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d라이브러리
"
다음
"(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신경망군과 퍼지양의 「결혼」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NN을 도입하려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장래의 중요한 연구분야를 살펴 보면
다음
과 같다.첫째 NN을 이용해 퍼지추론을 자동으로 하는 방법, 둘째 퍼지추론 규칙을 추론환경에 적응시키는 방법, 셋째 퍼지와 NN의 유사성에 대한 연구, 넷째 회로망(network) 구조를 이용해 퍼지추론을 근사적으로 ... ...
신화속의 별자리/오리온좌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아폴로의 계략을 눈치채지 못하고 단번에 활시위를 당겨 그것을 명중시켰다.
다음
날 바닷가에 밀려온 오리온의 시체를 발견한 아르테미스는 이제야 자신이 오빠 아폴로의 속임수에 넘어간 것을 알고 목놓아 울었으나 소용이 없었다. 아르테미스는 제우스에게 오리온을 하늘의 별자리로 만들어 ... ...
노출시간과 필름의 감광속도에 주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천체사진촬영은 의외의 흥미를 줄지도 모른다. 지금 간단한 준비로 당장 시도해보자.
다음
에는 보다 전문적인, 망원경을 이용한 피지백 방식에 의한 천체사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다.서울대 천문대 24인치 반사망원경 가동-관측 천문학 발전에 기여할 듯서울대 천문대에 전자동 24인치 ... ...
주변기기 활용법/ 한글카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추가하여 영문자와 구별하였기 때문에 많은 메모리를 차지하였고 시간도 많이 걸렸다.
다음
에 등장한 한글은 3바이트 한글이다. 3바이트 한글은 아예 한글 코드를 초성 중성 종성에 1바이트씩 할당하여 모두 3바이트로 표시하였다. 또 N바이트와 마찬가지로 한글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코드를 각 ... ...
오스트레일리아 특별동물구(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방법으로 승부를 가린다. 그들은 싸울때(수컷끼리만 승부를 가린다) 일단 다가가 붙은
다음
즉시 서로 몸을 꼬아댄다. 몸부림을 치며 기진맥진해질 때까지 조이다가 서로 지쳐 얽힌 상태를 풀게 되면 항복한 쪽이 황급하게 도망친다. 6 ① 오스트레일리아의 무덤새는 가을에 깊이 0.6~1m의 넓은 구멍을 ... ...
푸른 장미의 등장은 시간문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푸른'유전자를 아그로박테리움 투메페시엔스라는 박테리아에 삽입시킬 예정이다. 그런
다음
장미의 꽃잎에 상처를 입히고 그곳을 통해 장미가 전에 갖지 못했던 유전자를 집어넣어줄 것이다. 이 작업은 앞으로도 12개월이 지나야 성공여부를 알 수 있다.만약 푸른 장미가 핀다면 이 '유전공학화'(花 ... ...
차세대 원전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보아 이러한 설비의 신뢰도는 비교적 높다고 할 수 있으나 동력의존형기기의 사용에는
다음
과 같은 점들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첫째 동력의존형 기기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 및 압축공기가 항상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 둘째 동력의존형 기기의 대부분은 자동제어설비에 의해 작동되지만 ... ...
환경원년 돌아보는 공해추방운동연합 최열 공동의장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홍보, 연구하는 만큼의 막대한 비용으로 화력에너지의 탈황(脫黃)시설을 개발하고
다음
세대를 위한 대체에너지를 연구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하며 자리에서 일어섰다 ... ...
PARTⅠ 2000년대를 내다 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있지만 명주실을 만드는 기능을 지닌 유전자도 있다. 때문에 누에의 모습과 기능을
다음
세대로 계속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1960년대 후반에 왓슨(Watson)과 크릭(Crick)이 유전자의 구성물질인 DNA고분자의 구조를 밝힌 이래 분자유전학의 지식은 급속도로 발전, 유전자의 기능을 더욱 광범하게 설명할 ... ...
암과 AIDS를 번쩍 들어 올릴 수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대상으로 곧 유전자요법을 재차 시도하게 된다. 그들은 환자로부터 림프구를 얻은
다음
이 림프구에 c-DNA가 삽입된 벡터를 이입하고, 다시 시험관내에서 배양한 뒤 환자의 혈관으로 돌려보내게 될 것이다. 이미 연구팀은 ADA결핍증환자의 림프구에 ADA유전자를 이입시켜 주면 손상되었던 림프구의 ... ...
이전
780
781
782
783
784
785
786
787
7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