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후쿠시마 오염수, 수학으로 계산해보니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물은 부피 1m³ 일 때 질량이 1000kg(=1t)이므로, km를 m로 바꿔 바닷물 양을 계산하면, 105mX105mX100m=1012m3 즉 1조t입니다. 따라서 농도는로, 약 백만분의 1.25배로 낮아집니다. 일본 정부는 오염수를 희석해 배출한다고 합니다. 일본의 삼중수소 배출 가능 기준은 6만Bq/L입니다. 현재 삼중수소 ...
- [특집] 비건 패션, 트렌드가 되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3D 프린팅 기술을 선보였다. 연구팀은 50µm(마이크로미터·1µm는 100만분의 1m) 두께의 구조물 수천 개를 제작했다. 머리카락 두께로 촘촘히 인쇄된 털은 마치 고급 모피처럼 부드러운 촉감을 가졌다. 하지만 다양하게 개발된 신소재가 상용화돼 실제 제품으로 소비자와 만나려면 ... ...
- 빨간 궁금증이 있다면 월경상점으로 오세요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비가 내렸다. 우중충한 하늘을 지나 월경상점의 문을 열자 새빨간 벽이 기자를 맞이했다. 100개는 돼 보이는 생리컵이 빨간 벽 선반에 줄지어 있었다. 생리컵은 질에 삽입해 생리혈을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월경 용품이다. 2017년 12월 미국 펨캡 사의 생리컵 ‘페미사이클’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 ...
- [기획] 순간 포착! 과학 세상에 이런 일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어떤 순간이든지 다 포착해 내지. 금 분자가 만들어지는 순간부터, 0.1μs(마이크로초. 100만분의 1초) 사이에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번개까지! 이 순간들을 포착해서 보면 눈에 보이지 않던 새로운 세상이 보여. 그 순간들을 지금부터 감상해 보자!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기획] 순간 ... ...
- [기획] 순간 포착! 물질의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0fs(펨토초. 1000조분의 1초) 정도의 짧은 순간 레이저를 쏘아 마이크로 로봇을 만들었어요. 100fs 동안 레이저와 접촉한 폴리머 액체는 열에 의해 단단해져요. 이 과정을 반복해서 미세한 구멍이 많으면서도 단단한 마이크로 로봇을 완성했지요. 최홍수 교수는 “3D프린터로 만들 수 없는 미세한 구조를 ... ...
- [핫이슈] 나와 닮은 학습메이트 엘리몬과 함께 초등 스마트 학습, 엘리하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10’만큼 큰지 궁금해하고 있어. 100이 얼만큼 큰 수인지 잘 모르겠대. 하로와 함께 100이라는 숫자에 대해 차근차근 알아보자. 책 10권이 든 상자가 10개 있어. 그러면 총 몇 권일까? 박스를 옮기는 게임을 해 봐! 60, 70, 80, 90, 그 다음에 올 숫자는 무엇인지 맞춰보는 거지. 수학에서 중요한 건 반복적인 .. ...
- 밥이 보약이 될수 있다? 식품 광고 대해부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걸립니다. 정 교수는 “국내에서 식품의 기능성을 평가하는 임상시험은 일반적으로 80~100명의 시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다”고 말했습니다. 연구의 신뢰도를 판단하려면 임상시험에 참가한 사람의 수 외에 그 논문의 신뢰성과 연구 방법도 주목해야 합니다. 권 교수는 “논문의 신뢰성은 해당 ... ...
- [특집] 확률 알면 빠르고 정확한 답변 찾는다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있습니다.우리 생활 속 다양한 서비스들이 AI 기술을 접목해 변신하고 있습니다. 만약 100명 중 1명 꼴로 걸리는 암에 걸린 사람이 있다고 해볼게요. 암에 걸릴 사건 A의 확률 P(A)는 이죠. 또 암에 걸린 사람 중 복통이 있을 확률 P(A|B)는 이라고 해볼게요. 이 확률은 사건 A가 일어났을 때 B가 일어나는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누구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술을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데이터를 수학으로, 초차원 컴퓨팅인간의 뇌는 신경세포 사이로 촘촘하게 구성된 약 100조 개의 시냅스를 기반으로 대규모 병렬 연산을 한다. 덕분에 뇌는 현재까지 개발된 그 어떤 AI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1980년대 뇌인지과학자들은 이러한 인간 뇌의 능력을 설명하기 위해 ... ...
- [기획] 순간 포착! 빛이 번쩍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대기물리학자인 솔스텐 뉴버트는 “16km 높이의 구름 꼭대기에서 10μs(마이크로초·1μs는 100만 분의 1초) 동안 밝게 빛나는 푸른빛의 섬광*을 관측했다”며, “이 제트가 고도 약 52km까지 솟아올랐다”고 설명했습니다. 용어정리*방전 : 전기를 띠고 있는 물체가 전기를 잃는 현상.*섬광 : 짧은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