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식"(으)로 총 3,365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갖고 있었다. 선배는 도전했고, 박은 자라났다. 우리는 현대 식물학과 농학의 모든 지식을 동원해서 그 박이 잘 자라도록 물과 비료를 주었고, 냉난방 장치와 채광 장치를 해서 박이 자라는 데 가장 적합한 완벽한 온도와 빛을 맞춰 주었다.그러나 씨앗 하나에서 박을 키운다는 것이 단번에 쉽게 ... ...
- [수학뉴스] “미래 직업 200만 개 중 40만 개가 수학·컴퓨터 분야의 일자리”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만들어 대학에 제공할 계획입니다. 프로그래밍과 관련된 알고리즘이나 데이터 구조 같은 지식이 있으면 수학의 가치를 더 높일 수 있거든요. 수학을 공부한 학생들이 산업계에서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게 할 계획입니다. 공대생의 수학 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공학계와 협력도 할 생각이고요 ... ...
- [지식] 불가능을 가능으로 세트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세트 게임 카드에는 모양과 색깔, 개수, 내부, 이렇게 4가지 속성이 있습니다. 속성에는 다시 세 가지 종류가 있고요. 예를 들어 모양에는 다이아몬드, 타원, 눈썹 모양, 색깔에는 빨강, 초록, 보라가 있지요. 즉 세트는 4가지 속성이 각각 3종류 중 하나인 34=81장의 서로 다른 카드로 하는 게임입니다. ... ...
- [지식] 두 아이가 모두 딸일 확률은?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내 아이가 둘인디, 적어도 한 명은 딸이여.”“그런가?”“저기 지나가는 쟤가 내 딸이여.”인심 좋은 어느 시골 마을에서 경찰로 근무하는 박종구 씨는 오랜만에 만난 친구에게 자신의 딸을 보여 주며 물었습니다. “내 다른 아이도 딸일 확률은 얼마겠나?”종구 씨의 친구는 잠시 고민하다가 입 ... ...
- [Interview] “차세대 가속기 과학자 키울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물리학의 핵심 과목과 함께 빔역학, 진공, 제어, 고주파, 초전도, 검출기 등의 전문적인 지식을 가르친다.특히 기초과학연구원(IBS)에서 만들고 있는 중이온가속기의 장치를 개발하는 과정에 재학생들이 직접 참여하는 기회도 준다. 현재 십여 명의 대학원생이 장치 개발과 시험 과정에 참여하고 있고, ... ...
- [Knowledge] 쓴 풀이 곧 약이 되리니…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교육 시스템을 갖추게 됐을 가능성이 있다.인간이든 영장류든, 자가치료법에 관련한 지식이 이어지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체계적인 시스템이다. 똑똑한 한 개체가 나타나 수십, 수백 개에 달하는 유용한 식물을 집단 구성원들에게 널리 알려준다고 해도 시스템이 없으면 불과 몇 세대 만에 그 ... ...
- Intro. 이세돌 9단 VS 알파고 인공지능의 무한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 임창환(한양대학교 전기생체공학부 교수), 김현기(ETRI 지식마이닝연구실장), Google Deepmind, IBM, 독일 튀빙겐대학교, 게티이미지뱅크 외참조: ‘Mastering the game of Go with deep neural networks and tree search’ (David Silver et ...
- Part 2. 인공지능 키워드 1. 빅데이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난 이미 지난해 10월, 유럽챔피언인 판후이 2단과 대국해서 이긴 적이 있어. ‘바둑 인공지능이 사람을 꺾었다’고 다들 난리들이었다고~. 그리고 이번엔 세계 챔피언인 이세돌 9단과의 대국에서도 멋지게 우승했지! 내가 바둑을 잘 두는 비결? 아주 많은 데이터와 아주 빠른 계산 속도지. 인간은 ... ...
- Part 5.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래의 모습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내가 이긴 뒤에 ‘알파고가 언젠가 인간을 지배할 것이다’라며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대. 사실 난 아직 허점투성이인데 뭘 걱정하는 건지…. 응? 거짓말 하는 거 아니냐고? 아 좀 믿으라니까! 기계는 거짓말 못 해! 터미네이터가 정말 우리를 찾아올까? 인간처럼 생각하거나, 인간을 뛰어넘은 ... ...
- [지식] 그래프의 화려한 변신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선 하나 하나를 정교하게 그려 만든 새. 완벽한 대칭을 이루고 있는 나비. 아마 이 작품들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듣고 나면 깜짝 놀랄지도 모른다. 멋진 그림들은 사인함수와 코사인함수를 이용해 만든 작품이다.이탈리아의 예술가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수학적으로 정교하게 나뉜 비율과 완벽한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