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지"(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기계공학자의 눈으로 본 라테, 위스키 그리고 와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혼합 현상이 일어난다. 이런 현상은 19세기에 처음 발견됐지만 오랫동안 그 이유가 밝혀지지 않았다. 필자는 스톤 교수팀과 함께 와인과 같은 알코올이 물과 만날 때 섞이는 현상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를 수행해 ‘네이처 피직스’ 에 2017년 7월 발표했다. doi:10.1038/nphys4214 이와 같은 알코올과 물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단 하나의 난자를 만들어 냅니다. 난모세포가 분열을 할 때 세포가 동등하게 반반씩 나눠지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실제로 모세포만큼 큰 딸세포 하나와 이에 비해 아주 작은 두 번째 딸세포가 생기고, 작은 딸세포는 결국 퇴화합니다(위 그림). 난모세포가 4개의 난자가 아닌, 하나의 큰 난자를 ... ...
- [인터뷰] 물리학자, 눈결정의 별이 되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이 사람을 빼놓고는 눈결정에 대해 논할 수 없다!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눈결정을 연구하는 리브레히트 교수와 이메일로 이야기를 나눠봤다. Q. 눈결정과 사랑에 빠지게 된 이유는 ... 있을까?[인터뷰] 물리학자, 눈결정의 별이 되다[잠깐만요!] 위태위태 눈조각 무너지지 않은 이유는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중력의 합이 0이 되는 지점이다. 이 지점에 우주정거장을 건설할 경우 어느 쪽으로도 당겨지지 않고 고정된다. 정지된 상태로 한 위치에 머물 수 있단 의미다. 2017년 10월 러시아는 미국의 심우주 게이트웨이 건설에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로써 ISS에 이어 미국과 러시아가 다시 한번 달 궤도에서 ... ...
- Part 1. 1998~2018, 해시태그로 본 20년의 기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점이다. 메틸화의 정도가 지나치게 높거나 낮아지면 정상적인 유전 정보 복제가 이뤄지지 않아 세포에 병변이 발생하기 쉽다. 또, 지구보다 우주에서 장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도 나왔다. 우주 공간에서 보낸 1년간 스콧의 유전자 기대수명이 길어졌기 때문이다. DNA의 말단에 달린 ... ...
- [통합과학 교과서] 비밀스런 물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1월 1일이 되는 순간 빅뱅이 일어나요. 우리가 속해 있는 은하는 5월이 되어서야 만들어지지요. 태양은 8월 31일, 지구는 9월 14일에 탄생해요. 오래 전 지구에서 번성했던 공룡은 크리스마스가 되어서야 나타난답니다.현생 인류가 나타난 건 12월 31일, 우주 달력의 마지막 날 밤 11시 52분이에요. 이후 ... ...
- [쇼킹 사이언스] 폭발하는 화산에서 푸른 빛이 번쩍! 화산번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작은 알갱이로 이루어져 있어요. 이 알갱이들이 공중에서 서로 부딪히면 정전기가 만들어지지요. 이 정전기가 쌓여서 화산번개가 되는 거랍니다. 구름 속 얼음 알갱이가 부딪히면서 정전기가 쌓여 번개가 생기는 것과 같은 원리예요. 2014년, 독일 루드비히맥시밀란스대학교 연구팀은 연구실에서 ... ...
- [Culture] 좌완투수의 시대 왼손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86쪽 사진). 그래도 내야는 모두 똑같은 규격의 네모 반듯한 다이아몬드 형태에서 치러지지않냐고 반문을 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동일한 규격이라고 할지라도 왼손 타자에게 유리한 중요한 비대칭성이 있다. 바로 타자가 반시계 방향으로 베이스를 돈다는 점이다. 1루쪽 타석에 들어서는 왼손 ... ...
- [현장취재]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을 만나다! 로멜라 로봇 전시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찾아보기 힘든 기상천외한 로봇이 이번 전시에서 최초로 공개됐지요. 바로 절대 넘어지지 않는 풍선 로봇 ‘발루’와 멀티 이동 로봇 ‘알프레드’였어요. 그밖에도 펜싱선수처럼 걷는 로봇 ‘나비’, 국제로봇축구대회인 로보컵에서 3년 연속 우승한 ‘다윈-OP’, 보조 마술사 로봇 ‘마지’ 등이 ... ...
- [과학뉴스] 개복치 족보 다시 쓰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몸집도 거대하다. 하지만 주로 심해에서 살고 있어 종이나 습성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에추로 사와이 일본 히로시마대 생물학과 연구원 등 일본과 호주 공동 연구팀은 개복치 표본 30점을 분석한 ‘개복치 족보’를 ‘어류학 연구’ 2017년 12월 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개복치를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