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뉴스
"
분리
"(으)로 총 2,65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하나씩 밝혀지는 핵막공복합체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2.06.12
분자로 이뤄진 원시 세포 환경에서 거대 분자 구조와 공간 조직을 분석하고 분자의 상
분리
를 연구하는 데 활용된다. 나노미터(nm, 10억 분의 1m) 수준까지 들여다 볼 수 있다. 연구팀은 핵막공복합체의 단백질과 핵막이 세포벽 내부에서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 밝혔다. 우 하오 미국 하버드대 의대 ... ...
15일 발사 앞둔 누리호 조립 모두 마쳐… 발사 전날 비 예보가 '변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6.10
교신하게 된다. 안상일 항우연 위성우주탐사체계설계부 책임연구원은 “위성이
분리
된 후 문제가 없다면 정해진 시간에 지상에 신호를 보낼 것”이라며 “데이터를 확인하면 위성이 정상인지, 자세 제어가 제대로 이뤄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뇌 신호 안전하고 정밀하게 측정하는 하이드로젤 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서울대 제공 연구팀은 독성 물질 없이도 레이저의 광열화학반응만 이용해 PEDOT:PSS의 상
분리
를 유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원하는 부분에 레이저를 쏘면 국소적으로 액체와 고체 분포가 변하는 특성을 발견한 것이다. 이를 이용해 레이저만으로 PEDOT:PSS를 전도성 하이드로젤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 ...
미 연구진, 다양한 코로나바이러스에 맞서는 항체 30종 추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항체만 모든 바이러스를 중화했다. 연구팀은 이들 중 2명의 혈청에서 107개의 항체를
분리
한 뒤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사스코로나바이러스-1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결합하는 것들을 추렸다. 이들 통해 총 30개의 항체가 분류됐다. 연구팀은 30개 항체의 공통점을 알아내기 위해 면역유전학적 분석을 ... ...
제주 고산 기후변화감시소 기후변화 연구 전초기지로 거듭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08
수월봉에 자리한 고산 기후변화감시소의 기능이 강화된다. 기존 고산 환경분석센터와
분리
운영됐던 관측 기능을 통합하고, 국내 유관기관과 협력해 기후변화 원인물질을 집중적으로 관측한다. 국립기상과학원은 기후변화감시 역량을 향상하기 위해 제주 고산 기후변화감시소의 기능을 ... ...
한국 첫 우주탐사선 '다누리' 기획부터 발사까지 15년 "이제 준비는 끝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06
후 첫 교신은 호주 캔버라에 위치한 안테나를 통해 이뤄진다”며 “교신 후에도 로켓과
분리
한 다누리가 BLT로 정상적으로 진입하는지, 정상 진입 후 9번의 궤적 변경 기동 이후 달 궤도로 진입하는지, 달 궤도 진입 후 5차례의 기동을 통해 목표 궤도인 고도 100km의 원궤도에 진입하는지가 ... ...
중국 유인우주선 선저우 14호 성공적 발사…우주정거장 모듈과 도킹
동아사이언스
l
2022.06.06
창정-2F 야오-14호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발사 577초 뒤 선저우 14호는 로켓에서
분리
돼 예정된 궤도에 진입했다. 이어 오후 6시 42분에 톈허와 도킹하는데 성공했다. 톈궁은 중국이 독자적으로 구축 중인 우주정거장이다. 길이 37m, 무게 90t으로 현재 미국, 러시아 등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 ...
환자 세포를 3D프린팅 찍어 만든 인공귀 이식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6.03
연골 0.5g을 제거하는 수술을 한 뒤 3D바이오로 보낸 뒤 연골 세포를 조직 샘플에서
분리
하고 배양해 수십억 개의 세포로 증식한 것이다. 3D바이오 연구진은 배양된 세포와 인체에 안전하고 모든 소재를 무균 상태로 유지하는 콜라겐을 결합해 ‘바이오 잉크’를 만들었다. 그런 뒤 콜라겐을 ... ...
[우주산업 리포트] 닦고 조이고 기름칠하고…‘우주 서비스’가 뜬다
2022.06.03
역할을 하는 부분과 청소부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나눠져 있다. 이 두 부분이 우주에서
분리
되어 서로 멀리 떨어졌다가 다시 접근하여 도킹하는 연습을 반복 진행하고 있다. 실제 서비스에서는 청소부 역할을 하는 부분이 실제 우주 쓰레기에 도킹한 후 지구 대기권으로 함께 재진입해 산화하는 ... ...
코로나19 변이 계속 출현하는데 새 백신 빨리 안 나오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06.02
100년 가까운 세월 동안 연구된 덕분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1930년대 처음으로
분리
돼 1940년대에 최초의 백신이 승인됐다. 이후에도 백신 개발사와 관련 기관이 수십 년간 독감 예방접종 전략을 수립하고 수정하길 거듭했다. 독감 유행 예측이 지금까지도 종종 빗나가는 경우가 있지만 ... ...
이전
72
73
74
75
76
77
78
79
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