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슴도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그대로 지속된다는 것이 실험에 의해 증명됐다.식성은 잡식성으로 여러가지 곤충
작은
포유류 새 지렁이 달팽이 민달팽이 도마뱀 장지뱀 야생조류의 알 들쥐 잡초의 뿌리 과일 등을 좋아한다. 먹이가 없을 때에는 민가에 있는 양계장에 침입, 달걀을 훔쳐 먹는 경우도 있다. 동물원이나 집에서 ... ...
1. 트랜지스터 1백만개 이상 집적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중앙처리장치가 집적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속도나 성능은 중형이나 대형에 못미치나
작은
부피와 저렴한 가격으로 현재의 PC와 같은 부피로 어떤 일반 환경에서도 컴퓨터로서 작동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반도체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중형 컴퓨터에 접근하는 성능을 나타내고 있어 점차 ... ...
4. 초보자도 자신감을 갖게 해준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힘든 명령어를 키보드로 입력하지 않고도 마우스를 이용해 아이콘(icon)이라고 부르는
작은
그림 조각들을 조작함으로써 웬만한 일은 다해낼 수 있음을 입증했다.처음부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설계된 매킨토시와는 달리 IBM PC 진영에서는 이제는 구식이 된 MS-DOS를 기존 소프트웨어와의 호환성 문제 ... ...
실리콘밸리의 아침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버렸다. 마이크로 황금시대 개막쇼클레이의 수제자인 노이스는 1926년 아이오와주의
작은
마을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러던 그가 필코사에서 쇼클레이 반도체연구소로 옮겨온 것은 1955년. 약관 28세의 물리학자인 노이스는 그곳에서 약 1년간 머물렀다. 이후 페어차일드로 분가해나간 ... ...
(3) 「비의 바다」에 펼쳐진 신비의 분화구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달의 지형이 워낙 복잡해 쉽게 포기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눈에는 보이지만
작은
지형들은 주관적으로 생략해가며 그려야 하는데 이는 좋은 기록이 될 수 없다. 스케치는 보이는 그대로 전부 묘사해야 한다. 스케치에 경험이 없는 사람이면 맨눈 또는 저배율 쌍안경으로 백지에 약 10cm의 ... ...
아인슈타인의 4차원을 넘어서 5차원 세계로의 초대 칼루자-클라인이론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차원은 ${10}^{-33}$cm 정도로 작기 때문에 느끼지도 보지도 못한다는 것이다.이렇게
작은
7차원(물리학자들은 이를 차원축소라고 한다)을 생각하는 대신 조용민교수는 균일측도(isometry)라는 개념을 활용, 우리가 4차원 이상의 차원을 못느끼고 못보는 이유를 대칭성에서 찾고 있다.예를 들어 원주상의 ... ...
하루살이의 진짜 수명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향해 날아가는 비둘기가 많았으나 흐린 날에는 여러 방향으로 흩어져서 날아갔다.몸에
작은
자석을 달아서 지구자기를 감지하는 능력을 소별시킨 뒤에 비둘기를 놓아주면 맑은 날에는 태양 나침반을 활용해 방향을 찾지만 흐린 날에는 자기장 감각에 혼란이 생겨 집을 찾지 못하게 된다.비둘기는 ... ...
4. 「타워링」의 비극이 현실화할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일본이 이러한 인공도시의 초대형 구조물을 얼마나 현실로 옮길지 궁금하다.1970년대는 '
작은
것이 아름답다'라는 슈마허의 말이 인기가 있었는데 역시 사람들은 돈이 좀 생기면 크게 놀고 싶은 생각이 드는 모양이다. 물론 일본은 좁은 땅에 더 많은 인구를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경제적이고 ... ...
거꾸로 매달린 허영심 많은 왕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불가능하다.이 별자리에서 마지막으로 관심을 가질만한 대상은 델타 별이다. 이 별은
작은
망원경으로도 구별이 쉬운 노란색의 4등급과 푸른색의 6.3등급 별로 이루어진 매혹적인 이중성이다. 이 별에서 가장 관심을 끄는 것은 매 5일 9시간을 주기로 규칙적으로 밝기가 변하는 노란색 초거성인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무수한 생을 담고 소리없이 떠오른다. 들리는 것은 오직 자신의 호흡과 심장고동 소리와
작은
유성들의 우박소리. 누구든지 여기에 서면 우주의 광대함과 신비를 경외하며 삶의 환희를 찬송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이런 상황이 지금 이루어져 가고 있다. 자급자족의 유인생산기지 달 개발 ... ...
이전
779
780
781
782
783
784
785
786
7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