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책"(으)로 총 3,5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를 위한 과학] 고기를 만나러 강으로 갈까나~♪♬ 성무성, 김정훈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좋아했나요?성 어릴 때 우연히 서점에서 ‘우리나라 민물고기 도감’을 봤어요. 그 책을 여는 순간, 바로 물고기들에 마음을 뺏겼답니다. 김 10살 때 처음 각시붕어를 길렀어요. 가만히 보기만 해도 가슴이 뛰었지요. ‘알면 사랑한다’라는 말처럼 각시붕어의 생태에 대해 알아갈수록 사랑하는 ... ...
- 달나라 여행 떠나는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달나라 여행이 너무 먼 미래의 일처럼 느껴진다고? 여기 정말 달나라 여행을 꿈꾸는 사람들이 있어. 하와이에서 달 기지 건설을 시험해 보고 있는 테트리스 컴퍼니 ... 친구들도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찾길 바랄게요. 또 앞으로도 계속해서 책을 쓸 테니 제 책에 많이 관심 가져 주세요~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수학으로 만드는 예술 퍼즐램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규칙에 따라 차근차근 한 조각씩 연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요.우선 마름모 조각을 책상에 아무렇게나 펼쳐 두면 오른쪽으로 솟은 모양과 왼쪽으로 솟은 모양으로 나뉠 거예요. 이때 조각을 모두 같은 모양으로 만든 후 연결해야 해요. 기자단 친구들은 모양이 다른 것들을 뒤집어서 모두 ... ...
- [현장취재] 인기 크리에이터가 되고 싶은 친구들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Q영상을 위한 자료는 어떻게 찾으시나요?자료를 찾는 방법은 단순해요. 관련된 책이나 신문 기사 등을 참고하고 있어요. 특히 국내보다 해외 자료가 더 내용이 풍부한 것 같아요. 그래서 해외 기사나 논문을 자주 읽는답니다. Q영상을 만들 때 가장 신경쓰는 부분은 무엇인가요?가장 신경 쓰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작은 공들의 세상 속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채윤이와 수호가 갑자기 나타나자 이모는 화들짝 놀랐어요. “세상에, 내가 너희를 책으로 깔아뭉갤 뻔 했구나!” ● 스토리따라잡기 : 다시 만난 이모! 하지만….“너희들 어떻게 된 거니? 한참 동안 게임에서 나오질 않아 걱정했단다.”놀람과 걱정이 뒤섞여 눈이 커다래진 이모가 채윤이와 ... ...
- [특별기고]목숨을 건 체험기...아마존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하나가 된다면 그 안에서도 행복을 누릴 수 있었다. 빗소리를 배경음악 삼아 해먹에서 책을 읽거나 야생초 가득한 들판을 축구장 삼아 동네 주민들과 축구를 즐기고, 또 강물에 들어가 다같이 물놀이를 즐길 수도 있었다. 악어나 뱀이 물놀이를 함께 하지 않은 것이 참 다행이지만 말이다. 아마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일리야! 이번 여름방학에는 책을 많이 읽기로 다짐했어. 그래서 가장 재밌어 보이는 과학책을 봤는데, 전기가 호박을 문지르다가 발견됐다는 얘기가 써 있는 거야~. 이게 어떻게 된 걸까? 자세히 알아봐야겠어! 기원전 600년경, 고대 그리스의 과학자이자 철학자인 탈레스는 장식용 보석인 호박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슬아슬 전선 위의 미션 블랙아웃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수호와 채윤이가 큰소리로 이모를 불렀지만 들리지않는 듯 했어요. 그리고는 들고 있던 책을 수호와 채윤이 위로 내려놓으려고 했지요!“으악~! 이모, 안 돼요~!” [개념 퀴즈] 블랙아웃은 전력공급량이 전기 사용량보다 많을 때 발생한다. ( O , X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그 이론의 탄생 배경과 이론을 제안한 린 마굴리스라는 과학자에 대해 찾아본 뒤 그가 쓴 책까지 다 읽었다. 이런 방식으로 공부한 덕분에 기억에 더 잘 남고, 더 재밌게 공부할 수 있었다. 그 결과 그는 수학과 과학 과목에서 우수한 성적을 유지할 수 있었다. 김 씨는 화학생물공학부의 장점으로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있을 땐 ‘불포화 상태’라고 한답니다. 지날 과(過)는 ‘쉬엄쉬엄 가다’라는 뜻의 ‘책받침(辶)’과 ‘삐뚤어졌다’는 뜻의 한자 ‘와(咼)’로 이루어졌어요. 두 한자의 뜻이 합쳐져 ‘바른길을 지나쳤다’는 의미가 되었답니다. 배부를 포(飽)에는 밥을 뜻하는 ‘밥 식(食)’이 포함돼 있어요.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