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뉴스
"
인간
"(으)로 총 6,714건 검색되었습니다.
"게임 금수저 있다?…시간당 인지하는 시각정보량 사람마다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화면은 1초에 수십 번에서 수백 번씩 깜빡이지만 우리는 보통 이를 인지하지 못한다.
인간
이 1초에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최대 프레임 수'보다 빠르게 깜빡이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를 시각의 '시간적 해상도'라고 정의하고 이를 정량화하기 위해 실험 참가자들이 깜빡이는 광원을 인식할 수 ... ...
DNA 분석만으론 어려운 '참·거짓' 가리는 '진술분석'
과학동아
l
2024.03.30
아직 사람의 몫이다. 진술인의 상태, 상황, 지적 능력 등을 고려해 진실을 구별하는 아주 '
인간
적인' 작업이기 때문이다. 1월 29일 대검찰청 과학수사부 1층에 마련된 진술분석 면담실을 찾았다. 면담실 내부는 영화나 드라마 속에서 흔히 보던 풍경과는 사뭇 달랐다. 따뜻한 베이지 톤 벽에 그림이 ... ...
[과학사 극장] 뉴턴은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다?
과학동아
l
2024.03.30
이라는 새로운 과학적 방법론을 만들었다. 비록 금은 만들지 못했을지언정 연금술은
인간
이 자연을 수동적으로 관찰하는 데 그치지 않고 변형을 가하거나 작용을 일으킴으로써 자연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활동으로서 '실험'이라는 전통을 현대 과학에 물려준 것이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3월호 ... ...
후각으로 질병 찾는 개…트라우마 냄새도 구분
동아사이언스
l
2024.03.29
했다. 이런 개의 탐지 능력은 냄새에 대한 고도로 진화된 코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
이 500~600만 개의 후각 수용체를 가지고 있지만 개는 수억 개를 보유하고 있다고 알려진다 ... ...
"농사 짓고, 얼음 찾고"…NASA, 유인 달 탐사 장비 3종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3.28
예정이다. 조엘 컨스 NASA 과학임무국 탐사 부행정관은 "세 가지 장비는 아폴로 이후
인간
탐험가들의 고유한 능력을 활용하여 혁신적인 달 과학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최초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탈모 치료, '사랑의 호르몬'에 계피 첨가해 효과 '업'
동아사이언스
l
2024.03.27
앞서 옥시토신은 새로운 탈모치료법의 단서로 주목받았다. 모낭의 중간엽 세포인
인간
의 진피 세포에서 모발 성장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것이 발견되면서다. 문제는 옥시토신의 분자가 너무 커 피부에 흡수되지 않고 빨리 분해된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옥시토신 자체보다는 옥시토신 ... ...
미국서 소가 조류인플루엔자에 감염 첫 사례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24.03.27
박테리아를 제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FDA는 감염된 젖소의 AI 샘플의 바이러스에는
인간
을 감염시킬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적 돌연변이가 없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스테이시 슐츠-체리 세인트 주드 아동 연구 병원의 교수는 "소는 AI에 취약하다고 알려진 동물이 아니기 때문에 AI가 ... ...
애벌레도 60초면 출혈 멈춰…"지혈 약물 개발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03.27
봉합하는 과정을 밝혀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연성 재료 프론티어스'에 27일 발표했다.
인간
의 몸에 흐르는 혈액은 적혈구와 혈소판 등이 있어 산소와 영양소 등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곤충에서 혈액 역할을 하는 '혈림프'는 적혈구, 혈소판 등이 거의 없고 백혈구 대신 혈구세포가 있어 면역 ... ...
봄철 심해지는 '알레르기성 천식'…폐 염증 막을 단백질 찾았다
2024.03.27
줄이며 알레르기 천식을 치료하는 새로운 치료법이 될 수 있다"며 "향후 연구에서는
인간
천식 환자의 몸에서 피에조1 통로가 하는 역할을 규명하고 알레르기성 천식을 치료하기 위한 피에조1 기반 치료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
"
인간
발 바이러스 동물 감염, 동물발
인간
감염의 2배"
연합뉴스
l
2024.03.26
일어나는 거대한 숙주 네트워크의 한 접점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동물과
인간
사이의 바이러스 전파를 양방향으로 조사하고 모니터링한다면 바이러스 진화를 더 잘 이해하고 향후 신종 전염병 발생과 유행에 더 잘 대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출구 : Nature Ecology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