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식"(으)로 총 3,365건 검색되었습니다.
- [Editor’s note] 도전! 노벨상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이의 성과를 이해하는 건 우리같이 배우는 사람의 몫입니다. 그동안 수학동아에서 접한 지식을 동원해 도전해 보세요. 그 또한 즐겁지 않을까요?특집 기사는 구부러진 세상을 다뤘습니다. 문명이 생긴 뒤로 곧게 쭉쭉 뻗은 직선이 많이 생겼지요. 그런데 알고 보니 직선도 곡선의 일부였습니다. ... ...
- [지식] 들어는 봤나?! 수학특성화중학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수학특성화중학교. 생소하다. 실제 있는 중학교는 아니다. 이 중학교는 상상 속의 학교다. 이름만 봐서는 학교 여기저기서 수학이 튀어나올 것만 같은데…. 제1회 신입생으로 입학한 주인공 ‘노을’과 친구들이 비밀조직 ‘제로’를 만나면서 겪는 모험 이야기가 펼쳐진다.오늘은 수학특성화중학 ... ...
- [지식] 에르되시도 인정한 고난이도 문제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종이 위에 서로 다른 점 n개를 잘 찍어봅시다. 예를 들어 한 직선 위에서 1cm 간격으로 점을 하나씩 그린다면, 이 n개의 점에서 나올 수 있는 거리는 1cm, 2cm, 3cm, …, (n-1)cm로 총 n-1가지입니다. 그 중 1cm씩 떨어진 쌍은 총 n-1쌍 있지요.그러면 서로 다른 점 n개가 평면 위에 있을 때 서로 다른 거리가 최소 ... ...
- [지식] 우리 집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가장 먼저 적막을 깬 건 창문이에요. 창문을 활짝 열자, 시원한 가을바람이 솔솔 들어옵니다. 창문은 쨍쨍 내리쬐는 가을 햇빛을 막아주는 역할도 해요. 햇빛을 차단하는 데 창문을 닫는 것 만으로는 부족하다면 블라인드나 커튼을 치면 돼요.앗, 그런데 커튼이 사라졌어요! 지금은 햇빛이 잘 들어오 ... ...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이 궁금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어떻게 하면 수학을 더 잘할 수 있을까요?”권순식 KAIST 교수의 고민 중 하나다. 수학과 교수님도 우리랑 같은 고민을 한다는 사실이 재밌다.겸손한 성격으로 인터뷰 내내 본인을 낮췄지만, 권 교수는 대한수학회에서 업적이 뛰어난 젊은 수학자에게 주는 상인 ‘상산 젊은 수학자상’을 받은 유 ...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고분자, 에너지, 생물, 나노소재 등 각기 다른 전공을 가진 학생들이 자유롭게 토론하며 지식을 나누고 새로운 원동력을 만들어나가고 있다.지난 8월에도 좋은 연구 성과를 냈다. 이상영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과 함께 나노셀룰로오스 분리막을 개발한 것이다. 이 분리막은 ... ...
- [수학뉴스] 온라인 게임하면 수학 성적 오른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연구에 참여한 앨버트 포소 로열멜버른공과대 경제학과 교수는 “그날 배운 학과 지식을 이용해 게임을 하다 보면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며, “폭력적이지만 않다면 게임은 교육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습니다.이 연구 결과는 ‘인터내셔널 저널 오브 커뮤니케이션’ 8월 9일자에 ... ...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수학의 발전 속도가 빨라 혼자서는 그 많은 양을 연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부족한 지식과 능력을 보완해 줄 공동연구자가 반드시 필요하다.랭글랜즈 프로그램이 좋은 사례다. 수학은 수론과 조화해석학, 기하학, 표현론, 수리물리학 등 많은 세부 분야로 이뤄져 있다. 원래는 각각의 이론을 별개로 ...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 2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스스로 깨달을 수 있는 자기주도적인 학습 방법이다. 미래 사회에는 단순히 습득한 지식보다는 서로 소통하고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전 세계의 추세 역시 협업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 모둠별 토론식 수업인 거꾸로 교실은 유연성을 기르는 훈련이자 협업을 통해 창의성과 인성을 기를 ... ...
- [수학동아클리닉] 도형의 닮음을 이용한 시어핀스키 피라미드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대한 호기심을 넓혀서 시어핀스키 피라미드를 만들어보고 그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지식과 기억은 설명을 듣기만 해서는 축적할 수 없다. 직접 활동하고 체험한 만큼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기억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입체도형은 구체물(실제 물건)의 조작을 통해 이해를 더욱 높일 수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