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류"(으)로 총 2,54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다시 시작된 아날로그 시대, 5세대 컴퓨터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이 과정을 3~4번 반복하면(3~4개 층을 거치면) 정보가 추상화된다. 정보 추상화는 정보를 분류할 때 필요한 핵심정보만을 취하는 과정이다. 추상화된 정보를 근거로 마지막 층에서 사진 속 물체가 과학동아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신호전달의 시간 차이를 이용해 학습우리도 새로운 사람의 얼굴과 ... ...
- 고리포터가 밝히는 햄 기사의 진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요인을 가지고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거지요.보고서 800건이 지목한 햄햄이 발암물질로 분류된 건 오랜 시간동안 쌓인 보고서의 영향이 컸습니다. IARC는 가공육이 암 발병에 얼마나 영향을 끼치는지에 관한 통계 보고서 800건을 조사했습니다. 주제만 비슷할 뿐, 조사 대상과 시기, 장소가 제각각인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18.5 미만이면 저체중, 18.5~22.9이면 정상체중, 23~24.9이면 과체중,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키가 140cm이고, 몸무게가 40kg인 어린이의 체질량지수는 40÷(1.4×1.4)=20.4로, 정상체중이다 ... ...
- [지식] 길쭉한 고양이 눈, 네모난 소 눈, 동그란 사자 눈 눈동자의 법칙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눈동자처럼 동그란 ‘둥근 눈동자’, 가로로 긴 직사각형 모양인 ‘네모 눈동자’로 분류했다. 연구팀은 각 눈동자와 닮은 조리개를 만들어 카메라에 넣고 십자 모양의 사물을 찍었다. 그 결과 눈동자마다 시야뿐 아니라 원근감도 전혀 달랐다.둥근 눈동자 조리개로 찍었을 때는 상이 가장 또렷하게 ... ...
- [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비교하면 몸 색깔과 줄무늬 패턴도 알 수 있다.최근 중국과학원 척추동물 진화계통분류학과의 푸첸 장 교수팀은 온몸을 덮고 있는 깃털이 거의 온전하게 찍혀 있는 시노사우롭테릭스 화석을 관찰했다. 특히 깃털 부분에서 어두운 색을 띠는 색소가 퍼져 있는 모양에 주목했다. 현재 지구상에 살고 ... ...
- “너 이제 TV 켤 거지?” 점쟁이 인공지능 탄생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만들었다. 연구팀은 각각의 사진을 운전, 요리, TV 시청, 업무 등 19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뒤 컴퓨터에 ‘딥러닝’시켰다. 딥러닝 기술은 많은 데이터에서 패턴을 발견해 사물을 구분하는 정보처리 방식으로 시각 분야 인공지능을 구현할 때 주로 적용한다. 대니엘 카스토 박사과정 연구원은 ... ...
- Part 3. 몸은 메가이터가 될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풀이나 건초 등을 즐겨 먹는 이유다. 마지막으로, 육식과 초식 외 나머지를 잡식동물로 분류한다.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을 모두 먹는 돼지, 닭, 쥐, 곰, 라쿤, 스컹크 등이 속한다. 인간은 이 중 잡식동물에 해당한다. 첫 번째 증거는 치아다. 입 안으로 들어간 음식물은 가장 먼저 치아를 만나 잘게 ...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곤충 전체예요.”B가 말을 얹었다. “요새 누가 기초연구를 합니까. 전부 응용 위주지. 분류학자가 멸종위기라는 말까지 돌잖아요. 유전학이 거기에 쐐기를 박았지. 요즘 학자들은 곤충을 직접 보지 않고 DNA를 분석하니 파브르의 연구를 돌아볼 일이 더 없어졌어.” “출신도 중요해.” A가 다시 ... ...
- INTRO. 21세기 파브르 곤충기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인세로 먹고 살 수 있게 됐다. 이때부터 전업연구자·작가가 됐다. 파브르는 당시 분류학자들이 주로 사용하던 해부용 메스나 현미경보다는 돋보기를 들고 살아있는 곤충을 관찰하길 좋아했다.에덴동산에서 남은 여생을파브르는 죽을 때까지 프랑스 남부 알마스 지역에 머물며 곤충기를 썼다. 그는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길을 선택하는 게 좋다”고 했다. 어리여치는 풀벌레 중에서도 가장 연구가 안 돼 있는 분류군이다.“이름에 여치가 들어있지만 여치와는 습성이 완전히 달라요. 꽃가루를 옮겨서 수분시키는 녀석도 있어요. 이것 보세요.” 스마트폰을 휙휙 넘기더니 영어논문을 꺼내 보여준다. “2009년 나온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