은 생각해볼 일이다. 그런데 이런 이야기가 별로 설득력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꾸준한 노력, 즉 끈기 ... ...
- 내향적 성격인 나, 비사회적인 사람일까?2017.09.24
- 그 ‘이유’가 중요하다고 이야기 한다. 이따금씩 자기 자신에 집중할 시간을 갖고 자기 성찰을 하거나 쓸데 없는 여러 자극들에서 벗어나 재충전하는 시간을 갖는 것, 어떤 깨달음을 얻기 위해 혼자만의 시간을 갖는 것, 또는 불필요한 사회적 역할과 주변 사람들의 기대와 압박에서 벗어나기 위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2017.09.12
- 넣은 플라스미스 부분을 없앨 수 있다. 이 경우 식물 게놈에 외부 유전자가 없고 자기 유전자만 편집된 개체이기 때문에 유전자재조합생명체(GMO)가 아니라는 말이다. 참고로 지난달 일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파란 국화의 경우 다를 식물 두 종(초롱꽃과 나비콩꽃)의 유전자가 들어간 GMO다. 연구자들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2017.08.29
-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 궁극적인 성공의 가장 큰 요인”이라고 주장했다. 즉 자기 능력을 정해진 특성이라고 생각하는 사람(고정된 사고방식)은 흥미를 억누르고 실수를 피하려는 경향이 큰 반면, 현재 능력이 발달 과정일 뿐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성장하는 사고방식)은 흥미를 추구하고 더 ... ...
- 반려동물이 정신질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이유2017.08.20
- 힘든 삶을 이어가게 도와주는 반려동물의 역할을 설명했다. △가족도 친구도 24시간 동안 자기 곁에 있어 줄 수 없지만 반려동물은 자신의 곁에 있어준다는 점, △정신질환이 있다고 하면 사람들은 색안경을 끼고 바라보지만 동물들은 그러지 않고 순수하게 자신을 좋아해준다는 점, △모든 관계를 ... ...
- OOOO 잘 하는 사람이 어려운 사람 잘 돕는다2017.08.13
- 같이 슬픔에 허우적거리거나 불안해지는 등 ‘본인’ 감정 조절이 잘 안 되는 경우, 자기가 괴로워져서 상대방을 위하는 행동을 못 보이게 되는 반면 감정 조절을 잘 하는 사람들은 이 괴로움을 빨리 떨쳐버리고 제일 중요한 ‘도움 행동’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일례로 Panfile 등의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