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뉴스
"
분리
"(으)로 총 2,557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전자와 생명의 이름에 숨겨진 이야기들
2022.01.13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생활인이다. 과학이라는 학문이 지나치게 전문화되어 일상세계와
분리
되면서, 과학자의 작업이 우리의 일상생활과 동떨어져버렸지만, 과학자들은 어려운 논문과 실험에 파묻혀 살면서도 언제나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이웃으로 존재한다. 어쩌면 돌연변이와 유전자에 투영된 ... ...
코로나 백신 mRNA 기술로 '심장 섬유증' T세포 치료법 개발
연합뉴스
l
2022.01.07
쓰려면 기술적으로 어렵고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환자의 몸에서 T세포를
분리
해 특정 세포 유형의 표지(marker)를 인식하게 유전자 프로그램을 재구성한 뒤 배양과 증식을 거쳐 다시 주입해야 하는 것이다. CAR T세포 치료법은 2017년 펜실베이니아 의대와 필라델피아 아동병원 연구진이 공동 ... ...
2021년 출연연을 빛낸 그들은 누구
동아사이언스
l
2022.01.04
국내 반도체 기업에 반도체 생산 공정 중 배출된 가스에서 과불화탄소(PFCs)등 오염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플라즈마 스크러버 기술을 이전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데에도 기여했다.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올해의 KERI 대상 개인 부문에 문정현 책임연구원, 팀 부분에 암 치료용 선형가속기 및 ... ...
“달에서 쓸 우주원자로 우리 손으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03
수소를 생산하는 데도 SMR이 활용될 수 있다. 전기 대신 고온의 열을 가해 물을 수소로
분리
하는 ‘고온 수전해’ 기술에 필요한 열을 SMR이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임 소장은 “환경 조건에 따라 들쑥날쑥인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를 SMR 기술이 보완할 수 있다”며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차세대 ... ...
[프리미엄 리포트] 달 토양 비밀 한국산 관측기기가 밝힌다
과학동아
l
2022.01.01
특성을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연구에 참여한 백슬민 천문연 박사후연구원은 “
분리
해 관측하지 않으면 전기적 현상 등이 발생해 정확한 결과를 얻기 어려워 양성자와 전자를 따로 검출할 수 있게 개발했다”고 밝혔다. 루셈의 검출부는 지표면과 수직으로 세워져 있지 않고, 살짝 비스듬하게 ... ...
스페이스X도 겪은 누리호 3단 헬륨탱크 이탈…우주 경험 부족 쌓아가는 과정
2021.12.31
러시아가 공동 개발한 2단 발사체 나로호는 2009년 8월 첫 발사 시도 때 페어링이 한 쪽만
분리
돼 실패했다. 하지만 반면교사로 삼을 만한 스페이스X의 실패 사례가 있었음에도 사전에 설계 과정에 이를 고려하지 않은 것은 아쉽다는 평가도 있다. 권세진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한국형 백신과 축적의 시간, 그리고 카리코의 오래된 논문
2021.12.30
있다. mRNA 백신을 생산하기 위한 공정은 크게 ‘항원 최적화→ mRNA 합성과 변형→
분리
정제→mRNA와 LNP(지질나노입자) 제조공정→제형화’의 5단계로 나뉘는데 각 단계마다 글로벌 제약사들의 특허그물이 촘촘하게 드리워 있고, 이미 다양한 지식재산권 분쟁이 진행 중이다. 특허청은 이 중 특히 ... ...
[인간·공감·AI](끝)일상에서 만나는 AI를 만드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21.12.27
GIST) AI대학원 교수 연구팀은 이를 따라해 AI가 행동 추론과 물체를 조작하는 것을
분리
해 학습하는 방식으로 성공률을 15.4%까지 높인 끝에 챌린지에서 2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열린 챌린지에 이어 2년 연속 2위 기록이다. 최 교수는 “AI가 실생활에 들어올 때를 대비해 학습 효율을 높여 사람처럼 적은 ... ...
사용후핵연료 처리 '파이로프로세싱' 연구 재개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27
연계한 소듐냉각고속로(SFR) R&D를 추진했다. SFR은 사용후핵연료에서 초우라늄 원소를
분리
한 뒤 SFR에서 소각해 사용후핵연료의 부피와 독성을 저감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사용후핵연료 부피를 이론상 20분의 1로 줄이고 SFR 원료로 재활용할 수 있다. 2018년 당시 국회 의견에 따라 사용후핵연료 ... ...
우주 기원 밝힐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마침내 우주로 떠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26
원격 측정 데이터가 수신되기 시작됐고 27분 후에는 아리안5호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을
분리
하는 데 성공했다. 발사 30분 후에는 망원경의 태양광 패널을 펼치고 동력을 충전하는 것을 확인했다. 발사 12시간 30분 후 궤도를 수정하기 위한 첫 추력기 동작에도 성공했다. 빌 넬슨 NASA 국장은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