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뉴스
"
인간
"(으)로 총 6,716건 검색되었습니다.
AI 설계 단백질이 생물학 무기?…과학자들 첫 '오용 방지 협약'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있는 개발을 위한 협약 ‘책임감 있는 AI X 바이오디자인’에 서명했다. 단백질 설계란
인간
에게 유용한 단백질 구조를 디자인하고 만드는 과정을 말한다. 협약에는 백민경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박한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등 한국 연구자들도 참여했다. ... ...
반딧불이처럼 자체발광 식물, 4월부터 미국서 팔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일어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사르키시안 연구원은 "이 생체발광 과정은 효모나
인간
을 포함한 다른 동물 세포에서도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작동해 빛을 낼 수 있다"며 "미학적인 측면뿐 아니라 질병을 관찰하고 약물 후보를 선별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를 ... ...
사라지고 있는 산호초 4년만에 '완전 회복'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낚시’로 심하게 손상된 산호초를 복원하기 위해 산호 이식을 진행하는 프로젝트다.
인간
의 개입 없이는 산호초 생태계가 회복될 조짐을 보이지 않으면서 프로젝트가 진행됐다. 산호초 재건 작업은 복구가 필요한 환경에 모래로 코팅한 강철 구조물을 지속적으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
'6번째 대멸종' 현실화?...서식지 좁고 몸집 작은 생물종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중요한 예측 변수였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현대사회에서
인간
에 의한 기후변화로 이미 많은 생물종들이 멸종 위기에 처했다고 강조했다. 연구를 이끈 소페 교수는 "과거로부터 축적된 증거와 예상되는 기후변화 추정치를 고려했을 때 지구의 생물 다양성이 참혹한 미래에 ... ...
불임·난임 임신 기회 커질까…체외수정란 기술 진일보
동아사이언스
l
2024.03.10
만드는 기술이 발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runorbs/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간
배아 연구 권위자로 알려진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미국 오리건보건대 교수 연구팀이 동물실험을 통해 피부세포로 체외수정란을 만드는 기술을 진일보시켰다. 난자가 손상된 여성이나 나이가 든 여성도 아이를 가질 ... ...
[특별기고] 55년 전 성공한 달 착륙, 왜 번번이 실패할까
2024.03.10
이는 기술이 후대에 전달돼 지속적으로 축적되고 발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인간
은 기록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다. 하지만 기록된 문서만으로는 그 기술이 계속해서 후대에 전해지지 않는다. 문서에 작성할 수 없는 '노하우'들이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우주 탐사 기술들은 국방 ... ...
밤하늘 숨은 그림 찾기 '별자리'는 점선 잇기 놀이
2024.03.09
당시 신화에 등장하는 신 중 누구와 관련되어 있는지 하늘에서 어떤 현상이 일어날 때
인간
세상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에 관한 신탁도 적혀 있지요. 이 바빌로니아 별자리가 이후 고대 그리스로 넘어와 조금 바뀌어 오늘날 우리가 쓰는 별자리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현재 표준으로 쓰이는 8 ... ...
숨 들이마시면서 말 못 하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8
것이다. 이번 연구의 제1 저자로 참여한 MIT 방문 학생인 박재홍 미국 듀크대 대학원생은 "
인간
의 발성 메커니즘이 쥐보다 복잡하지만 후두를 좁히고 공기를 내뱉는 기본 원리는 같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호흡과 발성을 제어하는 이 뇌신경 회로가 음식물을 삼킬 때나 기침할 때 등 다른 행동에도 ... ...
임신부 양수에서 태아 줄기세포 얻어 장기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8
장기(오가노이드)’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이론적으로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인간
배아줄기세포나 유도만능줄기세포(iPS)를 이용해 원하는 오가노이드를 얻는다. 문제는 배아줄기세포나 iPS는 다루기가 까다롭고 원하는 오가노이드로 분화할 때까지 시간이 오래 걸려 임신 중인 태아에 ... ...
침팬지·꿀벌도 동료 행동 보고 배운다…"문화 축적 가능 시사"
연합뉴스
l
2024.03.07
사회적 학습과 문화적 전파가 가능하다는 증거를 제공한다며 이는 꿀벌도 이전에는
인간
에게만 있다고 여겨졌던 복잡한 수준의 행동을 사회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Human Behaviour, Edwin van Leeuwen et al., 'Chimpanzees use social information to acquire a skill they fail to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