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d라이브러리
"
다음
"(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 사람의 두개골 쏘아 올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은 아니다. 미국은 이미 군사적인 목적으로 비밀리에 두차례나 두개골을 쏘아 올렸다.
다음
에는 두개골만이 홀로 떠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실제로 내년 우주왕복선 비행계획에는 인간의 몸통의 동승이 확실히 잡혀 있다. 입자들이 인간의 '부드러운' 조직을 어떻게 관통하느냐를 알아내기 위해서다 ... ...
운석과 혜성으로 지구에 접근하기도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않으나 천문학자들은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 두가지의 가설을 세웠다. 첫번째 가설은
다음
과 같다.태양계 초기에 행성의 모습을 거의 완벽하게 갖춘 목성은, 자신의 궤도에 남아 있던 비교적 큰 행성체들을 궤도 밖으로 밀어낸다. 목성궤도로부터 튀어나온 행성체들은 소행성 지역을 관통하는 ... ...
단풍과 낙엽으로 군살뺀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것도 보통 잎의 나이 순서대로 일어난다. 가지의 맨 밑에 달린 잎이 먼저 누렇게 되고 그
다음
에는 중간에 있는 잎, 마지막으로 끝에 달린 어린 잎이 누렇게 된다. 봄에 차례로 가지에 난 잎일지라도 역시 나이차가 있다. 이 차이는 무척 작지만 나이순서에 따라 단풍이 진다는 것은 확실하다.가을이 ... ...
오른뇌를 자극하라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저하돼 암기는 물론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가 잘 떠오르지 않는다. 그러므로
다음
과 같은 휴식방법을 권하고 싶다.벽에 붙여 놓은 만다라를 잠시 응시하면서 휴식을 취하거나 조용히 눈을 감고 심호흡을 하는 것이 좋다. 또는 클래식 음악이나 경음악을 감상한다든지 산책을 하면 왼뇌의 활동이 ... ...
아리스토텔레스 Vs 데모크리토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특히 '아무 것도 없는 것이 있다'는 진공은 절대로 있을 수 없다고 생각했는데 그 이유로
다음
과 같은 것들을 들었다. 여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① 공기도 없고 아무 것도 없는 공간을 생각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모순이다.② '진공이 있다'는 말은 진공도 마치 물체와 같이 어떤 실체가 있다고 ... ...
특수문자처리와 모양내기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가진 글자들에게 밑줄 속성도 부여하고 싶다고 하자. 이때는 문서 전체를 블럭으로 만든
다음
〈Alt+L〉키를 누르고 밑줄 속성만을 선택한다. 그리고 '-찾기-'를 선택하여 그림자 속성만을 선택한다. 이제 '-완료-'를 선택하면 된다. 만약 그림자 속성을 없애고 밑줄 속성으로 바꾸려면 밑줄 속성을 ... ...
도로를 보다 과학적으로 관리해야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비교적 긴 신호시간을 채택하고 있다. 이때는 자동차가 한번 신호를 받으면
다음
신호에 걸리지 않고 계속 진행하게 하는데 관심을 두어야 하고, 정지회수가 최소가 되게 해야 한다. 특히 지형지물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교차로 간격이 길어서 충분히 대기행렬을 수용할 수 있는 ... ...
근시·원시·난시를 수술로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근시 및 원시의 교정이 가능하다. 이 수술은 사람의 각막실질을 동결건조법으로 처리한
다음
원하는 도수가 되도록 깎아 렌즈모양으로 가공한 뒤 근시나 원시환자에게 이식해주면 끝난다. 이 수술의 장점은 굴절교정효과가 좋고 심한 근시와 원시환자 그리고 난시 및 원추각막환자의 고민을 ... ...
컴퓨터에 상식을 가르친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의해 진행되고 있다. 이 처리기는 문장을 분석하여 가능한 모든 뜻을 찾은
다음
이들 뜻의 공통된 의미를 찾아 가장 맞는 뜻을 골라 낸다.Cyc는 읽을 기회가 주어지기도 전에 실패할 뻔 했다. 가장 위험한 것은 서로 대립되는 지식, 즉 서로 뜻이 명확하지 않은 것이다. 이러한 뜻의 차이는 어느 정도 ... ...
북경 IMO를 다녀와서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중 2, 3학년 때 배우는 평면 논증기하학의 내용과 증명법을 철저히 익혀야 한다. 그
다음
고교에서 배우는 입체기하 해석기하 벡터를 익히면 기하학분야는 자신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대수학 분야에는 정수론이란 과목이 있는데 이것은 우리의 교과과정에는 없고 대학교 1, 2학년때 배우게 된다. ... ...
이전
784
785
786
787
788
789
790
791
7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