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누이좋고 매부좋은」 공생 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위기를 알리는 역할을 한다.SOS를 감지한 큰 개미는 황급히 달려가 진딧물을 건드린
작은
가지에 사납게 공격을 가한다. 이 단계까지는 진딧물 무리를 동요시키지 않는다. 즉 진딧물 무리는 별다른 혼란에 빠지지 않고 질서를 유지한다. 하지만 보호자인 개미도 격퇴할 수 없다고 느끼면 진딧물 ... ...
하루에 수t이 쏟아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빛이 우리가 보게되는 유성이다. 이 유성의 재료라고 할 수 있는 태양계의 입자들은 매우
작은
것들이다. 보통 밤하늘에서 우리가 보게되는 유성은 질량 수 ㎎ 정도의 입자다. 1g만 되어도 관측자들을 감탄하게 할만큼 밝은 유성이 된다.입자들의 무게와 크기가 클수록 대체로 연소되는 시간과 밝기가 ... ...
(3) 「발등의 불」 전산서체 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최종 마무리 작업을 하는데,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이 힌팅(hinting) 기술이다.힌팅은
작은
글자에서도 품질을 좋게 하기 위해 글자의 윤곽선을 조정해 주는 특별한 기술인데, 힌팅의 유무에 따라 글자의 품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기존의 시스템에서 영문을 위한 힌팅은 많이 개발되어 있으나, ... ...
타이프라이터에서 레이저 프린터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돋보였다. 데이지휠 프린터는 데이지꽃(국화와 비슷) 모양의 바퀴살에 달린 활자들을
작은
망치가 전기충격으로 가격하여 그 활자와 종이사이에 끼인 먹끈으로 하여금 종이에 인쇄되도록 한 장치다. 그 속도는 셀렉트릭보다 두 배나 빨랐으며 글자가 찍힌 모양도 고르고 예뻤다.데이지휠 방식이 ... ...
시공(時空)의 모서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쓰지않고 기술할 것이며 필요한 경우 가장 최소한의 수식을 쓸 작정이다. 우주의 시
작은
? 끝은?인류는 원천적인 질문을 계속해왔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도 이와같은 의문을 한번쯤은 가졌을 것이고 그것은 미해결의 장으로 남아 있을 것이다. 우주는 시간적으로 시작이 있는가. 그렇다면 ... ...
1 공간을 넘어 시간의 영역에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마을 주변으로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 결국 농경사회에서 인간의 행동 반경은
작은
점차원의 부락공동체에 머무를 수 밖에 없었다.산업사회에서 인간의 행동반경은 도시 및 국가의 차원으로 넓어졌다. 산업혁명으로 철도가 전국으로 뻗어나가면서 사람들의 행동과 관심도 철도를 따라 도시를 ... ...
천마(天馬)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이루어진 성운으로 생각돼 안드로메다대성운(The Great Andromeda Nebula)이라고 불려졌었다.
작은
은하중 가까운것이 M32, 먼 것이 M 110이다.■ 세 개의 안내별(The Three Guides)페가수스자리의 감마별(Algenib)과 안드로메다자리의 알파 별(Alpheratz)을 이어 북쪽으로 연장하면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베타 ...
과일쌓기의 기하학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실험을 통해 이 방법은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크기나 무게가 균일한
작은
공들을 커다란 통에 마구 쏟아 부어서 채운 뒤 신나게 흔들어 보자. 다시 말해 공을 조금씩 움직여도 더 이상 밀도를 높일 수 없는 상태로 만들어 보자. 흔히 이 상태의 밀도가 극대와 가깝다고 생각하기 ... ...
사나운 불 길들이기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너무
작은
불꽃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꺼지고 만다. 그러나 강철을 사용하면
작은
쇳가루가 생길 때 공기에 닿아 연소하면서 높은 온도의 불알갱이가 되므로 불 붙이기가 쉬워진다. 부싯깃으로는 대개 부들풀 이삭의 부드러운 털, 소와 낙타의 똥을 말려 굳힌 것 등을 이용했다.(4) ① 고대 ... ...
화산활동의 생생한 흔적 확인해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첫날 현포를 돌면서 교수님께서 그 지역이 해안단구라고 말씀하셨는데 저로서는 이렇게
작은
섬 안에서 부분적인 융기가 일어날 수 있는지 좀 의아했습니다. 만약 부분융기라면 단구나 습곡이 나타나야 하는 것 아닙니까.고의장 땅덩어리 규모의 차이를 융기와 관련시킬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 ...
이전
777
778
779
780
781
782
783
784
7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