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지"(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일러를 앞선 최석정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손으로 베껴 써서 돌려봤습니다. 이 책을 보는 사람이 많지 않는 한 지방까지 전해지지 않지요. 또 조선에 들어온 중국 수학책에는 문제와 답만 있을 뿐 풀이 과정이 모두 생략돼 있습니다. 그런데 ‘산학원본’에는 어려운 문제도 풀이가 자세히 담겨 있었습니다. 17세기 최고의 산학자로 꼽히는 ... ...
- 주기율표와 화학결합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박사팀은 확증을 위해 실험을 재개했다. 하지만 이전과 다르게 좀처럼 발견이 이뤄지지 않았다. 그로부터 7년 뒤인 2012년 8월, 모리타 박사팀은 마침내 113번 원소를 확증하는 실험결과를 얻어냈다. 동일한 과정을 통해 나타난 105번 원소 더브늄이 연달아 두 번 더 알파붕괴하면서 101번 원소인 ... ...
- [종목5] 컬링, ‘ 빙판 위의 체스’ 돕는 얼음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만난 이상철 책임연구위원은 “얼음의 온도와 마찰력 사이의 관계가 지금껏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가 컬링 대표팀을 돕기 위해 나섰을 때 처음 마주한 장애물이었다. 얼음, 브러시, 패드 삼박자 맞아야‘빙판 위의 체스’로도 불리는 컬링은 둥글고 납작한 돌덩어리인 ... ...
- [Origin] 몸 밖의 몸,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성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하지만 대뇌 발생 후기에 만들어지는 신경세포들이 잘 만들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남아있었습니다. 체외에서 대뇌 피질의 유사체를 만들었다고 하기에는 아직 역부족이었죠. doi:10.1016/j.stem.2008.09.002 참고로 사사이 박사는 줄기세포 연구에서 일본 최고 석학으로 칭송 ... ...
- [인터뷰] 장서현 “과학동아가 면접에 결정적인 도움 됐어요”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점에서 정말 흥미롭더라고요. 자라면서 생명과학이 우리 생활과 밀접하면서도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됐습니다.” 전공적합성면접은 과학동아로 도움 받아고등학교 내내 작성한 질문노트는 입시 준비에도 큰 도움이 됐다. 질문노트 자체가 ... ...
- [인터뷰] 물리학자, 눈결정의 별이 되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이 사람을 빼놓고는 눈결정에 대해 논할 수 없다!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눈결정을 연구하는 리브레히트 교수와 이메일로 이야기를 나눠봤다. Q. 눈결정과 사랑에 빠지게 된 이유는 ... 있을까?[인터뷰] 물리학자, 눈결정의 별이 되다[잠깐만요!] 위태위태 눈조각 무너지지 않은 이유는 ... ...
- [종목4] 봅슬레이, 최첨단 ‘과학 썰매’로 金 사냥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동체가 부드럽게 움직히지만 썰매가 뒤집히는 등 급격한 변동이 생기면 동체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최적화했다”고 설명했다. 그밖에도 현대차는 선수들의 안전과 직결되는 부위에는 방탄복을 만들 때 쓰이는 케블라(아라미드 섬유)를 적용해 썰매가 충돌하거나 뒤집혔을 때 선수들의 안전을 ... ...
- [Culture] 기계공학자의 눈으로 본 라테, 위스키 그리고 와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혼합 현상이 일어난다. 이런 현상은 19세기에 처음 발견됐지만 오랫동안 그 이유가 밝혀지지 않았다. 필자는 스톤 교수팀과 함께 와인과 같은 알코올이 물과 만날 때 섞이는 현상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를 수행해 ‘네이처 피직스’ 에 2017년 7월 발표했다. doi:10.1038/nphys4214 이와 같은 알코올과 물 ... ...
- [Culture] 계란과 고기 단백질의 결착력, 생선전 & 동그랑땡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점점 끈적끈적해집니다. 공 모양이든, 둥글넓적한 모양이든 어떤 모양으로 빚어도 무너지지 않고 그 모습을 그대로 유지합니다. 고기에는 다양한 단백질이 들어 있는데, 그중 글로불린이 소금이나 간장 속 염(NaCl)의 양이온(Na+)과 결합하고, 반죽으로 빠져나와 찰기를 만들기 때문입니다. 동그랑땡을 ... ...
- [가상인터뷰] 반사망원경을 품고 있는 가리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있다는 사실은 200여 년 전부터 알려져 있었어요. 하지만 그 구조와 원리는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답니다. 일리: 그 원리가 대체 뭔데?가리비: 이스라엘 바이즈만 과학연구소의 벤저민 팔머 박사는 가리비의 눈을 얼린 후, 잘게 썰어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어요. 그 결과, 가리비 눈에 렌즈 대신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