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무수한 생을 담고 소리없이 떠오른다. 들리는 것은 오직 자신의 호흡과 심장고동 소리와
작은
유성들의 우박소리. 누구든지 여기에 서면 우주의 광대함과 신비를 경외하며 삶의 환희를 찬송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이런 상황이 지금 이루어져 가고 있다. 자급자족의 유인생산기지 달 개발 ... ...
2. 신소재와 정밀설계기술 총동원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그 중 특히 중요한 몇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콘크리트 건물을 건설할 경우 아무리
작은
규모의 건물이라도 한층을 짓는데 최소 4일에서 15일이 소요된다. 콘크리트 공사에는 여러가지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일련의 콘크리트 작업을 체계화하고 콘크리트를 연속적으로 부어 넣어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첫날 현포를 돌면서 교수님께서 그 지역이 해안단구라고 말씀하셨는데 저로서는 이렇게
작은
섬 안에서 부분적인 융기가 일어날 수 있는지 좀 의아했습니다. 만약 부분융기라면 단구나 습곡이 나타나야 하는 것 아닙니까.고의장 땅덩어리 규모의 차이를 융기와 관련시킬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 ...
2. 사람간의 대화처럼 자연스럽게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아이소포인트(isopoint)라는 장치는 매우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이다. 아이소포인트는
작은
원통이 수평축에 끼워져 있는데 커서를 좌우로 움직이고자 할 때는 원통을 좌우로 밀면 되고, 상하로 움직이고자 할 때는 원통을 회전시킨다.위치 지적 장치의 크기를 줄이고자 하는 노력의 극치는 홈로(home row ... ...
실리콘밸리의 아침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버렸다. 마이크로 황금시대 개막쇼클레이의 수제자인 노이스는 1926년 아이오와주의
작은
마을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러던 그가 필코사에서 쇼클레이 반도체연구소로 옮겨온 것은 1955년. 약관 28세의 물리학자인 노이스는 그곳에서 약 1년간 머물렀다. 이후 페어차일드로 분가해나간 ... ...
(3) 「비의 바다」에 펼쳐진 신비의 분화구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달의 지형이 워낙 복잡해 쉽게 포기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눈에는 보이지만
작은
지형들은 주관적으로 생략해가며 그려야 하는데 이는 좋은 기록이 될 수 없다. 스케치는 보이는 그대로 전부 묘사해야 한다. 스케치에 경험이 없는 사람이면 맨눈 또는 저배율 쌍안경으로 백지에 약 10cm의 ... ...
'과학기자재 보내기 운동'을 다시 본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백여만원. 1천만원 이상을 기탁한 특별회원 46단체를 비롯해 독지가 1만1천4백55명이 크고
작은
성금을 보내왔다. 이만큼의 성과도 쉽사리 얻어진 것은 아니지만 올해 12월까지 1백억원 모금을 목표로 하고있는 운동본부로선 목표달성을 낙관할 수만은 없어 애타는 심정이다.학교 과학교육을 ... ...
세계 기후모형 다시 제작해야 식물성 플랑크톤이 해수 온도를 높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식물성 플랑크톤이 기후변화에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고 생각해 왔다. 그는 이
작은
식물체가 바다표면에서 햇빛을 흡수, 그 주변의 해수 온도를 높인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그러나 식물성 플랑크톤이 과연 기후변화를 초래할 수 있을만큼 물위의 공기를 데울 수 있느냐는 의문이었다.그 ... ...
고슴도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그대로 지속된다는 것이 실험에 의해 증명됐다.식성은 잡식성으로 여러가지 곤충
작은
포유류 새 지렁이 달팽이 민달팽이 도마뱀 장지뱀 야생조류의 알 들쥐 잡초의 뿌리 과일 등을 좋아한다. 먹이가 없을 때에는 민가에 있는 양계장에 침입, 달걀을 훔쳐 먹는 경우도 있다. 동물원이나 집에서 ... ...
양식장 송어 방출에 비상령 내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알을 낳지못한 송어들은 번식이 어렵게 된다. 이런 것들은 야생의 유전자풀(pool)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친다.국립수산연구개발실의 컨케이트박사는 이러한 유전자수준의 변화가 "양식송어가 계속 증가하고 그들이 재생산을 지속하는한 장기적으로 더 큰 문제가 될 것"이라고 지적한다.전문가들의 ... ...
이전
779
780
781
782
783
784
785
786
7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