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수"(으)로 총 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2. 화학의 혁명, 우주 원소 가족 103종 발견과학동아 l1993년 02호
- 두 종류의 기체가 화합하는 경우 두 기체의 중량비 뿐만 아니라 부피도 간단한 정수비를 이룬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발견을 기초로 아보가드로는 서로 다른 원소라도 같은 온도, 같은 압력, 같은 부피에는 같은 수의 입자가 들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발표했다.달들의 원자론이 제기된 이래 많은 ... ...
- 3. 입자·파동 이중성지닌 새로운 실체과학동아 l1993년 02호
- 즉 전자기 복사의 에너지가 연속적이 아니라 최소 단위의 덩어리로 이루어진 에너지의 정수배만 가진다면, 그리고 이 최소 단위의 에너지가 파장에 반비례 한다면 흑체복사의 현상을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최소단위를 양자(quantum)라 부른다.이는 현대물리학이 새출발하는데에 아주 적당한 ... ...
- 빅뱅이론 총정리과학동아 l1992년 12호
- 이론들이 너무나 쉽게 부정되어 버린 예를 허다히 볼 수 있다.이 글에서는 현대 우주론의 정수로 알려진 대폭발이론(The Standard Big Theory)을 소개하면서 그 역사적 배경을 훑어보고, 현재 연구상황, 그리고 지금 이 시간에도 활발히 연구중인 몇몇 난제들을 소개해 보겠다.2 대폭발이론이 ... ...
- 새기술 새발명과학동아 l1992년 11호
- 것이다.또 정수기의 필터세척시기를 알려 주는 표지판도 발명됐다. 현재 보급 돼 있는 정수기의 필터는 그 교체시기를 알아내기 어렵게 돼 있다. 발명가 장숙동씨는 이에 착안해 투명용기에 색깔이 구분된 표지판의 색깔이 일치할 경우 '필터를 세척하거나 교환하라'는 명령이 된다.그리고 ... ...
- 컴퓨터가 정식과목 되지 않는 한 좋은 성적 어렵다과학동아 l1992년 09호
- P까지의 모든 등반자들에 대하여 각각 S(i)와 C(i)를 키보드로부터 입력 받는다. 입력 값은 정수로 하고 허용되지 않는 수는 무시한다.2. 등반 일정을 찾는다. 등반에 소요되는 가능한 그룹내의 등반자 a(1)……a(k)를 결정하고 1부터 k까지의 j값에 대해서 등반자 a(j)가 출발 지점에서부터 나를 수 있는 ... ...
- 새로운 완전수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2년 09호
- ① 가, 가 ② 나, 나 ③ 가, 나 ④ 나, 가(2) 어떤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연속되는 정수로(물론 0이 아니므로 자연수)되어 있다. 그리고 가장 큰 내각이 가장 작은 내각의 2배이다. 이때 이 가장 작은 내각의 코사인(cos) 값은 얼마일까?① $\frac{3}{4}$ ② $\frac{7}{10}$ ③ $\frac{2}{3}$ ④ ...
- 「무공해 녹색낙원」가꾸는 독일의 환경 교육·환경산업과학동아 l1992년 08호
- '물이 오염된 상태를 경험하셨습니까'라는 질문을 하고 그 대답을 정리한다. 가능하다면 정수장을 방문하기도 한다.8학년은 담수조사에 나선다.9, 10학년은 숲과 나무라는 주제하에 지하수, 침식, 기후 등이 나무에 미치는 영향을 같이 조사한다.11~13학년은 비, 안개, 대지, 지하수에 스며든 독성물질의 ... ...
- 한강의 두번째 기적과학동아 l1992년 08호
- 어떤가. 깨끗한 물을 먹어야겠다는 사람들의 열망은 오염된 강을 되살리는 쪽이 아니라 정수기나 생수를 찾는 방향으로 파행의 길을 걷고 있다. 국가의 정책도 상수원을 지키는 것보다 첨단 처리 기술을 도입하는 쪽에 비중을 두고 있다. 강물은 더러워도 당장 마시는 물은 깨끗하게 만들어 보자는 ... ...
- 과학고·과기원 입시총정보과학동아 l1992년 08호
- 따르면 과기원 지원자들도 일반대학 수험생들과 마찬가지로 약수 배수 자연수 등 정수론과 집합과 명제, 수와 식 등 고등학교 수학교과서의 맨 앞부분에서 약점을 보인다고 한다. 또 판별식을 지나치게 남용하는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과기원 수학입시문제는 조금씩 쉬워지고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 ...
- 「제3의 물리학 혁명」혼돈이론의 실체과학동아 l1992년 07호
- 본뜨기는 그러한 억제가 고려된 증식계의 간단한 모형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Xn을 정수값을 취하는 시간 n에서의 세포의 숫자, 혹은 밀도라고 하면 본뜨기는 시간에 따른 X값의 변화, 즉 변수 X의 운동을 결정한다. 가령 A=2일 때 X의 초기값을 ${X}_{0}$=0.7로 주면 본뜨기를 반복함으로써 ${X}_{1}$=0.42, X₂= ... ...
이전737475767778798081 다음