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순간 포착! 물질의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0fs(펨토초. 1000조분의 1초) 정도의 짧은 순간 레이저를 쏘아 마이크로 로봇을 만들었어요. 100fs 동안 레이저와 접촉한 폴리머 액체는 열에 의해 단단해져요. 이 과정을 반복해서 미세한 구멍이 많으면서도 단단한 마이크로 로봇을 완성했지요. 최홍수 교수는 “3D프린터로 만들 수 없는 미세한 구조를 ... ...
- [핫이슈] 나와 닮은 학습메이트 엘리몬과 함께 초등 스마트 학습, 엘리하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10’만큼 큰지 궁금해하고 있어. 100이 얼만큼 큰 수인지 잘 모르겠대. 하로와 함께 100이라는 숫자에 대해 차근차근 알아보자. 책 10권이 든 상자가 10개 있어. 그러면 총 몇 권일까? 박스를 옮기는 게임을 해 봐! 60, 70, 80, 90, 그 다음에 올 숫자는 무엇인지 맞춰보는 거지. 수학에서 중요한 건 반복적인 .. ...
- [핫이슈] 뮤온의 ʻ흔들림 값’ 예측보다 커 새로운 기본입자 가능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전자의 사촌 격인 입자다. 전자보다 질량이 200배 크고 수명은 약 2μs(마이크로초·1μs는 100만분의 1초)에 불과하다. 뮤온의 자기모멘트는 g 값으로 표현되는데, g 값은 뮤온을 둘러싼 자기장이나 뮤온 주변에 나타났다 사라지는 무수한 가상입자들의 영향을 받아 변한다. 즉, g 값이 예측과 다르다는 ... ...
- 1년 동안 지구에 내리는 우주먼지는 얼마나 될까?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거의 없다. 연구팀은 해당 지역에서 입자의 지름이 30~350µ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인 우주소구체(대기를 통과하며 녹은 미세운석) 808개와 얼어 있는 미세운석 조각 1280개를 수집했다.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지구 전체에 같은 양의 우주먼지가 내린다면 매해 5200톤(t)의 우주먼지가 지구에 ... ...
- 밥이 보약이 될수 있다? 식품 광고 대해부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걸립니다. 정 교수는 “국내에서 식품의 기능성을 평가하는 임상시험은 일반적으로 80~100명의 시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다”고 말했습니다. 연구의 신뢰도를 판단하려면 임상시험에 참가한 사람의 수 외에 그 논문의 신뢰성과 연구 방법도 주목해야 합니다. 권 교수는 “논문의 신뢰성은 해당 ... ...
-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언급되는 연구소다.겉보기에는 몇 개의 큰 건물이 모여있는 일반적인 연구소 같지만, 100여m 지하에는 거대한 터널이 자리하고 있다. CERN 아래에서 시작된 터널은 스위스 국경을 넘어 프랑스 남동부 오베르뉴론알프 지역으로 뻗는다. 그리고 큰 원을 그리며 돌아 다시 출발점에 도착한다. 둘레만 무려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7화. 한국의 잊힌 국론 대가, 이임학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이 교수가 남긴 업적이 잊힌 적이 없습니다. 지금까지 리 군(Ree group)에 관한 논문이 100편이 넘을 정도니까요. 또 일찍이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1963년 40대의 나이로 캐나다 과학자의 최고 영예인 캐나다 왕립학회(Royal society of Canada) 정회원으로 선출됐습니다. 사망 직후인 2006년엔 늦게나마 우리나라 ... ...
- [기후위기 연중기획] 자동차 기술로 기후위기 극복한다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나온다가솔린과 디젤 등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차는 1㎞를 달리는 동안 적게는 100g에서, 많게는 200g이 넘는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한국의 이산화탄소 총배출량은 7억 2760만 톤(t)인데 이 중 9810만t(13.5%)이 자동차 등 수송부문에서 발생했다.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누구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술을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데이터를 수학으로, 초차원 컴퓨팅인간의 뇌는 신경세포 사이로 촘촘하게 구성된 약 100조 개의 시냅스를 기반으로 대규모 병렬 연산을 한다. 덕분에 뇌는 현재까지 개발된 그 어떤 AI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1980년대 뇌인지과학자들은 이러한 인간 뇌의 능력을 설명하기 위해 ... ...
- [수학자의 일기]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의 일기 (1646~1716)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5호
- 하지만 라이프니츠의 지지자들은 이를 인정할 수 없다고 반박했어요. 이후 100년 동안이나 논쟁이 이어졌지요. 1820년에 이르러서야 라이프니츠와 뉴턴이 미분법을 독자적으로 발견했다고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